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3738484

조명 앞에 디퓨저의 크기가 광원을 키울수 있는거 아닌가요?

image.png
위에 led 조명들 보면 자세히 보면 미농지가 같은 투과 천을 앞에 붙였습니다
저 조명의 크기보다 살짝 큰 정도 인데요
광원의 크기가 클 수록 더 부드러워진다고
앞에 미농지 같은 투과 천을 저렇게 작게 붙이면 효과가 없다고 했는데
이 경우에는 저 정도면 효과가 없을텐데 왜 조명앞에 저렇게 붙인거죠?
저정도 조명은 콘트롤로 광량자체를 줄일수도 있을텐데요
댓글
  • 페이톤플래닛 2024/06/20 16:53

    디퓨져 역활을 해서 빛을 광원의 크기만큼 끝까지 균일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래서 없을때 보다 광원을 좀 더 크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만들거나 비네팅이 생기는걸 막아줄수 있습니다

    (7R3XVK)

  • 달콤한별빛 2024/06/20 16:55

    예쩐에 질문드렸을 땐 저정도 크기로는 효과가 1도 없고 최소 초음의 광원보다는 2배정도는 커야 거리에따른 디퓨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정도 크기는 그냥 광량만 줄일 뿐 의미 없다고 다들 말씀하셨는데 효과가 있는건가요? 만약 최초 광원의 크기와 똑같은 디퓨저 천을 붙인다면 그것도 그럼 효과가 있나요?

    (7R3XVK)

  • 개미아빠 2024/06/20 17:02

    LED는 점광원으로 실제 램프크기는 커봤자 수센티미터정도입니다. 램프 대비 디퓨저는 수 배 이상 크다고 볼 수 있지요. 저런 형태의 조명은 LED어레이가 달려있어서 결국은 수많은 난반사와 수많은 그림자를 만들기때문에, 앞에 디퓨저가 필요합니다~

    (7R3XVK)

  • 달콤한별빛 2024/06/20 17:42

    저 조명은 면발광으로 벌프 led전구는 아닙니다 자체적으로도 면발봥이라 어느정도 디퓨져 역할이 있지요. 그래서 이미 디퓨전 판이 있는데 또 빗스한 크기의 투과용지를 앞에 붙인 격 입니다. 결국 광원이 거의 비슷하죠

    (7R3XVK)

  • 페이톤플래닛 2024/06/20 18:01

    Led의 경우 특징이 빛이 직진으로만 나갑니다. 그래서 광원의 크기가 기존 벌브 타입에 비해 비네팅도 심하고 확산 효과가 적습니다.
    그래서 앞에 디퓨져를 쓴것 처럼 버입니다.
    제가 led 500w지속광과 1200w순강광을 쓰는데 같은 각도에 같은 리플렉터를 사용할때 결과물은 완전 다르게 나릅니다.
    크기가 작은 표준리플렉터에도 디퓨져를 쓰면 효과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조명이 작아보이긴 하지만 사람과 비교하면 상당히 큰 대형 조명이고 여러개를 놓고 사용함으로 발생하는 그림자 중첨부분과 인물 얼굴에 떨어지는 부분에 효과가 있을것 같아요.
    아마도 조금이라도 그림자를 연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한것으로 보입니다.
    현장에 조명팀이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보고 가장 좋은 방법으로 선택한듯 합니다.

    (7R3XVK)

(7R3XV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