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플래시] [라라랜드]로 음악영화의 슈퍼스타가 된 다미엔 셔젤 감독이
의외의 선택지로 내놓은 닐 암스트롱과 아폴로 계획에 대한 영화 [퍼스트맨]
영화의 대부분의 화질이 굉장히 올드하고 거친 편인데......
감독이 필름, 그것도 35mm도 아니고 16mm / 8mm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영화의 90% 이상을 촬영했기 때문이다.
2018년도면 다들 쨍한 4k화질을 즐기는 시대에 대체 무슨 잘난 예술적 선택을 위한 뻘짓인지 ㅎㅎ
"자 잘 봐라, 마지막 5분간 무엇이 나오는지"
(영상으로 그 교묘함을 확인해보자)
영화의 대다수를 거칠고 나쁜 화질의 16mm로 찍어 냈다가
마지막 닐이 달표면을 내딛는 바로 그 순간, 우주선에서 내리는 바로 그 순간
영화의 촬영카메라는 12k 이상의 화질을 낸다는 아이맥스 필름 카메라로 바뀌게 되며
칼같은 화질과 함께 화면비까지 (극장 관따라 다르지만) 아이맥스 풀비율로 확 늘어나게 된다.
그 마지막 몇분만으로 [퍼스트맨]은 역사상 가장 아이맥스 효과가 잘 활용된 영화를 꼽으라면 무조건 꼽히는 영화가 되었다.
사실 인어공주야
아 군대에서 봐서 저 영상미를 못 느꼈네..쩝
ㅋㅋㅋ 아이솔레이션이 저 구도랑 비슷해서 그런듯
너 이거 재탕이자나!
아 군대에서 봐서 저 영상미를 못 느꼈네..쩝
썸네일이 왤케 에일리언 영화같지
사실 인어공주야
ㅋㅋㅋ 아이솔레이션이 저 구도랑 비슷해서 그런듯
우주에서 헤엄치는 괴물...!
그게 그거 잖아(진지)
"......"
옛날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영화가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는 장면전환을 최초로 사용했다고 하던가
인간이 인식하는 세계의 해상도가 올라간 계기, 같은 것의 메타포? 그런 건가?
너 이거 재탕이자나!
"유게에서 베글 재탕 원투데이 봅니까?"
휴대폰으로 봤는데 별차이 없네요 수구
상현달일때 200mm로 고요의 바다 보면 낭만 대폭발함
짤은 보름달이긴 한데 달 표면의 구덩이랑 협곡은 상현/하현달 때 측광이 들어오면서 더 잘보이더라
아~ 지구는 카메라 화질이 좋아진다는 얘기군
젠장 집에서 봐서 몰랐네
이것은 한 명의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커다란 도약이다.
저기까지 가기가 ㅈㄴ 힘듬 영화 너무 졸림
내가 저걸 영화관 가서 봤지
이히히 !!
이게 낭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