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36592

중세 페르시아의 대역물에 뜬금없이 신라가 등장하는 이유


중세 페르시아의 대역물에 뜬금없이 신라가 등장하는 이유_1.jpg



페르시아의 서사시로 오랫동안 구전되던 이야기가 11세기에 처음 편찬되었고 오스만 술탄도 소장하고 있었으며, 필사본이 영국 국립도서관에서 발견되어 영문 번역 후 현대판으로 다시 펴냈다


스토리는 임진록이나 박씨전 같은 일종의 대체 역사물이다


이슬람의 침공으로 멸망한 사산조 페르시아의 마지막 왕자 아비틴이 당나라로 망명했으나 푸대접을 받자 다시 동쪽으로 가 신라에 들어간다


신라왕 타이후르(무열왕 혹은 문무왕이 모티브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는 왕자를 환대하고 거처를 마련해 주었는데 왕자는 보답으로 폴로(격구)를 신라에 전수해 왕의 환심을 얻었다


이후 당이 신라에 침입해오자 왕자는 신라의 장군이 되어 당군을 물리쳤고 이 공로로 신라공주 프라랑과 결혼해 부마가 된다


행복하게 지내던 왕자는 어느날 페르시아를 다시 되찾으라는 신의 계시를 받고 왕을 설득해 군대와 함대를 하사 받아 해로로 공주와 함께 페르시아에 상륙한다

(신라에서 페르시아로 돌아가는 해상 경로가 묘사되어 있는데 당시 해상 실크로드 경로와 정확히 일치한다)


페르시아에서 왕자는 이후 일진일퇴를 거듭하다 전사했지만 왕자와 신라공주의 아들 페레이룬이 결국 아버지를 죽인 원수를 죽이고 사산 조 페르시아 재건에 성공 후


외조부 신라왕 타이후르에게 대업을 이뤘다는 편지를 보내며 끝이난다

(타이후르는 이미 사망해 왕위를 계승한 외삼촌이 편지를 받았다)


요약하면 페르시아 대역물에 신라가 왕자의 동맹 세력으로 부유하고 강한 나라로 등장하며 재건된 사산조 페르시아 왕가는 사산왕가와 신라왕가의 결합으로 탄생했다는 이야기


당시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양의 교류를 증명하는 중요한 문학사료이며


중동에 구전으로 전해지는 신라의 이미지가 괜찮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대륙 동쪽 끝에 신라라는 나라가 있는데 나라가 부유하고 당나라를 전쟁에서 이겼을정도로 강하다더라 이런 소문이 퍼졌던게 아닐까


참고로 사산조 페르시아 멸망 651년, 매소성 전투 675년, 당군 축출 삼국통일 완수 676년으로 거의 동시기에 일어난 사건들이다



댓글
  • 익명-jk4NDk1 2025/10/14 09:37

    지나가던 개도 금목걸이를 하고 있다던

  • 네스트도 2025/10/14 09:36

    저당시 경주가 쩔긴했을듯

  • 한니발 바르카 2025/10/14 09:37

    나라 천년 버티는게 쉬운게 아니란 말이지

  • 네스트도 2025/10/14 09:36

    저당시 경주가 쩔긴했을듯

    (GeQq5f)

  • 익명-jk4NDk1 2025/10/14 09:37

    지나가던 개도 금목걸이를 하고 있다던

    (GeQq5f)

  • 기몐슈 2025/10/14 09:40

    죄다 기와집에 전부 숯을 때서 연기가 올라오지 않았다는 썰도 있더만

    (GeQq5f)

  • LegenDUST 2025/10/14 09:40

    경주에서 금이 꽤 나왔었다지

    (GeQq5f)

  • 한니발 바르카 2025/10/14 09:37

    나라 천년 버티는게 쉬운게 아니란 말이지

    (GeQq5f)

  • 하으으응 2025/10/14 09:39

    오히려 현대 이란에선 못읽겠군

    (GeQq5f)

  • 어비스컬트 2025/10/14 09:40

    그러니 우리는 서진을 개시하여 제3환제국을 복원하자는거죠?

    (GeQq5f)

  • 에어웨이즈1549 2025/10/14 09:41

    그당시에도 교류가 어떻게 되긴 했었네 지금도 왔다갔다 하기 힘든거린데

    (GeQq5f)

(GeQq5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