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051298

노출/스트로보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스트로보를 이제 처음 구매하여 이것저것 찍어보고 있는 왕초보입니다.
스트로보를 잘 쓰고 싶어 인터넷에서 스트로보 관련글들을 찾아보다가 아래 링크의 글을 보게되었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3972550
(사진을 가지고 오고 싶었으나 원 저작저분의 허락을 받지 못해 링크로 남깁니다.죄송합니다..)
사진을 보면 확실히 이상하게 찍힌 사진이라는 느낌이 드는데요.
저 상황에 제가 찍는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찍어야할지 감이 안오더라고요. 천장이 너무 낮아 천장 바운스를 치려고 해도 문제가 생길것 같고 바운스를 포기하고 정면으로 조명을 터뜨리면 동굴현상 같은 이상한 사진이 나올 것 같고요.
Q1. 저 상황에서 스트로보를 어떻게 사용해야 그나마 나은 사진을 건질 수 있을까요?
Q2. 댓글을 보니 ' iso 500, f5.6, 1/60 ' 를 지적하시는 글이 보이는데 이 조합이 이상한건가요?
-만약 조리개 값 때문이라면 저 상황에서 스트로보의 광량으로는 F8이상은 불가능해보이고 ISO도 이미 500을 넘겨서 ISO를 올리기에도 무리인 상황 아닌가요?
Q3. 화이트밸런스가 AUTO임을 지적하시는 분도 많으신데 화밸을 오토로 두고 RAW 파일로 찍는다면 큰 영향은 없지 않나요?
Q4. 2470렌즈를 사용하는 것을 지적하는 분도 계신데 2470렌즈가 저 상황에서 별로인 렌즈인가요?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저 글을 보니 제가 찍는다고 하더라도 저 사진과 큰 차이가 없는 결과물이 나올 것 같아 저 사진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면 제게 좋은 공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이렇게 질문글을 올립니다.

댓글
  • 카린임당 2019/05/30 23:02

    ttl 모드로 천장 바운스.치구요 바디안에 설정보면 플래쉬 노출보정 있어요
    그걸로 조정 하셔도 되구여 -1+1 그정도 바운더리에서 아니면
    스트로브에 있는 걸로 노출 보정으로 조정하며 찍으시면 될거에요

    (jAMPET)

  • 카린임당 2019/05/30 23:04

    천장이 없으면 a4 종이로 가리고 터트려도 됩니다

    (jAMPET)

  • rocate 2019/05/30 23:06

    제가 GN56짜리 스트로보를 사용중인데 풀발광으로 사용하여도 빛의 도달범위가 넓지 않더라고요. 특히나 저런 예식장같이 먼 거리의 경우 커버하는 것이 불가능하겠다 생각했습니다. 저 사진의 상황에서 천장에 바운스를 쳐도 사이드까지 빛이 도달할 수 있나요? 링크의 사진도 천장으로 바운스친것으로 보이는데 GN가 낮아서 저런 현상이 일어나는건가요?

    (jAMPET)

  • 카린임당 2019/05/30 23:11

    아 사진은 방금 봤습니다
    사진은 심각하내요
    고독스 쓰고 있어서 저건 범위가 얼마나 나오는지 모르겠내요

    (jAMPET)

  • 카린임당 2019/05/30 23:13

    천장 바운스 친게 아니라
    그냥 직광으로 때린거 같습니다...
    직광 때리면 플래쉬 빛 못받은 부분이 어두워져요

    (jAMPET)

  • rocate 2019/05/30 23:15

    답변 감사드립니다! 천장이 밝아서 바운스 친걸로 생각했는데 직광이군요. 예전에 스트로보+바운스로 광량확보가 도저히 안되면 직광이라도 써야한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무조건 직광도 안되는군요. 빛을 조절하는게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ㅠㅠ

    (jAMPET)

  • 카린임당 2019/05/30 23:24

    스트로보가... 너무 출력이 약한걸로 때린듯....
    고독스860 하십쇼 ㅜㅜ
    200m되야 100m 안에서 노출 조절하며 때리며 찍죠
    빛이 강한걸로 사야 그안에서 조절하기 좋아요
    걍 테스트샷 2~3방 때려봄 그장소 후래쉬 노출 조정
    잡히자나여

    (jAMPET)

  • rocate 2019/05/30 23:26

    저 사진은 제가 찍은 사진이 아닙니다! 공부용으로 적당한 사례같아서 질문드렸습니다.
    현재 HVL-F56AM제품 사용중입니다ㅎㅎ

    (jAMPET)

  • 카린임당 2019/05/30 23:31

    천장에 치면 전체적으로 조명처럼 빛이 분산되서
    찍혀요 플레시 안에 노출조정으로 얼굴 밝기 잡아줌 되요
    소니정품은 안써봐서 그 기능이 없으면 바디에서 조절 가능하니까요 거기서 조절 하심되요

    (jAMPET)

  • 카린임당 2019/05/30 23:33

    스트로버로 안 감도 최대로 올려서
    빛이 부족하면 감도(iso) 올려서
    빛확보 해주면 됩니다

    (jAMPET)

  • rocate 2019/05/30 23:57

    감사합니다! 스트로보에 집중하다보니 ISO를 생각을 못했네요!

    (jAMPET)

  • 알파 마운트 2019/05/30 23:06

    와.. 심각하네요. 구도, 수평, 초점 이런거 다 제껴두고
    실내환경을 전혀 분석, 이해하지 않고 바운스 때린거 같네요
    덕분에 좌우 끝단 인물들은 다 죽은 상태가 됐고
    전 프로나 상업작가가 아닌지라 짧은 지식으로 견해를 말하자면
    감도와 노출보정이라 좀 상향조정했으면 보정빨로나마 어떻게든 살려볼수있지 않을까 싶네요

    (jAMPET)

  • rocate 2019/05/30 23:09

    제가 알기로 JPGE파일로 촬영해버려서 보정이 안된다고(맘에 들만큼) 하더라고요 ㅠㅠ

    (jAMPET)

  • 이로울 2019/05/30 23:11

    jpg라도 어느정도는 보정이 될텐데요...원본 자체가 엄청 심각한가 보네요.

    (jAMPET)

  • 이로울 2019/05/30 23:09

    1. 방법은 여러가지이고 스트로브 1개로 찍는건 무리입니다.
    바운스에 대한 개념이 중요한데요. 천장의 높이도 중요하지만 그것 만큼 중요한건 처음 발광하는 스트로브 광원의 크기와 각도도 매우 중요합니다. 대용량의 모노헤드 스트로브 + 광원의 크게를 키워줄 디퓨저장비가 있으면 편하게 찍을 수 있슴니다.
    2.상황의 판단은 포토그래퍼가 해야겠죠...사진 결과물만 보고 현장 상황을 100%알 수는 없어요. 유츄는 가능하죠. 그리고 해당 사진은 raw 보정으로 좀더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긴 합니다. 그리고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도를 더올리고 조리개를 조이는 방법 다초점 촬영 후 리터칭에서 합성...등등
    3. 영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raw촬영시에도 화밸은 맞춰 찍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해당 사진에서 화밸이 auto여서 문제였다고 할 만한 부분은 없는거 같습니다.
    4.전혀 문제 없습니다.
    보여주신 사진의 문제점은 포토그래퍼가 아닌 아마추어 사진취미자가 나갔는데 하필이면 촬영 조건이 아마추어에겐 까다로운 장소였을 뿐입니다.
    사실 업체도 이제는 정규 직원을 두면서 쓸 수 없을만큼 사진 단가가 폭락하였고 그러다보니 그냥 취미사진사들 보내다 보니 저런 경우들이 종종 생기더군요. 그나마 요즘은 사진촬영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지만...조건이 안 좋은 장소들에서는 전문 본식 작가분들하고는 차이가 아무래도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표촬영이라는 것이 존재하죠.
    사진들도 영상들도...각자 잘 하는 파트들이 존재합니다. 각 스튜디오에 대표들이 다 그런 분들입니다.
    물론 다른 파트도 잘 할 수도 있지만...평소에도 수십 수백번 하는 파트의 일이 아무래도 더 전문성이 있겠죠.

    (jAMPET)

  • rocate 2019/05/30 23:18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스트로보를 구매하면서 이것 하나만 있으면 대부분의 상황을 커버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한계가 명확한 것 같습니다.
    혹시 대용량이라 함은 가이드넘버가 어느정도 되는 제품을 말하는 걸까요? 현재 GN56짜리를 구매하여 사용중인데 이 제품으로 사진을 배우기에는 부족할까요?

    (jAMPET)

  • 이로울 2019/05/30 23:20

    일단 불편한 진실을 말씀드리자면...카메라 장착형 스트로브는 gn16~18정도입니다. 600w급이 gn56~58나옵니다. gn은 그냥 구라라고 보시면 됩니다.

    (jAMPET)

  • rocate 2019/05/30 23:23

    아... 중요한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600W급이 제가가진 스트로보(HVL-F56AM)과 가이드 넘버가 비슷해서 구지 살필요있나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정도로 차이가 크군요.
    알려주시지 않으셨다면 전혀 몰랐을 정보입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AMPET)

  • 이로울 2019/05/30 23:32

    gn을 제는 방법에서 편법을 주면 외장스트로브 gn을 엄청 높일 수 있습니다. 동일 방법으로 600w급 스트로브 gn을 확인하면 gn200내외가 나오더라구요...일반 적인 상황에서는 안나오는 것이기 때문에...gn로 나온건 무시하시고 w급으로 나온 것만 믿으시면 됩니다.

    (jAMPET)

  • rocate 2019/05/30 23:58

    취미로는 외장스트로브로 충분하나 업으로 삼으려면 저런 대용량 스트로보가 필수겠네요.

    (jAMPET)

  • 사진보초 2019/05/30 23:46

    현재 나오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가능한한 iso 를 많이 올려야 됩니다. 최소한 2000 이상 올려야 될 것 같습니다.
    렌즈 화각이 50mm 로 하더라도 플래시에 있는 광량 화각은 수동으로 24미리로 설정해서 넓게 퍼져줘야 합니다.
    그래야 끝단에 있는 하객들에게까지 조명이 날라가요 상황에 따라서 와이드패널까지 써야 되구요.
    또한 바운스 각도도 조정을 해야될 것 같습니다. 천정을 때린다고 하더라도 저렇게 날려버리면 보정하기 정말 빡십니다.
    요즘은 카메라 성능이 좋아서 스트로보 하나만으로도 나올 겁니다 원판도 노스트로보로 찍는 사람도 있어요. .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레임을 안걸리게 잘 하는 사람도 있어요. (물론 그 사람은 플래시를 잘 쓰는 사람일겁니다.)
    플래시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결과물은 전혀 달라집니다.

    (jAMPET)

  • rocate 2019/05/31 00:00

    A57을 사용중이라 고감도의 촬영이 많이 제한될 것 같습니다 ㅠㅠ 조금만 고감도로 가면 노이즈가 확실하게 보이네요.
    답변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적절한 발광량과 바운스 각도를 찾는것이 쉽지는 않아보입니다. 더 노력해봐야겠습니다ㅎㅎ

    (jAMPET)

(jAMP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