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151211

캐니콘의 기술력이 소니보다 뛰어난가요?

유튜버들 리뷰 영상 보고있는데요
현재는 풀프레임 미러리스에서 소니가 우세하긴한데
곧있으면 캐니콘 렌즈군도 확대되고 2세대 바디로 넘어가면 소니가 위태롭다고 하던데요
지금 현재 나온 최신 카메라들만 보면 소니가 압도적인 우세 아닌가요?
그냥 잠재적인 기술력이 캐니콘이 뛰어난가요?
렌즈 얘기를 많이 하던데 솔직히 가격대가 비싸서 그렇지 소니 GM렌즈들이 캐니콘 최상위급 렌즈에 비해서 꿇리나요?

댓글
  • 멋쌩이 2019/09/02 10:29

    금송아지는 소니에도 있어요

    (LZG72P)

  • 혜원삼촌 2019/09/02 10:31

    맹목적으로 제한적인 정보만으로 영상 올리는 유튜버들이 적지 않아요.
    시청하는 사람들도 공부해가면서 봐야 하는 시대인 것 같아요 ㅠㅠ

    (LZG72P)

  • 스트렛킴 2019/09/02 10:31

    소니콘이 3년지난 a9비슷한 바디도 못내놨는데 한방에 역전이 가능하리라 보진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그게 맞지 않나요

    (LZG72P)

  • 맨도롱똣똣 2019/09/02 10:51

    캐니콘 오타죠?

    (LZG72P)

  • 스트렛킴 2019/09/02 10:57

    오타내요 캐니콘

    (LZG72P)

  • 이휘경 2019/09/02 10:32

    소니 캐논을 같이 쓰는데 렌즈는 캐논이 조금 나이보이기는 합니다. 근데 바디는 소니 압도적 우세...

    (LZG72P)

  • 카린임당 2019/09/02 10:33

    캐논사십쇼!

    (LZG72P)

  • 〃제피르〃 2019/09/02 10:33

    나오기전까진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그냥 뇌피셜 or 내뇌망상입니다.

    (LZG72P)

  • 멜론향기™ 2019/09/02 10:38

    캐니콘에서 더 좋은게 나오면 그때 넘어가면되죠

    (LZG72P)

  • Performer 2019/09/02 10:41

    렌즈군은 사실 캐논이 캐니소 중에는 가장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바디는 소니가 많이 우위라고 보네요

    (LZG72P)

  • 서정준 2019/09/02 10:42

    그냥 그렇게 심플한 이야기는 아니구, 일단 새 마운트를 꺼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e마운트보다 장점이 있는 건 분명합니다. 기술적으로도 바디제조 능력 자체는 3사 모두 거기서 거기라고 보고요. 선택의 문제죠. 예컨대 a9이 타사 플래그쉽보다 출시가 자체가 몇백 싸게 나왔지만 a9은 실질적으로 타사 플래그쉽이랑 비교해보면 버퍼나 방진방적 등의 부분에서 원가절감된 면이 크죠. 그런 식으로 만들면 아마 캐니에서 나올 프로레벨 미러리스 역시 가격차 거의 없게 나올 수 있을 겁니다.
    결국 바디쪽은 소프트웨어에서 소니가 몇년 더 빨리 시작한 잇점이 있는데, 폰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소프트웨어적 장점은 쫓아가기도 쉽지만 완벽히 넘어서기도 어렵습니다. 그러나 소니 역시 사실은 2세대까지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3세대 넘어오면서 많은 부분 새로 시작했기 때문에, 향후를 봐야죠. eye af 외에는(그게 절대적이지만) 그외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죠.
    렌즈 제조기술 자체는 각자 장단이 있죠. 소니는 모터제조기술이 압도적입니다. xd리니어모터 같은 건 타사에 아예 없을 거에요. ddssm 정도가 비슷한 게 있고요. 대신 e마운트의 취약점을 소프트웨어로 보강하는 게 많아서 길게 보면 좋을 건 없다고 봅니다.
    니콘은 e마운트 초창기를 따라잡으면서 영상쪽에 힘을 싣고 있는 모양새고요. 자금이나 기술에서 크게 앞서는 부분은 없지만, 그렇기 때문에 때려박을 수 있는 부분이 있죠. 영상 raw 레코딩은 여전히 z시리즈랑 s1h만 됩니다.(사실 이제 니콘의 라이벌은 저쪽이라고 봐야죠)
    캐논은 광학성능에 연구개발 많이해서 그쪽에서 장점이 있고 시네마 라인을 별도로 유지하기에 사진 위주로 확실히 힘을 싣고 있죠. 소니랑 반대로 모터가 느려도 알오이 먼저 꺼내놓는다던ㄱ 하는 식으로요.
    결국 시간 지나면 상향평준화 되겠지만, 태생적인 잇점은 결국 캐니쪽이 좀 더 있죠. 소니는 시장 선두주자고, 사진영상 모든 면에서 우위여서 지킬 게 많아요. 당장 s3, rx10m5만 해도 영상스펙을 어떻게 절충시키는가 조절하느라 몇년째 못나오고 있죠.

    (LZG72P)

  • plusfort. 2019/09/02 10:46

    그때그떄 땡기는거 기변해서 쓰면되쥬~
    제 개인적인생각으로는
    상향평준화시점이 오면 캐니콘이 유리할거같긴합니다.

    (LZG72P)

  • Estel 2019/09/02 10:49

    여려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소니가 독보적으로 뛰어난 부분이 센서관련분야라서
    특히 센서의 성능(센서내장 측거모듈)에 의해 AF성능과 바디 성능이이 좌우되는 미러리스 바디에서는
    미러리스 분야에서 당분간은 소니의 독주가 예상되지 않나 싶네요...
    장기적으로는 렌즈 마운트 설계에서는 캐니콘이 미래를 보고 잘 설계해놔서
    바디가 따라잡히면 결국 렌즈군에서 밀리게는 될겁니다.
    지금 캐논이 삽질하는것 처럼 보이는 초고가 RF렌즈군들이
    렌즈가격이 싸지고 중고가 많이 시장에 도는 시점에서는 엄청난 강점으로 돌변하겠지요...

    (LZG72P)

  • eggry 2019/09/02 11:15

    사실 이미 RF50.2가 50.4Z 출시가보다 쌉니다. 원래 더 비싼 렌즈라 추월은 어렵지만 이정도면 살만하다고 들어올 순 있죠. 이런 게 쌓이면 의미가 있겠죠.

    (LZG72P)

  • 곡물님 2019/09/02 10:50

    제생각으론 파나가 소니 넘엇다고 보네요..

    (LZG72P)

  • nepo 2019/09/02 10:51

    절대적인건 없습니다.
    미래는 몰라요.

    (LZG72P)

  • luxuryphoto™ 2019/09/02 10:51

    Jpg 로 색감 이쁘게 뽑아내는게 유리함
    다들 그걸 원하니까

    (LZG72P)

  • d700일라라 2019/09/02 10:53

    캐 니콘이 기술이 소니보다 못하진 않을겁니다.
    캐니콘의 Dslr시장은 아직 살아있는 시장이고
    소니는 죽은 시장이니 전략의 차이가 있을수 밖에 없죠.ㅎ

    (LZG72P)

  • A7M3_올라인 2019/09/02 10:54

    저는 캐논의 듀얼픽셀 기술이 미래지향적인 센서방식이라고 봅니다. 삼성도 nx1때부터 모바일이미지센서까지 듀얼픽셀방식(캐논하고는 살짝 다른방식)을 차용하고 있구요. 아직까진 이미지센서쪽에선 소니가 우세하지만, 카메라 만듬세는 아직까지 캐니가 더 낫다고 보구요...ㅎㅎ 시장의 흐름은 어떻게 될진 모르니까여

    (LZG72P)

  • Refactoring 2019/09/02 11:01

    삼성 nx 이름 붙은 기종 중에 듀얼픽셀 방식 들어간 기종은 하나도 없습니다

    (LZG72P)

  • A7M3_올라인 2019/09/02 11:05

    nx1때부터 이면조사형이고 DPAF라고 듀얼픽셀위상차를 활용해서 af를 잡는다고 그러던데요
    댓글의 댓글 ▼

    (LZG72P)

  • Refactoring 2019/09/02 11:06

    S5kVB2 인데 이면조사형이지만 듀얼픽셀은 아닙니다

    (LZG72P)

  • A7M3_올라인 2019/09/02 11:07

    http://www.samsung.com/semiconductor/image-sensor/mobile-image-sens...
    NX시리즈는 아니었나보네요..
    최근 삼성의 이미지센서는 듀얼픽셀 af방식을 쓰고 있긴합니다.

    (LZG72P)

  • Refactoring 2019/09/02 11:08

    네 모바일용은 s7 부터 들어가고 있죠

    (LZG72P)

  • A7M3_올라인 2019/09/02 11:10

    정보감사합니다 ㅎㅎ 잘못 알고 있었던부분 바로 잡게 됬습니다.

    (LZG72P)

  • Refactoring 2019/09/02 11:15

    별 말씀을요~ 대단한 것도 아니고 그 시절 그냥 그쪽 업계에 있었어요;;

    (LZG72P)

  • A7M3_올라인 2019/09/02 11:16

    오우야... 한국 광학산업을 이끄셨던 분이셨군요. 커뮤니티에서라도 뵙게되서 영광입니다.

    (LZG72P)

  • 애덤스 2019/09/02 10:54

    사진결과물로 봤을때는 캐니콘이 좋은건 사실인듯하나
    동영상관련된 오토포커싱 기술이라던가 그런 센서부분은 소니가 압도적인건 맞는듯.그리고 바디의 만듦새또한 캐니콘이 더 우세함.
    소니는 여전히 방진방적 미흡함..

    (LZG72P)

  • 추월色 2019/09/02 10:54

    요즘엔 오히려 파나소닉의 행보가 거침없어서 궁금함

    (LZG72P)

  • eggry 2019/09/02 10:57

    지금은 소니가 먼저 나와서 렌즈가 싸고 많다는 이점이 있고 바디는 센서와 전자기술에 우위가 있죠. 시간이 지나면 상향평준이 될 거고 그때면 메이커 선택은 기호의 문제가될테죠. 지금도 캐니 정도 성능이면 충분하고 손맛이나 액정이 더 맘에 들어서 산다는 사람이 있는데 소니가 성능 좋아지는 속도보다 캐니가 따라잡는 속도가 더 빠를 건 자명하니 이정도면 괜찮다 생각하는 사람은 앞으로 늘어나면 늘어나지 줄어들진 않겠죠. 소적소라고 라인업 관리한다고 스펙 제한한다거나 하는 부분도 변수일테고요.

    (LZG72P)

  • eggry 2019/09/02 11:03

    렌즈 기술은 거의 그게 그거라 보고 기획과 전략적인 의미가 커 보이는데 캐니의 1.4 대신 1.2 단렌즈 정책이 어떤 결실일진 두고 봐야겠고, 모터 기술은 소니가 앞서있지만 한편으로 초기 렌즈들은 지금 캐니보다 떨어지는 모터라 85.4GM이나 50.4ZA는 좀 딸리는데 여기에 대응할 캐니 렌즈는 처음부터 좋을 수도 있죠. 바디 쪽은 거의 전자화됐고 소니 기술이 확연히 앞서지만 수확체감의 법칙으로 갭은 줄어드리라 봅니다. 그때부턴 가격과 취향의 문제죠.

    (LZG72P)

  • 재선75 2019/09/02 10:58

    카메라가 광학기기에서 전기전자 제품으로 넘어온 지금...소니의 기술력을 따라가기엔 니콘 캐논이 많이 밀릴듯합니다..
    니콘은 센서도 자체생산이 안되니 더 그럴것이구요..
    저는 광학기기 분야에서 20년 가까이 근무하고 있습니다..제가 렌즈를 깎고 조립하고 설계하는건 아니지만...30년전 제품이랑 지금 나오는 제품이랑 렌즈 성능은 정말 큰 차이가 없습니다..물론 코팅기술이라든지 내부 모터 기구의 발전은 비교할수 없지만 렌즈 자체의 발전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소니는 현재 영상 음향에서 거의 독보적입니다..영상을 카메라에만 국한시켜 본다면 모를까 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장비들만해도 어마어마합니다..
    전자기술에 미놀타의 광학기술까지 가지고 있으니 사실 니콘캐논이 소니를 넘어서려면 뭔가 큰 한방이 있어야 할것 같은데..두 회사 모두 너무 보수적이라 시장을 따라가는 추세인것 같습니다..
    기계적 완성도는 니콘 캐논 플레그쉽 바디가 좋은건 압니다..
    저도 많이 썼었구요..하지만 지금 시대에 그건 여러가지 스펙중 한줄정도 어필할수 있는 장점이고..디지털로 넘어온 지금 소니를 넘어서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LZG72P)

  • 이휘경 2019/09/02 10:59

    솔직한 심정으로는 지금 하이엔드 카메라가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카메라 시장이라는 측면에서는 미래가 있나 싶습니다.

    (LZG72P)

  • [D750]흙손 2019/09/02 10:59

    소니의 신제품 출시 속도가 타사가 따라올 수 있을 만한 속도가 아닙니다
    소니는 산제품을 낼때마다 엄청난 기능들을 보강하면서 출시하죠
    예전 카메라 회사들은 5d만해도 출시주기가 5년 이었죠
    소니는 절반에 가까운 속도로 출시합니다
    가후로 유저들한테 까이긴 하지만 타사에는 굉장히 위협적이죠
    아시겠지만 보통 회사는 출시 되는 제품의 몇단계 앞서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제품을 보면 기술력이 얼마나 어마어마한지 알 수 있죠

    (LZG72P)

  • 뽀샤시 2019/09/02 10:59

    딱 이겁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

    (LZG72P)

  • 해피스냅퍼 2019/09/02 11:03

    캐니콘이 앞서면 그때가서는 캐니콘 사면되죠.
    소비자는 내가 쓰는게 제일이라며 칭찬만 할게 아니라
    단점을 얘기하고 개선점을 찾아내서 메이저 3사가 서로 싸우게 하면 됩니다.

    (LZG72P)

  • Sunny-16 2019/09/02 11:04

    최근 5~10년간의 흐름만 봐서는 안되고
    장기적으로 봐야죠~
    미래를 예측하긴 힘들겠지만...
    아마도 상향평준화 될듯하네요.
    점점 각 3사의 특색이 사라지면서 말이죠.

    (LZG72P)

  • 겨울세상 2019/09/02 11:05

    기술력까지는 모르겠지만 누구나 알듯 현재의 바디 성능은 소니가 압도적이죠
    그런데 상품성과 기술력은 살짝 다른 문제라서 풀프미러리스 시장에서 캐니콘이 2~3세대 발표할수록
    뒤집힐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보입니다.
    실제로 과거에 캐논이 크롭미러리스만 만들던 eos m1 시절에는 소니에게 성능이든 점유율이든
    상대도 안되었는데 렌즈군 늘리고 점차 자리잡다가 eos m3 나오고부터 비슷하다가
    m50 나오고 크롭미러리스는 캐논이 소니보다 점유율이 높아요
    언제나 비슷한 시기의 소니 6000 시리즈가 성능이 압도적인데도 말이죠

    (LZG72P)

  • sealmm 2019/09/02 11:05

    현재를 봐야죠 미래는 점쟁이나 보는거구요.

    (LZG72P)

  • 6dmarkll 2019/09/02 11:06

    미러리스 dslr 사진 찍는 사람중에 로우뇨 보정 하는사람 25%로도 안될겁니다.
    대부분 사진을 찍으려고 샀을겁니다
    사진 찍는 시간보다 컴퓨터 앞에 있는 시간이 많으면 뭐하는 짓인지 시간이 지나면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바디 기능이 압도한 소니가 있지만 기본 jpg가 충실한 캐논 후지 등등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여자들이 피사체로 찍힐때 화사한거 좋아하지 너무 디테일하고 사실적인거 좋아하는 여자는 본인이 정말이쁘거나 풀메이크업 모델이 아닌이상 찍어서 주면 뒤에서 욕먹습니다.

    (LZG72P)

  • 인생은timing 2019/09/02 11:10

    이거 레알... 지가 빻은게 문제인데 진짜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나오면 싫어함
    폰카 필터로 고친 얼굴이 자기 얼굴이라 믿고있음

    (LZG72P)

  • 6dmarkll 2019/09/02 11:12

    이젠 인정해야 할 시기입니다.
    여자들에게 폰카는 거짓이야 하는건 너 못 생겼다고 하는것과 같습니다.

    (LZG72P)

  • campro 2019/09/02 11:09

    예전엔 광학기술이었으나...어느정도 상향평준화된후에는
    이젠 전자기술인거 같습니다...얼마나 싸고 좋은성능으로 빠른 시간에 출시하느냐

    (LZG72P)

  • 사자후★ 2019/09/02 11:12

    현재는 소니가 압도적이고, 미래는 장담 못하겠네요.
    캐논이 분발했으몈 좋겠습니다

    (LZG72P)

  • 자림♡ 2019/09/02 11:13

    단순히 이야기하면 브랜드의 가치라는게 그런겁니다.
    필름SLR 수십년을 휘어잡은 니콘과.
    디지털초기 저렴하고도 괜찮은 성능의 바디를 통해 10년여간 시장을 선도한 캐논.
    지금 현재시점이 아니라, 과거 시점을 생각했을때의 이미지라는게 그런거라는거죠.
    다만....
    캐논과 니콘 풀프레임 미러리스가 나오기 직전.
    " 당연히 캐논과 니콘의 미러리스는 소니 3세대따위보다 좋을거다 " 라고 하시던 분들의 기대가 와장창 박살났죠.
    특히 니콘은 초기에 별의별 욕을 다먹었죠.
    본인들의 망상에 가까운기대는 생각도 안하고요.
    실상은 1세대 미러리스임에도 꽤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기본기도 탄탄한편이라, 꽤나 많이 팔렸고요. 특히 z6를 영상에 사용하시는분이 꽤 많다고 합니다.
    그후로는. "1세대는 1세대니까. 2세대가 나오면 다를거다!! " 라고 하고 있는거죠. 한번 크게 데여놓고도 학습효과가 없으신듯.....
    뭐. 실상은 어떨지 아무도 모르지만.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기대값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평가 절하라는게 그런거죠.
    아직도 자주 나오는 소니에 대한 이야기가.
    "소니 카메라는 전자제품이다" 라는건데.
    아... 님들 카메라는 전자제품 아니라서 배터리없이도 찍히나봐요.......(....)

    (LZG72P)

  • cylot™ 2019/09/02 11:14

    의미없는 글에 많은 분들이 답을 달아주시네요.

    (LZG72P)

(LZG7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