호엥??
https://cohabe.com/sisa/4742531
전설의 고향에서 만들어졌다는 저승사자의 이미지.
- Z8 펌업후 - 큰일났네요 [7]
- sajinusa | 6시간전 | 482
- 더빙판에서 설정이 바뀌게 된 캐릭터 [8]
- 슬리핑캣 | 6시간전 | 275
- 명조,스포) 카르티시아 ㅜㅜ [2]
- 맘마통 | 6시간전 | 420
- @) 신데렐라걸스ip의 종막을 앞두고 장례식 늦은 후기(스압) [2]
- Arche-Blade | 6시간전 | 792
-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 [6]
- noom | 6시간전 | 853
- 30년지기 친구 절교 이유 [24]
- mdkcap | 6시간전 | 363
- ㅇㅇㄱ) "아니 이분 아직 살아계셨어?ㅋㅋㅋㅋ" [5]
- VetorGang | 6시간전 | 315
- 전설의 고향에서 만들어졌다는 저승사자의 이미지. [23]
- 3196247717 | 6시간전 | 546
- 국가기관에서 말해주는 몰랐던 사실 [20]
- 뭘쳐다봐유게뤼 | 6시간전 | 760
- 친구가 보내 준 사진인데 [6]
- ((|))양파 | 6시간전 | 432
- 케데헌] "우리 모두 포기했을 때, 한 남자가 나타났단다..." [26]
- 끼꾸리 | 6시간전 | 410
- 명조] 에휴 이젠 그러려니함 [6]
- 페비 | 6시간전 | 556
미디어에서 이미지 정착 시켰다는 개념 같은데 저것도 후기 지나면서 이미지 변하다가 이건 아무래도 좀 연대로 쭉 나열하면 납득될듯 한데
미디어에서의 이미지를 정착시켰다는 이야기아냐??
나여 xxx 시즌이야?
탈것도 있내.
천사나 악마상도 엄청 변화했다니깐 악마상 초기에 찾아보면 천사 색놀이로 알고 있음
더피도 탔네 심지어
나여 xxx 시즌이야?
탈것도 있내.
하일히드라
이번에는 어떤 교익이냐 ㅋㅋㅋㅋ
미디어에서의 이미지를 정착시켰다는 이야기아냐??
미디어에서 이미지 정착 시켰다는 개념 같은데 저것도 후기 지나면서 이미지 변하다가 이건 아무래도 좀 연대로 쭉 나열하면 납득될듯 한데
천사나 악마상도 엄청 변화했다니깐 악마상 초기에 찾아보면 천사 색놀이로 알고 있음
악마에 대한 가장 초기의 표현은 6세기 라벤나 의 산타폴리나레 누오보 대성당 에 있는 모자이크로, 푸른 천사의 형태로 표현되었을 것입니다. [ 245 ] 파란색과 보라색은 중세 초기에 악마의 일반적인 색상이었는데, 이는 하늘 아래의 공기로 구성된 그의 몸을 반영하는 것으로, 선한 천사들이 만들어진 하늘의 영적인 불보다 더 두꺼운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여겨져 빨간색으로 칠해졌습니다. 악마가 파란색이 아닌 검은색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9세기였습니다. [ 246 ] [ 247 ] 나중에야 악마가 피나 지옥의 불을 반영하는 빨간색과 연관되게 되었습니다. [ 247 ] 6세기 악마 모습이라는데 보면 걍 천사임
출처는 https://en.wikipedia.org/wiki/Devil_in_Christianity#Iconography_and_literature
뭐야 케팝데몬헌터가 고증이 맞잖어
나도 케이팝태그 쓰지말고 케데헌으로 줄이면 되는거 아닌가? 하고 유게에 검색해보니 이미 쓰고 있는 사람 있더라 ㅎㅎ
오
저 형태의 저승사자가 미디어 매체에 언제, 어디서 나왔는지 확인해보고
장군같은 저승사자에서 검은 갓, 옷을 입은 저승사자가 구전이나 설화, 기록 따위에서 주류를 차지한 시점을 봐야하지 않을까?
전설의 고향 전까진 저승사자라는 이미지는 그다지 언급도 없었고 마이너 캐릭터 였다가,
전설의 고향 이후로 확실한 저승사자라는 이미지가 유명 해졌다는건가?
원래 검은옷, 검은 갓 쓴 이미지는 전통적으로 있던 이미지고?
저승사자를 이미지 고착화 한건 확실시 전설의 고향이었다고 함.
그 이전엔 흔히들 죽을때되면 도깨비불을 본다던가 죽은 부모님이나 친구, 배우자가 찾아온다는 말이 훨씬 많았다함.
그러다 저승사자가 전설의 고향으로 비주얼화 되면서 그뒤로 죽을때 = 저승사자 이미지가 생겼고
지금도 여전히 어르신들은 죽을때되면 저승사자가 대리러 온다 하기보단 귀신이나 도깨비, 혹은 먼저죽은 가족들이 온다, 또는 나 안대려가나 이러심.
문헌적 기록이나 저런 미술품으로 저승사자의 이미지가 먼저 만들어져있었을 순 있지만
대중에게 비주얼화하여 보여지게 된건 확실히 전설의 고향이 영향을 줬다고 본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