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507879

건강검진에서 경동맥죽상경화반 나오면 진짜로 치료가 불가능한가요?

image.png
경동맥죽상경화반으로 건강검진에 나오면 혈관이 예전으로 돌아가는건 불가능한가요?
딱딱해져서 안된다고 인터넷에 나와있길래..
저거 방치하면 동맥경화로 가는건가요?
뇌혈관질환 무섭네요.
https://jhealthmedia.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80
혈관 막히기 전에는 증세도 없다하니 더 무섭네요.
댓글
  • 센트리 2025/04/17 16:38

    미리 미리 콜레스테롤 검사하고, 경동맥초음파 검사해서 미리 관리해야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39

    식이요법과 운동밖에 없나보네요.
    뇌가 제일 까다롭군요.

    (rwycx9)

  • 월드트레블러 2025/04/17 16:38

    죽상동맥경화는 비가역적 이라.. 절대로 나아지지 않음..
    동맥경화 예방하는 식당으로 사료만먹고 살아도 현상유지가 최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0

    나이먹으면 약을 어쩔수 없이 먹어야 겠네요 ;ㅁ;

    (rwycx9)

  • SugarB 2025/04/17 16:39

    관리를 해서 늦추는거일뿐, 교체하기전에는 저럼.
    경화는 이미 진행중인거고요.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0

    교체도 되나요 ㅎㄷㄷ

    (rwycx9)

  • 바이스로이 2025/04/17 16:39

    스타틴 복용해서 더이상 쌓이는걸 막는게 최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0

    역시 약물이 필요..

    (rwycx9)

  • O_Oze 2025/04/17 16:40

    스타틴 드시고 LDL 수치 관리하셔야 해요...절대 안돌아갑니다. 진행되면 무서운 심장질환, 뇌졸증으로 가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1

    그러게요.. 뇌관련은 골든타임이 야박한거 같아요

    (rwycx9)

  • 2025/04/17 16:40

    아주 조금은 돌아갈 수 있다고 봅니다. 치료의 주된 목적은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라 봐야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1

    식이요법과 운동이네요 역시

    (rwycx9)

  • Hun 2025/04/17 16:40

    경화반이 관찰되면 고지혈증약을 먹거나 고위험 경화반에서는 항혈소판제를 추가하는게 최선이죠
    아주 두꺼워진 경우는 수술로 동맥경화 부위를 떼어내기도 합니다만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1

    동맥경화 부위 뗴어내면 혈전 돌아 다닐라나요.
    의료에 무식해서 ㅎㄷㄷ

    (rwycx9)

  • Hun 2025/04/17 16:43

    동맥경화가 심하면 저렇게 혈관을 열어서 절개하는 거죠
    당연히 혈관 양쪽을 막은 상태에서 진행합니다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4

    동맥 막고 수술... 대수술이네요 ㅎㄷㄷㄷ

    (rwycx9)

  • 대유쾌마운틴 2025/04/17 16:51

    이게 되나요... 의학은 대단하군요.. ㄷㄷㄷㄷ

    (rwycx9)

  • Hun 2025/04/17 16:52

    협착이 심해서 뇌로 가는 혈류가 크게 감소한 경우가 아니면 흔히 하는 수술은 아닙니다
    저런 수술을 받을 정도가 되기 전에 잘 관리 해야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53

    와인 종종 마시는데 줄여야할라나...
    담배는 안피는데.. 흑..
    그냥 운동을 좀 더 해야겠습니다. 기름기 줄이고..

    (rwycx9)

  • Hun 2025/04/17 16:54

    술은 큰 영향은 없습니다 ... 예전엔 소량의 술이 도움이 된다는 시절도 있었는데 그건 또 아니구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등의 영향이 큽니다

    (rwycx9)

  • pokepoke 2025/04/17 16:59

    아하. 역시 의사선생님 (-.-)b
    저는 비흡현에 당뇨는 없으니..
    고혈압과 고지혈증만 잘 다스리면 되겠네요.
    로슈젯 10/5mg 와 함께 평생인가.. 후..

    (rwycx9)

  • 살짝찍고 2025/04/17 16:45

    바로 위에 선생님이 잘 답 주셨는데 요즘 약이 얼마나 좋은데요 당장문제되는거 아이면 홀드 시키는게 되겠죠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8

    그래도 관리해야겠네요.
    다른 부위 손상과 잽도 안되게 무섭네요 ㅎㄷㄷㄷㄷㄷ * 1000

    (rwycx9)

  • LOVE 2025/04/17 16:47

    괜찮은게 죽을때는 본인이 죽은줄 몰라요 ~ 내가 죽었었구나 하고 깬적이 없어서~

    (rwycx9)

  • pokepoke 2025/04/17 16:48

    컥 ㅎㄷㄷㄷㄷ

    (rwycx9)

  • 코어리스 2025/04/17 16:54

    저희 부모님도 죽상돌기 어쩌구 건강검진에 나와서
    대학병원에서 계속 진료중이십니다.
    약먹고 매년 경동맥초음파 + 2년 한번 정도 mra mri

    (rwycx9)

  • pokepoke 2025/04/17 17:00

    유지 관리를 위해 약드시는것 말고는 더 없으시죠?

    (rwycx9)

  • 코어리스 2025/04/17 17:05

    네네 약을 고지혈증 약 드시는듯요

    (rwycx9)

  • 검은늑대™ 2025/04/17 16:57

    어떤 장기에 타격이 가는건 완치나 예전으로 돌아가는건 없다 보시는게...
    그냥 그상태로 타협하면서 사는거지...
    그게 완치나 예전 상태로 돌아가는걸 우리는 기적이라고 하는..ㄷㄷ

    (rwycx9)

  • pokepoke 2025/04/17 17:00

    맞습니다.
    인체의 신비.
    안봐줌.

    (rwycx9)

(rwycx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