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878419

A7M3 쓰시는 분들께 : D레인지 최적화 어떤 값에 맞추시나요?

1. 질문1
A7M3가 LCD로 보는 것보다 실제 로파일 촬영본이 더 어둡게 보여서 살짝 고민입니다.
크롭 바디 쓸 때부터 D레인지 최적화 부분은 그냥 자동으로 해 놓고 썼는데, 이 부분을 Lv3 정도로 올려줘야 할까요?
2. 질문2
저는 보통 초점 영역을 중앙에 놓고 써 왔어요. 풍경을 찍어도 조이면 되니까 항상 멀리 있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띠딕' 소리 나면
셔터를 누르는 식이었습니다. 혹시 다른 분들은 어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AF-C 모드에서 사용을 잘 안해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플렉서블 스팟도 자주 사용하시나요? 693개의 측거점을 잘 활용한다는게 이 초점 영역을 잘 설정하는 것과 관련 있는거겠지요?

댓글
  • 케레인 2019/01/10 00:14

    우선 jpg를 촬영하고 JPG를 카메라와 PC모니터로 보면서 카메라 액정밝기를 조절하세요.
    그렇게 카메라와 모니터 밝기를 맞춘다음 JPG 세팅을 RAW에 맞춰야하는데요.
    전 컨트를 최대한 낮췄더니 비슷하게 되더군요.
    풍경에서는 무한대초점보다 과초점거리를 이용하는게 더 좋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풍경은 삼각대 근처의 근경은 화각에 담기지 않아서 크게 상관은 없지만요.
    전 중앙은 안씁니다. 프랙서블스팟을 가운데두면 중앙인데 굳이 측거점이동도 안되는(불편한)중앙을 쓸 이유가 없죠.

    (lp2j6L)

  • 옵티머스쁘라임 2019/01/10 01:17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도 한번 시도해볼께요~

    (lp2j6L)

  • 서정준 2019/01/10 00:16

    질문1 raw 촬영하면 dro 상관이 없어집니다. lcd 노출을 좀 내리시거나 히스토그램을 보고 찍으시면 되겠네요.
    질문2 afs에 중앙놓고 쓰면 데세랄이랑 다를바 없고 오히려 다이얼 조작이 불편한 편입니다. 다만 질문에 피사체가 뭔지가 안나와있어서 딱히 드릴 말씀이 없네요. 뭘 찍냐에 따라 af영역을 바꾸는 게 큰 차이가 나더라고요.

    (lp2j6L)

  • 옵티머스쁘라임 2019/01/10 01:37

    아...그렇군요. 최근 몇년간은 아이들을 많이 찍었어요. 그러다가 요즘은 점점 풍경을 더 많이 찍게 되네요...혹시 풍경을 찍어도 AF-C 놓고 찍기도 하나요?

    (lp2j6L)

(lp2j6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