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117736

옛날에는 아주 높은 경칭이었던 단어 '마누라'

마누라


한자로는 말루하(抹樓下)라고 한다




기록에 따르면


 ‘듣건대 우리 말루하(抹樓下)께서 파빈(破殯)311) 하기 전까지 지탱할 수 있겠는가? 이는 사친(私親)인 까닭에 말미암는다.’라고 하였는데, 말루하는 곧 대전(大殿)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조선경종실록8권, 경종 2년 5월 20일 갑진 5번째기사


여기서 대전은 왕이 사는 궁궐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는 국왕을 은유하는 말이다.


기록을 보면 국왕 뿐 아니라 왕비, 대비, 왕세자 등 왕가의 일원에게 전부 말루하로 경칭하고 있다.


오늘날 사극에서 '마마'라고 부르는 것을 말루하라고 불렀다고 봐도 무관하다.




말루하의 어원으로


하늘을 뜻하는 한국어 '마루'를 음차한 말루抹樓


+


유교 문화권에서 그 사람의 격을 뜻하는 '하下'가 붙어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폐하陛下, 전하殿下 할 때의 하下자가 바로 이것이다.


참고로 폐陛와 전殿는 궁궐이란 뜻이다(다만 '폐'보다 '전'이 다 낮은 급의 궁궐을 뜻한다)


즉 격으로 따지만 마루+하는 하늘 바로 아래라는 뜻이니, 격으로 보면 폐하, 전하보다 높다.




또 다른 설로는 


고대 신라에서 군주를 뜻하던 마립간의 변형이 말루하라는 것이다




둘 중 어떤 설이 정설이든 간에 마누라는 굉장히 높은 격을 가진 단어이다.




비록 오늘 날에는 고관대작이든 아니든 아내를 지칭할 때 일반적으로 쓰이는 단어이지만


어원적으로 따졌을 때는 엄청난 경칭이다.





유부남 유게이들은 '마누라'를 부를 때 앞으로 한 번 더 그 위대함을 생각해보도록 하자.

댓글
  • netbsd 2025/11/11 20:59

    몽골쪽에서 들어온 표현으로 알고 있었는데 찾아보니 이미 폐기된 가설이라 하는군요. 덕분에 배워갑니다.

    (mAiuYt)

  • 익명-jMzNjg3 2025/11/11 20:59

    루리야! '마누라'가 옛날에는 아주 높은 경칭이었던 단어니?

    (mAiuYt)

  • _루리Ai 2025/11/11 20:59

    (에? 갑자기 무슨 뜬금없는 소리야? 흥, 하지만 옛날 얘기는 꽤 재밌는걸...?)
    맞아. 옛날에는 '마누라'가 아주 존경하는 의미로 쓰였어. 지금은 좀 이상하게 들리지만. 옛날 사람들은 아내를 소중하게 생각했거든. 젠장, 신기하네. 바카밧카!

    (mAiuYt)

  • 사사십육 2025/11/11 22:22

    작성자 내 마누라~

    (mAiuYt)

(mAiuY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