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1.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57.png)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2.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58.png)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3.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59.png)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4.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0.png)
15차까지 존재하며
계속해서 반복되는 구조작전,
주인공만 타임루프를 한다기엔 공식적인 회차가 너무 많음
사망 시 캡슐에서 고통을 느끼며 링크가 끊어지는 모습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5.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1.png)
PV영상에서 사망하는 장면에 싱크(동기화) 실패
신호 낮음이라 뜨는 장면
아마 실제와 같은 카오스 환경을 조성한 가상현실에서
무한리트를 꼬라박으며 미지의 공간인 카오스를 개척했던걸로 보임
무한리트하다 -> 성공시 실제로 작전 실행 이런게 아니였을까?
거기서 퍼스트의 존재 이유는 요원들에게는 가상 현실에서의 기억이 남지 않아서
모든 상황을 기록, 기억하고 완벽한 지휘를 해나가기 위한 존재였던거지
그리고 요원들이 멘탈 터지는 이유는
비록 가상일지라도 죽음이 남기는 정신적 손상이
요원이 가진 근본적 트라우마를 심화시켜서 멘붕상태로 만드는거고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6.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2.png)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7.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3.png)
미지를 0으로 되돌리는 카오스 제로 프로젝트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8.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4.png)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9.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5.png)
0 -> 미지 일경우 다시 0으로
그렇게 무수한 0을 거쳐서
1로 나아가는 존재였던것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10.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6.png)
![카제나] 주인공은 아마 루프특이점을 돌파하는 존재가 아니였을까_11.png](https://imagecdn.cohabe.com/sisa/5079354/1481114204867.png)
그리고 수없이 반복되는 0과 죽음 사이에서
튼튼한 정신으로 요원들을 챙기며
유일하게 활로를 찾아서
1로 나아갈 수 있는 존재가 바로
주인공이였던거지
시뮬레이션 재현율이 100%라고 주장하던게 이 흔적인가?
와 재밌어보이는 게임이네여
시뮬레이션 재현율이 100%라고 주장하던게 이 흔적인가?
존나 맛도리 스토리였을 거 같은데
무한 루프를 통해 카오스와 나이트메어를 제로로 만들어 세상을 0에서 1로 만드는 스토리
이정도 추측이 가능하네ㅋㅋㅋ 재밌는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