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habe.com/sisa/347710
농후한 민달팽이.gif
- 또 누가 합성사진 올렸구만. [5]
- adoru0083 | 6분전 | 919
- ㅇㅇㄱ) 한번 뜯어보다가 육도선인 찾음 [42]
- valuelessness | 8분전 | 699
- 결국 푯값 문제였나…극장가 소비 쿠폰에 주말 관객 15%↑‘쑥’ [줌인] [16]
- 1593729357 | 8분전 | 1218
- ㅇㅇㄱ) 긍정갑이다 진짜 [18]
- 맨하탄 카페 | 9분전 | 784
- 원피스 요즘 진도를 얼마나 빨리 빼는지 알수 있는 것 [20]
- 준야군 | 9분전 | 584
- 서큐버스 조차 너무 야해서 식겁하는 행위.jpg [12]
- ꉂꉂ(ᵔᗜᵔ *) | 10분전 | 864
- 동탁 동탁 동탁 동탁 동탁 [2]
- 버스기사얌 | 11분전 | 511
- 건담의 아버지가 극대노 해버렸다는 그것 [31]
- 함떡마스터 | 12분전 | 1210
- 런닝맨 지예은 집들이 방송 전혀 그런 분위기 아니었던데 [18]
- 5252156 | 12분전 | 491
-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고민을 해결하는 장면 [6]
- 진박인병환욱 | 13분전 | 868
- 마비m) 실제 10대들이 많이 하는 건 맞는 것 같음 [12]
- 반달곰커스텀 | 14분전 | 1061
- 신럼프 근황 [5]
- 야근왕하드워킹 | 14분전 | 420
- ㅇㅇㄱ) 또또또 기자 죽이기 스텝 밟는 '그 팬덤' [23]
- 데스티니드로우 | 15분전 | 495
- 농심라면 60주년 [15]
- 에스삼프로 | 15분전 | 1108
민달팽이: ㅗ
히토미 켜도 됨?
파리지옥 잎도 저렇게 큰 먹이는 감당이 안 될걸.
빨리 소화 못 시키면 먹이가 썩으면서 잎도 같이 썩어.
나도 어릴 때 그거 때문에 파리지옥 많이 죽는거 봄.
접사나 클로우즈업 촬영해서 크게 보이지 원래 잎 한장 크기가 엄지손톱 정도 됩니다.
열대습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라 주식 곤충은 파리라고 하네요. 개미는 그냥 빠져나오고 모기는 너무 가볍고 날쌔서 못잡고...
(같은 열대 습지 식물인 라플레시아도 파리를 이용해 수분을 합니다.)
벌레잡이 식물로 워낙 유명해져서 다른 나라에서도 키우게 되면서 가끔 잠자리나 딱정벌레, 심지어는 하늘소 같은 것도
잡히는데 파리보다 훨씬 크거나 껍질이 단단한 곤충은 소화를 못시키고 썩어버린다고 합니다.(입 다물 때 에너지 소모도 심하고)
사진의 민달팽이는 미끌미끌해서 그냥 나오지만, 그 안에 갇혔다고 해도 소화 못시키고 죽을 겁니다.
그래도 한 뿌리에 나오는 잎이 많고 또 자라니까 사냥 실패했다고 식물 자체가 죽는 일은 없는 듯 하더군요.
상대가 나빴다
민달팽이: ㅗ
히토미 켜도 됨?
근데어차피 갇혀버린다고 해도 못먹지않나 진짜 뒤질때까지 입닫고있으면 식물이먼저뒤질거같은데..
녹혀먹으니까 달팽이도 녹지않을까.
닫은 후에 소화액이 나옴
소화액 분비
가둔다음에 산성액 나오는거 아님? 암만 달팽이라고 해도 놉을거 같은데.....
곤충도 녹여먹는데 달팽이 쯤이야.....
훔훔 달팽이가 점액있다보니 궁금하긴해서 적었는데.... 자세히 아는분은엄나보근 :3...그럼 검색하러떠나봄
파리지옥 잎도 저렇게 큰 먹이는 감당이 안 될걸.
빨리 소화 못 시키면 먹이가 썩으면서 잎도 같이 썩어.
나도 어릴 때 그거 때문에 파리지옥 많이 죽는거 봄.
녹인다는게순식간에 녹이는것도 아니고 며칠 몇주에 걸쳐서서서히 녹이는거거든
ㅇㅇ...식충식물들에대한 지식은 충분히알지만 달팽이처럼 점액있는얘들을 대상으로는 잘모를뿐이지..
몆주라해도 한달이상 안감..2주이내로 못하면 지가먼저뒤지는거임
정글 사셨어요?
잎이 존나크면그냥다쳐먹는다고 보면된다고한다. 개구리도쳐먹음
하지만 자기 잎의 반이상의크기는 점액같은놈들은 위사진처럼 쏙빠져나간다고함. 아니면 졸라쌔던가
그외놈들은 다쳐먹는다고 합니다..
차라리 그랬더라면... 중학생때 식충 식물을 좋아해서 여러개 키웠었어.
파리지옥이랑 끈끈이주걱 등등.
접사나 클로우즈업 촬영해서 크게 보이지 원래 잎 한장 크기가 엄지손톱 정도 됩니다.
열대습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라 주식 곤충은 파리라고 하네요. 개미는 그냥 빠져나오고 모기는 너무 가볍고 날쌔서 못잡고...
(같은 열대 습지 식물인 라플레시아도 파리를 이용해 수분을 합니다.)
벌레잡이 식물로 워낙 유명해져서 다른 나라에서도 키우게 되면서 가끔 잠자리나 딱정벌레, 심지어는 하늘소 같은 것도
잡히는데 파리보다 훨씬 크거나 껍질이 단단한 곤충은 소화를 못시키고 썩어버린다고 합니다.(입 다물 때 에너지 소모도 심하고)
사진의 민달팽이는 미끌미끌해서 그냥 나오지만, 그 안에 갇혔다고 해도 소화 못시키고 죽을 겁니다.
그래도 한 뿌리에 나오는 잎이 많고 또 자라니까 사냥 실패했다고 식물 자체가 죽는 일은 없는 듯 하더군요.
민달팽이가 진화해서 고양이가 됐다는데?
오빠 빼 ...
으악 시발 물컹물컹
상대가 나빴다
저거 개구리 먹는것도있는데
개구리는 뼈만 남을까?아니면 체액만 빨릴까?
아니면 아무것도 안남을까?
저도 파리지옥이 개구리 잡는 거 봤는데, 개구리랑 곤충은 표피 구성성분이 달라서
아마 파리지옥의 소화액에 소화는 되지 않을 겁니다.
그래도 아마 오래 못 가 개구리 역시 압박이나 질식, 굶주림 등으로 죽을 수는 있을 겁니다.
그러면 나중에 시체 째로 그냥 썩은 잎과 함께 떨어지겠죠.
비켜봐.. 시켜볼게 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