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92966

타인의 삶

4차 산업혁명이라는 미명하에 발생 된 유비쿼터스의 상용화는 인공지능의 계발로서 점처지며 유명기업들이 주도권을 행사하는 것이 지금의 실정입니다. 대량화 생산 체계를 이루기 위한 초석이 아마도 지금에서 보여나지는 인공지능 로봇이겠습니다만 기초 세포를 지닌 생물이 아닙니다. 현상학적으로 분석된 알고리즘에서 일궈 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의 가시적인 단계적 진보일뿐이지 생명기초공학의 안전된 증명성은 제외 된 시기상조의 가십성이라는 결론이 저로서는 지배적인 식견입니다.
기초의학분야의 더딘 나아감은 세속에서 납득할만한 분명한 사실성이 존재합니다.
먼저, 현 연구자들의 꾸려야할 생계에 있어서 감당하기 힘든 고달픔(노동시간,월급,근무환경의 열악함)이 따른다는 이유로 지원자가 많지 않다라는 뉴스들에서 의레쉽게 짐작할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많은 인재들은 생계와 경력을 염려하여 기업으로의 진출을 요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리고 국내에는 세계 초일류 기업들이 많지 않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비젼을 이끄는 기업은 삼성과 LG(전자제품 생산 업체)가 유일하며 독보적입니다. 인재들이 배움의 터전을 벗어나 사회진출을 할시에 대기업의 진출로가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대다수들은 이를 희망하고 있으며 기업들 또한, 기술과 생산체계를 갖추고 있음에 전국의 수많은 공과대학들을 방한하여 기업의 가치와 비젼을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저의 경험담을 자아내보면 제주에는 꽤나 오래전에서 본사를 이전한 포털사이트(daum) 회사가 존재합니다. 이들은 국립제주공과대학에서 이수해야하는 필수 전공과목으로까지 학과목을 채택해가면서 절대적인 신의를 학교로부터 얻어 갑니다. 어쨌든 학부생들을 위한 회사 고위 간부들의 빈번한 출몰(강의 및 간담회)들은 학부생들에게 있어 현실적인 피드백을 주기에 의심할 여지가 없는 좋은 일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포털사이트와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대기업은 존립의 맥을 달리합니다. 국민을 통한 이윤의 창출에서 회사를 꾸려가지만 포털사이트는 실질적인 제품생산업체가 아닙니다. 자칫 이야기하고자 하는 요점을 흐릴 수 있기에 각설합니다. 그러나 분명하게 대기업들과 정부, 국민을 잇는 미디어(포털사이트, 뉴스미디어)의 이해관계를 인지할 필요성은 있는 것 같습니다.
대기업들의 획기적이며 혁신의 기획이 실례의 사례들로 전세계로 방영이 되면서 대중 미디어와 국민들로 하여금 신선함의 관심과 동요를 강하게 일지만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비쿼터스의 발명이 갖는 궁극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국민의 의식적 관심과 상식성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기업이 제품을 개발하여 국민으로부터 생산과 소비를 부추길 때 지녀야할 기본 미덕은 국민의 안전과 정직, 실리와 합리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의 참된 경제적인 지출로부터 얻어가는 이윤들은 곧, 기업의 고귀한 명예와 직접적인 가치로서 매김됩니다.
사회를 살아가는 오늘의 시간들에서 기업과 국민의 대립된 이슈들을 찾아내보면 기업이 추구하는 명예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할수 있습니다. ‘대기업 한국전력과 밀양 주민들의 송전탑 사건’, ‘대기업 삼성(lg,중소기업)과 반도체 생산공정 근무 노동자들의 백혈병 발병에 관한 논란’이 10년이라는 긴 시간을 경유하며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이슈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둘 사건에 대한 심층적인 뉴스자료 파악이나 당사자들과의 직접적인 인터뷰들의 실증의 검토는 없었지만 기업과 소시민들이 결코 해소치 못하는 근본원인들이 무엇인지는 충분하도록 공감과 납득이 갑니다. 우선, 기업들의 경영윤리나 미디어의 보도들에 대한 선입견적이며 부정적인 주관들이 배제 된 중용적인 마인드로서 사건의 인과관계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사건 당사자들의 발병으로 맺어 진 단명으로서의 한과 기업가들의 불명예는 과학적인 정확한 분석력을 바탕으로 하여 신속한 원인규명이 이루어져야 할터인데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학자들의 견해를 빗대보아도 발병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증명을 할 수 없기에 아직까지도 사건들은 미제로서 진행이되는 것 같습니다. 공중전파로 방영되는 미디어의 석연치 않는 반응과 경미된 보도들은 아마도 불충분한 과학적인 자료들이 갖는 한계성에서 비춰지며 특히 공정성과 신빙성이 어긋나는 현실이 될까하는 짙은 염려심에서 보여나집니다.
세상은 자본주의를 기반으로하여 모든 것들이 태생화가 됩니다. 그리고 생명이든 기호상품이든 문화예술, 교육기관들의 퀄리티는 정부와 기업에서 뚜렷한 연계성을 지닙니다. 국민으로 얻어진 세금에 의해서 정부는 모두의 혜택을 위한 최선의 이행을 궁리하며 기업은 세금(소비자가격)이 포함된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우며 대중에게 마진을 추립니다. 그러나 국민이 납세하는 세금은 한정이 되어져 있고 높지 않게 한정 된 세금에서 이뤄지는 삶의 윤택함은 매년 기대감을 채우지 못하는 것이 세속의 실정입니다. 대신 대기업의 성과와 성장률은 해를 거듭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이윤을 취하며 발전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대기업들의 경제적인 여유에서 발생 한 당사자들의 피해는 너무나 아이러니합니다. 송전탑에서 발생되는 강한 전자파가 인간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는 인식은 전 세계인으로 하여금 당연한 이성적 의식을 갖습니다.
과학적인 확실한 증명이 불가하다 라는 전제하에서 건설 된 밀양송전탑과 제가 지금 거주한(제주도) 지역에서 자리한 송전탑의 존립은 기업의 배려가 전혀 없는 안전이 불감된 행위로 밖에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인적이 없는 산림지역이 충분하게 있는데도 굳이 밭을 일구며 생계를 꾸리는 소시민의 생활터전 위에서 건설이 됐음은 안전에 대한 상식적인 경각심이 과도하게 멸시된 기업의 안일한 행위로서 나타납니다. 만약 이곳에서 실제로 거주하는 소시민이 발병으로 인해서 삶이 단명이 된다라면 이로서 일가족이 기업의 책임을 추궁한다라면 미디어와 국민은 어떤 의식의 저울로서 사태를 인지해야 할지 난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밀양 송전탑 사태에 이은 삼성 반도체 생산 공정 체제에서 나타난 사태 또한 삼성의 불명예(산재)를 인정함에서 일단락 된거 마냥 보도가 되었지만 최근에서(2017) 발병에 의해 단명한 또 다른 노동자로 인해 피해 노동자들은 더욱 분개함의 의식으로서 기업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사회에서 경제적인 여유를 갖추지 못하는 많은 노동자들은 왜 건강이 불안정한 기업의 터전에서 계속 삶을 꾸려가고 있음이 쉽게 헤아려지질 않습니다. 결국, 기계 자동화의 정밀 생산체제를 다진다고 하여도 누군가의 노동력이 반드시 필요함에서 씁쓸한 헤아림이 듭니다.
삶을 이루는 모든 것들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기업과 정부의 주도하에서 도래하는 문명의 진보는 결국 건강한 생명으로서의 삶을 오래도록 영위하기 위함에 意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상용화되는 공학의 산물들이 단순하게 삶을 편의롭도록만 한다라는 이유에서 혁신이라는 단어를 함부로 남용해서는 안될것입니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기초의학의 미약함을 배제한 기술적인 개발들이 마치 기업의 혁신으로서 국민들의 의식을 매김해가며 기업의 이면에서 드민 분명한 피해사례들이 왜 지금에서까지 도래하고 있는지를 간파해야 할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저 같은 경우처럼 너무나 오랜시간이 지속되면서까지 관찰된 임상실험이 세계적으로 전무하다라는 전제하에서 이야기를 끝맺으려 합니다.
대표적으로 스테로이드나 담배, 술도 마찬가지이며 심지어는 비타민, 보약조차 긴 시간의 복용은 부작용을 염려합니다. 신진대사의 원활함, 호르몬의 분비나 촉진, 자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세포들의 순리적인 변화들이 만약 가공 된 기술로 인해서 현실에 도래된다라면 분명 불안전한 상황이 언젠가는 야기가 될 거라는것을 의레 짐작 해봅니다. (공학계의 발전과는 상반된 기초의학계의 열악한 현실)
제주 도민올림
([email protected])
직접 촬영한 사진자료입니다
송전탑2.jpg
직접발췌한 뉴스자료입니다 https://blog.naver.com/businessinsight/221044595908
댓글
  • 뭔일이레 2017/07/09 05:29

    한 문장 안에 여러개의 주어, 술어가 있고, 도치된 목적어와 술어가 적지않아 읽기가 쉽지 않은 글입니다. 명료한 글은 정확한 정보와 글쓴이의 의도를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한 전제조건입니다.
    댓글의 댓글 ▼

    (JEuo6V)

(JEuo6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