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742556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1.png



사실 요즘 영화들도 그런 경우 많긴한데

(당연할수밖에, 지금 촬영하는 촬영감독들이 뭘 보고 공부하고 뭘 좋아하고 따르는지 생각해보면........)




영화를 촬영할때 최고급의 고가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는데도 소위 말하는 "선명한 고화질"이 아닌 경우가 상당히 많다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2.png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3.png


그건 필름 자체에 발생하는 현상인 그레인 (노이즈와는 비슷한듯 다름)으로 인해 화면에 입자가 자글자글 끼는 현상,


와이드스크린 화면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판형보다 더 넓게 찍을수 있는게 특징인 아나모픽 렌즈를 사용하는데

그 아나모픽렌즈의 특징이 흐려지는 주변부, 칼같은 선명함이 아닌 부드러운 영상을 만듦 등이 주인지라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4.jpg


소위 말하는 칼같은, 영상 테크데모같은 화질과는 거리가 먼 분위기의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물론 그런 화질을 추구하는 영화들도 많다. 탑건 매버릭/ F1 / 아바타2같은 영화들이 예시.


렌즈군에 있어서도 마스터프라임 제품군같은 경우는 "정직하게 선명한" 영상을 찍을수 있게 해준다고 하고.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5.webp


35mm필름에 아나모픽을 대는게 아니라 그냥 깡 체급 자체가 한수위인 70mm필름으로 찍어서 아나모픽 렌즈를 안쓰는 경우도 가능하다.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6.jpg


사족으로 70mm필름에조차 기어코 아나모픽렌즈를 대고 찍으면 2.76:1의 괴물 와이드스크린이 나온다(.....)








이건 뭐 기술의 부족 혹은 그냥 안고가는 결함이라고 말하겠다면 할수도 있겠지만

그 역시도 미학적 선택, 포용인 지점도 분명히 있기 때문에 어떻게 말하고 평가하기에는 조금 조심스러운 점이 있다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7.png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8.jpg


물론 필름 그레인, 렌즈 특징 등을 화질의 일부이자 영상의 의도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다른쪽에서는 중요하지 않은것 , 그걸 넘어서 적극적으로 거슬리는것 취급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무래도 말끔한 영상이 제일 평범하게 좋다고 다가갈수는 있겠다.

모든 사람들이 시네필이요 블루레이 커뮤니티 유저는 아니니까.




영화) 옛날영화를 볼때 호불호를 갈리게 만드는 화질 요소._9.png





댓글
  • 라시현 2025/07/03 14:47

    이런 글 좋아.

  • 라시현 2025/07/03 14:47

    이런 글 좋아.

    (Wzi7o0)

  • noom 2025/07/03 14:58

    고마워 오늘 좀 울적했는데 기운난다

    (Wzi7o0)

  • 제3사도 2025/07/03 14:50

    그레인이란게 원래 필름에 묻어있던 감광성분들이 노출시간에 따라 반응이 달라져서 입자가 굵어지게 보이는 건데
    디지털 촬영이나 후보정이라면 그걸 의도적으로 넣어서 효과를 내는거니 엄밀히는 노이즈라고 보는게 맞겠지.

    (Wzi7o0)

  • noom 2025/07/03 14:52

    뭐 필름의 특징이고 디지털의 특징이고를 떠나서 그냥 아 이 자글자글 뭐에요 소리날건 다 갸가 갸일순 있지 ㅋㅋㅋ

    (Wzi7o0)

  • 오지않는택배 2025/07/03 14:59

    화질 업한다고 저런 자글한 거 다 없애버리면 또 그 맛이 안나더라

    (Wzi7o0)

(Wzi7o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