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나무
현존하는 은행나무는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은행나무문>은행나무강>은행나무목>은행나무과>은행나무속>은행나무)만이 남아있음.
여기서 '문'이라는 분류가 얼마나 크냐면
인간(호모 사피엔스)
미더덕
이 둘이 '척삭동물문'으로 묶임.
은행나무
현존하는 은행나무는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은행나무문>은행나무강>은행나무목>은행나무과>은행나무속>은행나무)만이 남아있음.
여기서 '문'이라는 분류가 얼마나 크냐면
인간(호모 사피엔스)
미더덕
이 둘이 '척삭동물문'으로 묶임.
공룡인지는 모름 다만 쥐라기랑 신생기에는 다양한 은행나무종이 있던걸로 볼때 그때는 저걸 주식으로 삼는 동물이 있었을거라 추측중일뿐 현재는 저 열매자체가 동물이 기피하는 향과 독도 가진상태라 인간이 관상용으로 심어주는거 제외하면 너구리나 이런애들이 가끔 먹는게 다
쥐라기 시대부터 살던 나무라 자연적으로 번식하는게 힘든데 그 이유는 은행나무의 그 고약한 냄새를 무시하고 먹어주는 동물종도 같이 멸종했거나 극단적으로 적어진게 문제라고
요약 : 작성자왈 카리나는 미더덕이다.
작성자 카리나와 미더덕 동급으로 봄
+고라니
이 모든걸 가지고 있는 한국
인간이 없으면 바로 멸종각
쥐라기 시대부터 살던 나무라 자연적으로 번식하는게 힘든데 그 이유는 은행나무의 그 고약한 냄새를 무시하고 먹어주는 동물종도 같이 멸종했거나 극단적으로 적어진게 문제라고
저게 공룡이 퍼트려주던건데 뒤지고 인간이 대신 퍼트려줘서 산거라던가
인간이 사라지면 같이 먈종할 식물.
은행나무. 메타세쿼이아.
공룡인지는 모름 다만 쥐라기랑 신생기에는 다양한 은행나무종이 있던걸로 볼때 그때는 저걸 주식으로 삼는 동물이 있었을거라 추측중일뿐 현재는 저 열매자체가 동물이 기피하는 향과 독도 가진상태라 인간이 관상용으로 심어주는거 제외하면 너구리나 이런애들이 가끔 먹는게 다
그럼 공룡 멸종 후랑 인간이 나타나기 전의 사이에는 누가 씨를 퍼트려 준거지...?
그게 안되서 저리 줄은걸로 알긴해
동물보다 식물의 다양성이 큰건가?
바나나도 유전 다양성이 없다던데
그래서 뭐 질병같은걸로 다 죽으면 안된다그ㅡ
요약 : 작성자왈 카리나는 미더덕이다.
작성자 카리나와 미더덕 동급으로 봄
독림문은 은행나무가 유일하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