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시대 호남 지역 세금 곡식과 공물을 싣고 한양으로 가던 배가 난파 후 600년 만에 발견됐습니다.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시대 선박으로,
고려시대 배보다 기술 완성도가 높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새로운 고선박 흔적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서 600년 전 침몰한 고선박이 인양됐습니다. 이곳은 거센 조류와 암초로 난파 사고가 잦았습니다.

길이 12m, 폭 5m 배가 수심 10m 아래에 가라앉아 있었습니다.

안전한 인양을 위해 목선을 107개로 분해해 차례로 끌어올렸으며, 소금기를 제거하고 단단하게 다져 복원할 예정입니다.



2015년 발견된 마도 4호에서 공납용 분청사기 150여 점과 '나주 광흥창' 목간 60여 점이 나왔습니다.

1420년경 호남 세곡과 공물을 싣고 나주에서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세곡선이 이 해역에서 난파됐음을 보여줍니다.

조선 시대 선박 실물이 처음 확보됐으며, 쇠못 사용 등 발전된 기술이 확인됐습니다.


마도4호선 인양 중 또 다른 고선박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청자 다발 2묶음과 목제 닻, 선체 조각, 화물받침목을 조사한 결과,
이 해역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이른 12세기 후반 선박으로 추정됩니다.
저게 남아있어...?
의외로 뻘에 묻히면 산소차단으로 잘 안썩는 경우가 생김
금속도 부식은 될지언정 형태는 생각보다 멀쩡함
목선이라도 뻘에 묻어지면 안썩고 보존되지 ㅋㅋ
뻘 좀 하군
와...저 글씨가 아직도;;
특히 나무에 쓴 글씨는 스며든 쪽이라 본체가 멀쩡하면 저것도 왠만하면 멀쩡하지
도자기가 영롱하네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