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70675

내년부터 5월 1일은 노동자의 날!

그동안 근로자의 날이었는데 결국 내년부터는 노동자의 날로 변경되는군요!
노동자라고 하면 괜히 이상하게 생각하는데 아래는 전우용 역사학자님의 글입니다.
근로와노동의차이.jpg
근로계약서라는 말도 이제 노동계약서로 바꿔야 할듯요.
근로계약서 = 노예계역서와 같은 말인데 그동안 노예계약서 많이 썼던듯하네요.
이제라도 제대로 처리되고 있어서 다행입니다.
또한 공휴일도 추진하고 있다니 잘 되면 좋겠네요!

댓글
  • 산이삼촌 2025/10/27 13:21

    근로기준법 = 노예기준법??

    (vUkqGi)

  • 그냥싫어 2025/10/27 13:22

    근로기준법도 변경이 되어야 할듯요

    (vUkqGi)

  • 산이삼촌 2025/10/27 13:24

    헌법
    제32조 ①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적ㆍ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②모든 국민은 근로의 의무를 진다. 국가는 근로의 의무의 내용과 조건을 민주주의원칙에 따라 법률로 정한다.
    ③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
    ④여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고용ㆍ임금 및 근로조건에 있어서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⑤연소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⑥국가유공자ㆍ상이군경 및 전몰군경의 유가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근로의 기회를 부여받는다.
    조문체계도버튼
    제33조 ①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②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③법률이 정하는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제한하거나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헌법도 바꾸어야 함.

    (vUkqGi)

  • 그냥싫어 2025/10/27 13:25

    전우용 역사학자님에게 보내서 어찌해야 하는지 물어봐야겠어요~

    (vUkqGi)

  • FA중고남 2025/10/27 13:32

    그니까 근로는 근명성실하게 노동을하는것이라 주인을 위해일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는거임?

    (vUkqGi)

  • Velvia♬ 2025/10/27 13:37

    노동자 : 자본이 아닌 몸으로 먹고 사는 모든 사람들.
    근로자 : 노동자들중 근로기준법의 적용 대상이 되는 노동자들.

    (vUkqGi)

  • 산이삼촌 2025/10/27 13:38

    레드컴플렉스 지요
    북한이 노동자라고 하니 같은 단어를 쓰기 싫어서 억지로 만든 것 같은.
    하지만 일단 정해놓은 지 너무 오래 되어서 이제는 바꾸기 만만치 않을 듯.

    (vUkqGi)

(vUkq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