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유료 1위
일본 유료 1위
중국 유료 9위.
중국이 순위는 제일 낮은데, 다운로드수는 제일 많다고 함.
마녀의 샘 시리즈.
완성도가 뛰어나 사람들이 회사게임으로 오해하는데, 이거 인디게임임.
개발자 혼자 만드는 게임으로 국내에서 흔치 않게 가차 없는 유료RPG.
자동사냥 아니고 직접 조직해야 함.
컨테츠 추가 되도 DLC처럼 파는게 아니라 그냥 업데이트로 추가함.
당연 이 완성도 덕분에 상도 이것저것 많이 받음.
베스트글에 댓글로 어떤 사람이 우리나라 인디게임은 다 수준 낮고 자가복제만 있는 것처럼 말해서 한 번 적어봄.
내가 아는 것 중 이거 하나지만 인디게임 괜찮은 거 있음.
참고로 2까지 발매한 상황이고, 3는 중국에서 이제 사전예약 중.
개인적으로 돈값 하는 게임이라 생각함.
그렇게 비싸지도 않고.
그렇다고 저런 예외가 있는데 '모두'가 되는 건 아니잖아.
베스트 글은 대부분이라고 하는데 댓글에서는 모두라고 함.
진흙속에 진주 하나 들었다고 1급수 되는 건 아니잖아
자연스럽게 1인 2역 하고 있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급수 말고 해수라고 할게양
원래 언제나 예외는 있지. 그게 극히 드물뿐
장그라 머임
장그라??
장르를 말하는듯
아, RPG 게임임ㅋ
자연스럽게 1인 2역 하고 있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야 지적안했으면 몰랐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억! 낚인 기분이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ㅊㅊ
원래 언제나 예외는 있지. 그게 극히 드물뿐
ㅇㅇ 그렇지.
인디는 해외든 국내든 성공하기 힘든 건 마찬가지라...
진흙속에 진주 하나 들었다고 1급수 되는 건 아니잖아
산업이 완전 클린해야만 하는줄 아나보네
그렇다고 저런 예외가 있는데 '모두'가 되는 건 아니잖아.
베스트 글은 대부분이라고 하는데 댓글에서는 모두라고 함.
1급수 말고 해수라고 할게양
완전 클린해야되는 건 아니지만 정도가 있지 않을까. 모든 작품을 통틀어서 10% 정도가 저런 작품인 것도 아니고 1%, 아니 0.1% 안되는 작품만이 저런 작품인데 이상하지 않음?
그닥 그런 생각은 안 들던데,
요식업계도 개쩌는 식당 비율이랑 영 안좋은 식당 비율 내보면 저거랑 비슷할걸
그래서 그게 정상이라는건가..무슨말을 하고 싶은건지
인디 자체가 원래 진흙탕임. 그 중에서 몇 개만 좋은거지.
이악물고 아주
ㅇㅈ 몇몇 우물안에 개구리들은 국내만 그런 줄 아는데 사실 전세계 인디 만국 공통 진흙탕.
따지고보면 해외나 국내나 진흙속 진주 비율은 비슷비슷해. 해외는 뻘이 개크고 넓은거고 우린 한뼘만해서 차이가 나 보이는거지.
어느정도 파이가 커진 시장에서 비율은 다들 비슷비슷하지 않을까
오오 마녀의샘 기억해둠
사실 유료모델이 잘 팔려야 맞는건데, 아직 우리한엔 너무 이르다
1,2편 다 재밌게 함
예전에 마법사가 되는 방법 그 게임 생각 나서 해봤는데
대박임
다른 게임 비교해서 배터리 소모량은 어떤가요?
제법 빠른편 그렇다고 미친듯이 먹진 않고
쌩유 베리 감사!
이거 ㄹㅇ 잼
한국에서 순위권에 있는건 봤는데 외국에서도 제법 팔렸구나 ㄷㄷ
이거 원투 다 다운받았는데 아직도 안했네
마녀의 유혹인가 인기 많은가보당
원은 다 깼구 투는 아직 안한 ㅠ
123 스토리 전부 이어짐?
ㅇㅇ 일단 1,2는 같은 시간대에서 서로 다른 주인공들이 활동하는 이야기이고, 3는 1,2의 사건이 끝난 뒤 다른 대륙 이야기임. 3는 제작자가 말하기로 스토리가 안 이어지지만 전작 주인공들이 까매오 출연한다고 함ㅋ
원스토어에서 공짜로 12 뿌렸길래 다운은 받아놨는데 나중에 해봐야겠다
띠용... 언제 뿌렸었징...
뿌렸다기보단 원스토어에서 가끔 3000~4000캐시 줄때가 있는데 그때 그걸로 사시면 공짜
작년에 4천원 쿠폰 무료로 2장 뿌려서 12사씀
땡큐! 그냥 사서해야겠당...
마치 뽑기 0.1%급 확률
마녀의숲1,2했었는데 ㄹㅇ 꿀잼
좋은 겜 나오면 칭찬하면 되지 꼭 다른 핑계 만들어서 깜
2편 스토리가 좀 혼란스러웠음.
피처폰 시절 RPG겜 같은건가 그냥 사기만 하면 인게임 결제는 따로 없는
느낌도 비슷함
비스무리하긴해 근데 난 좀 그랬다
모바일, 인디게임 두 키워드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갓겜!
회사가 아니라 인디라니
회사랑 인디가 뭔 상관이야..
규모의 차이로 정해지는게 인디임. 소규모 개발자가 만드는게 인디로 회사규모로 만들면 인디가 아님.
가내수공업과 공장의 차이?
회사의 투자를 받지 않고 개발한 게임이 인디임.
못만들었을때 인디면 욕하면 안되고 회사는 욕해도 됨 ㅇㅇ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60096
중간에 불법 apk 유포된거 고소한 이야기랑 대응한 경찰 이야기 나오는데
모바일 유료게임은 한국시장에서는 시기상조임. 중딩도 apk 걍 따서 유포해버리는게 가능한 수준이라
사실상 모바일은 보안이란게 있을수가 없음. 그러니까 기업에서는 리소스도 암호화해서 다운로드 데이터로 따로 빼는거
문제는 그것마저 리버싱으로 까버리는 놈들이 있다는건데 뭐 이건...
그 보안좋다는 아이폰마저도 ipa로 다 추출하는데 별수없음 ㅇㅇ
샐리의 법칙도
확실히 모바일와서는 그래픽디자이너가 프로그래밍까지 하는쪽이 유리하죠
쓰기쉬운 엔진도 많고 기본 퀄리티를 가지고 시작할수있으니
네트웍게임이나 규모가 큰 게임이 아닌 이상
개재밌게 했음ㅎㅅㅎ
이번에 부산에서 bicf 라는 인디게임 페스티벌 했는데 거기 출품작보면 할만한 한국인디겜 많이 볼수있음 ㅇㅇ
루리웹에서 ㅈㄴ 할만한겜이 안나오니까 안산다식으로 말하는게 얼마나 개소린지 알수있음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