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619799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png



현재 정설로 받아드리는 우주 모델은 람다 CDM


람다 CDM 에서는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과 구조 형성을

암흑에너지와 차가운 암흑물질로 설명함


암흑에너지는 우주를 팽창시키는 정체불명의 에너지고

차가운 암흑물질은 보이지는 않는데 아무튼 중력을 가지는 물질임

(여기서 차갑다는 온도를 말하는게 아니라 움직임이 느리다는 의미)


모델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두개가

하나는 정체불명이고

하나는 안보이는데

이게 무슨 표준 모델이냐 라고 할 수 있는데


아무튼 해당 모델로 수학적 계산이 됨 !

이라고 하여 받아드려진 모델임


문제는 람다 CDM 이 해결해주지 못하는 문제가 몇개 있음


일단 암흑에너지 자체가 뭔지 모르고

팽창 속도가 측정 방법마다 다른 허블 텐션 문제

우주가 너무 평평한거 아니냐는 평탄성 문제 등


아무튼 몇개 있음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6.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7.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8.png



그래서 항상 람다 CDM 모델은 도전을 받는 입장인데

(국내 한 천문학자 분께서 암흑에너지는 없다 주장 한 것 처럼)


그 중 하나가 BHC 모델임


Black Hole Cosmolog

블랙홀 속 우주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9.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0.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1.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2.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3.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4.png



진짜 이름 그대로

우주는 블랙홀로 시작되었다 라는 모델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5.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6.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7.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8.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19.png



우주의 시작이 우리가 생각해왔던 빅뱅이 아니라


블랙홀에서 이루어지는 바운스 현상이며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0.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1.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2.png



만약 바운스 현상으로 인하여 우주가 만들어진 것이라면


블랙홀은 돌고 있으니


우리 우주 또한 돌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논리가 세워지게 됨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3.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4.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5.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6.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7.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8.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29.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0.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1.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2.png



BHC 모델은 람다 CDM 모델로는 현재 설명이 안되는 여러가지 현상을

설명 가능하다고 주장함


이미 전에도 블랙홀로 우주가 만들어진다는 생각이 1990년대에 이루어졌고

그 전으로 가자면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우주가 회전하는거 아니냐 라는 가설도 나왔었음


그런데도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은

관측의 한계로 인하여 근거가 빈약했기 때문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3.png



그러던 중 제임스 웹으로 여러 은하 관측이 이루어지니까

다시금 조명 받기 시작한 것


그럼 뭘 관측한거냐 ?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4.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5.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6.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7.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8.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39.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0.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1.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2.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3.png



은하의 회전이 대략 6:4 정도로 관측된 것


기존 람다 CDM 모델에 따르면

빅뱅으로 인해 탄생한 초기 우주는 균일하다고 추측하고 있고

그것이 맞다면 은하의 회전 비율 또한 대략 5:5 비율에 가깝게 나와야 하는데


6:4 로 나왔다 !


BHC 모델을 말하는 논문에 따르면

이는 통계학적으로 보면 굉장히 큰 편차며

이는 의미 있는 편향이다 라고 말함


그리고 그 이유는 우리 우주가 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함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4.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5.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6.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7.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8.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49.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0.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1.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2.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3.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4.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5.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6.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7.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8.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59.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60.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61.png



BHC 모델은 람다 CDM 이 밝혀내지 못하는 문제를

블랙홀의 특성을 이용하여 풀어내려고 함


그 중 하나가 암흑에너지

암흑에너지는 우주를 팽창시킨다고 추측되는 뭔지 모를 에너지임


BHC 는 이러한 팽창을 사건의 지평선으로 인한 착시라고 해석함


블랙홀에서는 빛이 빨려들어감으로 인하여 나오지 못함으로

안의 정보가 외부로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되는 지점이 있는데

그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 이라고 말함


그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는 시간은 중력의 영향으로 느려지고 공간은 쭉쭉 늘어나기 시작하는

시공간 휘어짐 현상이 일어나게 됨


우리는 블랙홀이 만들어낸 우주의 안 쪽인 안정적인 공간에서

저 멀리 끝자락에서 이루어지는 시공간 휘어짐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BHC 는 설명함


그렇기 때문에 람다 CDM 의 가속팽창은 착시라고 설명하는 것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62.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63.png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블랙홀 속 우주_64.png


앞서 설명한 내용이 담긴 논문은 2025년 3월 21일에 나왔고 피어리뷰도 통과함


아 그래서 BHC 는 모든걸 설명할 수 있는 완벽한 모델이냐 ?


당연히 아님


일단 너무 크리티컬 한 문제가 하나 있는데

블랙홀은 정보가 안에서 밖으로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블랙홀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관측을 할 수 없음


BHC 모델은 블랙홀 내부에서 우주가 만들어진다는 가설인데

정작 내부를 관측할 방법이 없으니 검증할 방법이 없다는 거임


그리고 이거저거 끼워맞추기 너무 편하고

뭣보다 수치적으로 정리된게 하나도 없음


람다 CDM 이 설명 못하는게 몇몇 있는데도 표준 모델로 자리 잡은 이유는

은하분포, 팽창속도 등 우주 현상을 수학적으로 수치화를 시킨 모델이고

이 모델을 통해 대부분의 우주 현상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임


BHC 모델 또한 수학적으로 정량화 되는 단계를 밟아나아 가야만 함

댓글
  • 냐루코양 2025/05/25 23:27

    아 납득했어 짤

    (QDPUlJ)

  • 실버메탈 2025/05/25 23:27

    완전히 이해했어 짤

    (QDPUlJ)

  • 사과맛곰젤리 2025/05/25 23:28

    이 모든게 블랙홀이면 그 밖은 얼마나 큰 스케일일까

    (QDPUlJ)

  • 너프 매니아 2025/05/25 23:28

    은하 260개로 관찰한 결과인 것도 많아보이지만, 신뢰성을 보장하기엔 굉장히 적은 표본 갯수라 하고

    (QDPUlJ)

  • 전국악당협회장 2025/05/25 23:29

    내가 존나 무식해서 그런거겠지만 제일 이해하기쉬운 블랙홀 상식이 어느지점을 넘어서면 못 빠져나오고 중력에 찌부되어서 뒈진다고 알고있는데
    존나게 크나큰 블랙홀 안에 있다면 우리가 이렇게 멀쩡하게 살아있다는건 무슨 일인거임?

    (QDPUlJ)

(QDPUl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