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0미터 가까움 물을 떨어지면서 수차를 이용해 빵공장을 만들어 버린 로마
하루에 밀가루를 4.5톤을 쓴걸로 추정됨
바빌가 수로와 제분소
발견 자체는 1980년대에 했는데 뭐에 쓰는건지 몰라 내버려뒀다가 40년 지나서야 용도를 알게됨
높이 20미터 가까움 물을 떨어지면서 수차를 이용해 빵공장을 만들어 버린 로마
하루에 밀가루를 4.5톤을 쓴걸로 추정됨
바빌가 수로와 제분소
발견 자체는 1980년대에 했는데 뭐에 쓰는건지 몰라 내버려뒀다가 40년 지나서야 용도를 알게됨
빵과 서커스!
건물도 카스테라같이 생겼네
우 우 우
밀 밀 밀
대충 로마의 민심 달래기인 빵과 서커스가
다른 나라였으면 진작 망할짓거리인대
이집트의 풍부한 곡창을 수탈한덕에 가능했단 썰
주어지는 빵과 서커스를를 먹/어/치/우/는 저들보다
우리가 더 인간답지 않나?
빵!
이집트는 저거보다 2000년전에 수도에 맥주공장이 있었잖아.
건물도 카스테라같이 생겼네
빵과 서커스!
주어지는 빵과 서커스를를 먹/어/치/우/는 저들보다
우리가 더 인간답지 않나?
빵!
우 우 우
밀 밀 밀
식사는 중요대사다
우! 우! 빵! 빵!
수도에 빵 공급하려면 공장 있어야하지 않음? 고대에 인구 100만이 넘었는데?
이집트는 저거보다 2000년전에 수도에 맥주공장이 있었잖아.
중세때 로마시대 이야기하면서 로스트 테크놀로지 라고 하는게 아니구만 ㄷㄷ
대충 로마의 민심 달래기인 빵과 서커스가
다른 나라였으면 진작 망할짓거리인대
이집트의 풍부한 곡창을 수탈한덕에 가능했단 썰
한쪽 라인에만 8개씩 양쪽 16개의 물레방아를 박아 놓은 밀가루 공장
로마가 진짜 엔지니어링은 진짜 다른 문명과 비교해서도 독보적임. 그 어떤 문명도 근대 유럽의 산업혁명 터지기 전까진 저런 대규모 토목을 안했다더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