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라리 정말로 디자인이랑 그림체를 학습시켜서 뽑은 거면 그 디자인으로 수백장씩 일러가 튀어나오고 라투디는 일도 아니야
이건 그냥 원안 일러스트 레퍼런스로 넣고 I2I(이미지 투 이미지) 딸깍 노이즈 재생성만 돌려서 박아놓는 거라는게 내 생각임.
학습이랑은 아예 다른 거여

차라리 정말로 디자인이랑 그림체를 학습시켜서 뽑은 거면 그 디자인으로 수백장씩 일러가 튀어나오고 라투디는 일도 아니야
이건 그냥 원안 일러스트 레퍼런스로 넣고 I2I(이미지 투 이미지) 딸깍 노이즈 재생성만 돌려서 박아놓는 거라는게 내 생각임.
학습이랑은 아예 다른 거여
생각해 보니 프로그래머들도 런 쳤다는대 그러면 로컬로 학습시키고 생성하는거 할 줄도 모를태니 그게 맞겠네.
라투디는 별개라서 일좀 해야되지않나 ㅋㅋ
그러니까 애초에 학습시킨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거지 ㅋㅋ
예상: NAI 35000원 구독 후 i2i돌리기
요즘 라투디 게임에선 안씀. 니케도 라투디 아니라 딴거니까...
라투디는 별개라서 일좀 해야되지않나 ㅋㅋ
그러니까 애초에 학습시킨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거지 ㅋㅋ
요즘 라투디 게임에선 안씀. 니케도 라투디 아니라 딴거니까...
스파인?
아 그래? 그럼 뭐 써 니케에선?
단순 디노이징 I2I가 아니더라도 이미지를 프롬프트처럼 쓰는 기술은 이미 2년전에 상용화되어서 구도 좀 바꾸거나 자세 바꾸거나 하는건 기업 수준에선 일도아니지
생각해 보니 프로그래머들도 런 쳤다는대 그러면 로컬로 학습시키고 생성하는거 할 줄도 모를태니 그게 맞겠네.
예상: NAI 35000원 구독 후 i2i돌리기
ㅇㅇ 원안 자체의 분위기 변환용으로 사용했을 거 같음
ㄹㅇㅋㅋ 학습시킨거면 저거보단 똑똑하게 나옴
업계인 아니라고 생각 드는게
1. 라투디와 스파인은 다른거고 최근 라투디는 라이센스비용 및 최적화 이슈로 나락간지 꽤 됨. 그래서 다들 스파인을 사용함. 근데 편의상 라투디라고 하는거
2. 스파인의 리깅은 아직 수작업임.
3. 가끔 라투디 같아 보이는 영상들은 애프터이펙트로 그냥 붕쯔붕쯔 먹이는거지, 실제 인게임 리소스로 쓸만한게 못됨. 영상에 1~2초 쓱 지나가는 정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