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실 로마가 제국으로서 남긴 인상이 워낙 강력하기 때문에 실수나 고증오류라고 하긴 좀 뭣하지만,
황제를 포함한 정부고위인사들은 제정이 수립되고도 수백년 동안 자국을 지칭할때 제국 대신 주로 공화국이라고 불렀다.
왜냐면 로마황제의 지위 자체가 법률적으로는 공화정부에게 강력한 특권을 인정받은 개인이였다가,
제정 수립후 수백년간 (매우)천천히 세습왕조로서의 정통성을 세워가면서 변모하였기 때문이다.
즉, 제정이 수립되고도 수백년간 엄밀히 말해 공식 국호와 정치체제는 공화국이였다는 소리.

단적인 예시로 제정이 수립된지 200년이 넘어 3세기의 위기가 한창이던 251년 아브리투스 전투의 일화가 있는데,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Abritus
당시 데키우스 황제의 아들이자 공동황제였던 에투루스쿠스가 전사하자 데키우스 황제는
"아무도 슬퍼하지 마라! 한 병사의 죽음은 공화국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라고 병사들을 독려한다.
이렇듯 로마인들은 제정이 수립되고 한참 뒤에도 공화정의 정통성을 부정하지 않았으며,
(사실 서로마 멸망 후의 동로마에서도 공화국의 법통을 부정하진 않았다. 집정관 등의 공화국 시절 관직들이 여전히 임명된게 그 증거.)
아이러니하게도 보통 생각하는 수준의 세습황조로 변모하는 시기는 엥간한 대중매체에서는 다루지 않는 4~5세기 즈음이다.
이런 거 보면 고대 삼국시대 국가들의 왕도 초창기엔 저런 느낌이었을까
아하 로마는 북한이었구나
그럼 북한이 제5의 로마?
공화국(황제있음)
로마가 제국으로 지냈던 시절이 공화국으로 지냈던 시절보다 짧던가?
전통이 정말 무섭네....
사실 동로마 제국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멸망때까지 공식국호는 로마 공화국이였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음.
동양의 황제와 서양의 황제 개념이 다른게 저거때문임. 동양의 황제는 왕중의 왕 같은 개념인데 로마에서는 왕[REX]라는 말이 로마 왕정시기 나쁜 일이 생겨서 금기시되니까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바꾼것이라. 실제로 로마 황제지위는 공화국시기에 있는 지위들을 종신으로 바꾸고 그걸 재산취급해서 세습하는 방식이지 흔히 생각하는 왕위계승이 아님
이런 거 보면 고대 삼국시대 국가들의 왕도 초창기엔 저런 느낌이었을까
대부분 부족 연맹에서 시작했으니까, 극초기엔 '왕'보단 '합의에 기반한 수장'(President)에 가깝지 않았을까
아하 로마는 북한이었구나
그럼 북한이 제5의 로마?
로마가 제국으로 지냈던 시절이 공화국으로 지냈던 시절보다 짧던가?
사실 동로마 제국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멸망때까지 공식국호는 로마 공화국이였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음.
당시에도 공화국 체제가 유지가 됨?
동로마 공식 명칭도 정치 체계도 공화국아니었던걸로 기억해서
전통이 정말 무섭네....
네로 이전까지는 공화국 취급했고
네로 이후는 완전 제국 맞음 그때부터 황제 신격화가 시작됨.
네로 이전은 집정관+호민관 이게 황제 이런 관직에 가까웠어
그 방식이 공화국 시기 관직과 지위들을 세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거지 황제라는 지위가 법적으로 따로 있는게 아님
4~5세기경이면 로마제국이 기울어가던때였나?
검색해봐야징
3세기의 위기를 거쳐 다시 안정적인 체제 속에서 천천히 무너져내리던 시기
동양의 황제와 서양의 황제 개념이 다른게 저거때문임. 동양의 황제는 왕중의 왕 같은 개념인데 로마에서는 왕[REX]라는 말이 로마 왕정시기 나쁜 일이 생겨서 금기시되니까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바꾼것이라. 실제로 로마 황제지위는 공화국시기에 있는 지위들을 종신으로 바꾸고 그걸 재산취급해서 세습하는 방식이지 흔히 생각하는 왕위계승이 아님
심지어 제정으로 변했다고 생각하는 중세때도 여전히 공화국적 특성이 남아있었음. 그것도 꽤나 쎄게.
공화국(황제있음)
SPQ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