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95598

알아두면 쓸만한 에어컨 상식~!

최근 장마철이라 습한 날씨 속에, 퇴근하고 오면 항상 켜져 있는 에어컨을 보고
사용 운전모드를 보니 제습이라, 몇번이나 와이프에게 냉방으로 사용하라고 권하였는데,
 
또다시 제습이라, 아~!! 하루종일 틀어도 괜찮으니, 냉방으로 틀어라고 하곤,,이글을 적습니다.
 
글을 적기 전 참고로 전 국내 모 에어컨 제조회사에 근무중입니다.
 
1. 에어컨 작동방식
 예전엔 정속형 제품이 대부분이었으나, 국내 에너지 효율등급이 상승하고, 제조사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이제는 대부분의 제품이 인버터 제품입니다.
 여기서 인버터가 뭣이냐~!!
 
 우리나라는 가정용 전기가 220V 60Hz 죠.
 그래서 정속형 제품은 Comp(자동차로 치면 엔진) 의 회전 속도가 분당 60번 회전하는데,
 인버터는 10Hz ~ 100Hz(최근 150 도 있음) 까지 속도 가변형입니다.
 
 이게 왜 효율에 좋냐면
 항상 희망온도 18도로 설정하는 분은 아~~무 해당사항이 없는데,
 희망온도를 가령 26도 로 설정하시는 분은 실내온도가 25도밑으로 내려가면 실내기가 Off 됩니다.
 그리고 실내온도가 27도가 되면 다시 On되는데, 이때 소비전력이 많이 먹습니다.
 쉽게 이해하자면 자동차로 엔진에 시동걸때 기름이 많이 먹죠..(정지한 Comp를 회전시켜야 하니..)
 
 하지만 인버터 제품은 고객이 설정한 26도 근방으로 가면 Comp의 속도를 늦춥니다.
 최근 가정용 에어컨은 20Hz 아래까지 운전하는데,
 이 때 실내/실외 온도에 따라 소비전력이 차이가 나지만 작게는 300W 근방까지 떨어집니다.
 300W.....정말 작은 수치인데,,
 TV 에서 말하죠 에어컨은 선풍기 40대~50대 운전하는 것과 맞먹는다.
 300W 는 선풍기 6대 정도 됩니다. 보통 16~18평 모델의 정격 소비전력이 2000W 근방인데, 비교하면 정말 작습니다.
 (전기밥솥 보온이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700~1000W로 알고 있습니다._보온을 끄세요~~전기세 아낄려면)
 
 여기서 주의할 점은 실외 온도가 높을 경우(한낮), 실내 부하가 많을 경우(음식 조리중이나 전열기구 사용중)
 실내온도가 잘 안떨어지기도 하고, 응축기 압력(실외기 열교환기)이 높으면 같은 Hz라도 하더라도
 높은 소비전력이 나올 수 있습니다.
 
2. 운전 방식
 냉방과 제습만을 비교하면,,,
 
 최근 제품은 제품에 습도 센서도 있습니다. 그래서 냉방운전은 고객의 희망온도에 따른.
 제습운전은 제품에서 판단하는 쾌적한 정도로 운전을 하는데,,
 
 제가 왜 와이프에게 냉방운전을 하라고 하냐면,,
 
 냉방은 희망온도에 따라 Hz 를 조절합니다.
 물론 와이프가 희망온도를 23~24도로 하면 Hz가 빠르게 돌기때문에 오히려 전기세는 많이 나오긴 하지만,
 타겟이 있기 때문에 떨어지긴 합니다.
 
 하지만 에어컨 제습방식은 실내 열교환기의 찬온도를 통해 열교환기 표면 온도가 노점온도(이슬이 맺히는) 이하로 되어,
 표면에 이슬이 맺히고 그것이 외부로 나가는 원리인데,
 
 문제는 실내 습도가 제거되지만 실내온도가 같이 내려가는 것이죠.
 그렇다보니, 상대습도에 의한 습도는 잘떨어지지 않고 그래서 Hz 가 계속 높게 돕니다.(전기를 많이 먹죠..)
 그래서 정말 습기가 많다고 하더라도,
 차라리 냉방을 사용해서 희망온도를 조금 높이는게 훨씬 절전할 수 있습니다.
 
 
3. 바람세기
 실사용자분들이 가장 착각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바람을 약하게 틀면 전기세가 작게 나올 것이다...
 
 ㅜㅜ
 
 정답은 틀렸습니다.
 실내 팬의 풍량에 따른 소비전력은 에어컨 전체 소비전력 기준 미미 합니다.
 가장 빠른 것으로 하더라도 가정용의 경우 100W +- 얼마 일겁니다.
 그런데 아까 위에서 얘기했듯이 16~18평 정격 소비전력은 약 2000W 근방인데,
 그말은 실외기가 나머지 전기를 먹는거죠.
 
 그런데 문제는 실내 풍량 변화에 따른 냉방 능력차이가 많다는 것입니다.
 가령 파워풍일때 실내 소비전력을 100W라는 가정하에 실외 comp Hz가 60 정도라고 가정하면,
 능력이 6500W(16평 기준) 나왔다고 합시다.
 그런데 강풍으로 변경하면 실내 소비전력은 약 20W 절전(미미하죠) 되는데,
 능력은 5~10% 가까이 떨어집니다.
 중풍/약풍은 더하겠죠.
 그래서 실내 소음이 중요할때(TV 보거나 손님들 거실에 있을때) 제외하고는
 강풍 이상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절전에 훨~~~씬 좋습니다.
 왜냐..실내 온도를 빨리 떨어뜨려서 희망온도 부근에서 실외 Comp 속도를 늦추면서 운전하는게
 절전에 훨~~씬 유리합니다.
 
 참고로 저희집은 30평대 이고, 전 주말엔 밤에는 27도 낮에는 28도로 맞춰놓고 하루종일 틉니다.
 평일에도 퇴근해서 오면 틀어져 있고 그걸 제가 11시정도에 끕니다.
 그러면 대략 4kW 정도 나오는 것 같은데, 한달내내 틀면 약 120kW..
 작년에 무더웠던 8월에 전기세가 약 16만~18만원 나왔던 것 같습니다.
 평달에 비하면 약 10만원 더 나왔지만, 하루에 3000원 주고 시원하게 있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28도가 머가 시원하냐 하는데,,
 반바지 입고 반팔티 입고, 집에서 걸어다닐 정도면 시원합니다. ㅎㅎ
 
 
*결론*
1. 인버터 제품은 실외기가 가능하면 끄지지 않게 된 제품이다.(그래서 절전형이다._요거 잘 모르시는 분 많음)
2. 제습보다는 냉방운전을 해서 희망온도를 조금 높여 놓는게 전기세에 유리하다.
3. 바람세기는 강할수록 전기세에는 더 유리하다.(실외기 Comp 운전 속도를 늦추니까.)
   
쩝..적다보니 두서없이 적엇네요...
 
비긴 어게인 보러 갑니다. ㅎㅎ
 
댓글
  • 흠냐리~! 2017/07/10 22:50

    아,,,그리고 어디 게시판에 적을지 고민했는데,
    회사가 전자 회사지만 IT는 아닌것 같고,
    지식 같지만,,,대단친 않고,,
    전기세를 아껴서 가계에 보탬이 될까?? 생각에 여기로 왔습니다. ^^

    (E40QNW)

  • 동해물과백두 2017/07/10 23:4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E40QNW)

  • O.U★ 2017/07/11 07:04

    좋은 정보 넏어 갑니다

    (E40QNW)

  • 냐옹이는냐옹 2017/07/11 07:13

    리니어 컴프레셔 쓰는 냉장고나 에어컨은 어떤가요? 그 돈 더 주고 살만한 가치가 있나요? 전기세 뽑을려면 몇 년을 사용해야 할지...

    (E40QNW)

  • 뚝배기브레이커 2017/07/11 07:28

    한전:풉ㅋ

    (E40QNW)

  • Josh 2017/07/11 07:33

    헉 제습이 더싼줄알고 제습만 했는ㄷ데ㅠㅠ

    (E40QNW)

  • 산토리니7 2017/07/11 07:36

    인버터가 아닌 에어컨은 어떻게 해야되나요?

    (E40QNW)

  • 산이염 2017/07/11 07:41

    에어컨이 대충 10년 정도 된 모델인데
    이럴경우 어떻게 작동 시켜야 하나요?

    (E40QNW)

  • 다즐링♡ 2017/07/11 07:55

    저도 제습 기능 사랑했는데, 요런 비밀이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E40QNW)

  • 살인원숭이 2017/07/11 08:00

    https://youtu.be/ZMPXeUQq3Ck
    ??

    (E40QNW)

  • 바람의노래 2017/07/11 08:03

    제습에 대해 약간 첨언을 하자면...
    일단 제습 모드는 제조사 마다 차이가 약간 있으나 대부분 습기의 응축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실내 열교환기 온도를 냉방 모드보다 더욱 낮추는 운전을 진행합니다.
    그래서 특정  상황에서는 냉방모드보다 압축기를 더 돌리게 되므로 전기를 더 먹게 되는가 사실 입니다.
    그러나 습기를 제거함으로 인해 실내의 응축잠열이 줄어들게 되어 실제로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글쓴이 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제습 모드 보다 냉방이 조금더 전기를 덜 먹기는 하지만 요즘과 같이 고온 다습한 경우에는 제습 모드가 더욱 효과적일수 있습니다.

    (E40QNW)

  • 라닉스 2017/07/11 08:06

    .

    (E40QNW)

  • 고속토끼 2017/07/11 08:08

    어예~ 아기때문에 하루종일 틀고 있었는디 바람세기 높이는게 좋은 줄은 몰랏내여! 감사요!

    (E40QNW)

  • 김여신 2017/07/11 08:10

    헐... 약하게 오래 트는것보다 세고 짧게 트는게 낫군요.... 정보글 감사합니당

    (E40QNW)

  • 맥주거품 2017/07/11 08:10

    감사합니다~
    저도 28-9도 정도가 쾌적하다고 느끼는 사람인데 도움이 되네요.

    (E40QNW)

  • 빵구뽕 2017/07/11 08:13

    저는 26도도 좀 추운느낌을 가지는 추위타는 여자인데요.. 27도로 해놓으면 또 더워서(27도가 싫은게 아니고 에어컨이 안도는 느낌??)  이거 뭐 어케해야할지 몰라 26도로 틀다가 좀 추운거 같음 끄고 더워지면 다시 키고 반복하는데 이거 전기세 관점에선 안좋은거 맞죠? ㅠㅠ 아 그리고 에어컨 필터는 몇년 쓰면 교체해줘야 하는건가요????

    (E40QNW)

  • 비키니야미안 2017/07/11 08:20

    어렵다어려워ㅠ첨단과학이 발전해두
    우린이렇게 에어콘하나 제대로 못켜고 사네요ㅠㅠ
    그래도 꿀팁공유 감사드려요ㅠㅠ

    (E40QNW)

  • 이레하자 2017/07/11 08:26

    그럼 인버터? 에어컨이 아닌 경우는 실내온도을 높게 설정해서 실외기가 돌다 안돌다하면 그게 더 전기를 먹나요?

    (E40QNW)

  • 주권자 2017/07/11 08:27

    꿀팁감사합니다. 근데 무풍에어컨은 별개인거죠? 전기 많이 안먹든데...

    (E40QNW)

  • 다들아는남자 2017/07/11 08:28

    아무리 희망온도를 낮춰도 방이 안 시원해지는데 ㅜㅜ
    이 경우에는 뭐가 문제인 건 가요... 기능도 냉방으로 설정했는데 말이죠..

    (E40QNW)

  • strawberry 2017/07/11 08:30

    이딴걸 걱정하면서 에어컨을 눈치보면서 켜야하는 더러운세상

    (E40QNW)

  • 한라산대폭발 2017/07/11 08:43

    저희집에 에어컨 설치하러 오신 기사분도 이 말씀 하셨어요 ㅋㅋ 28도로 놓고 종일 켜놓는게 잠깐잠깐 켜고 끄는것보다 전기세 훨 덜나온다고 ㅋㅋ 뭔가 내가 20년 넘게 갖고있던 상식이 무너지는 느낌이었음 ㅋㅋㅋㅋㅋㅋ

    (E40QNW)

  • 한라산대폭발 2017/07/11 08:45

    그리고 에어컨 틀면 습도가 떨어지니까 28도로 놔도 샤워하고 나오면 겁나 쾌적합니다

    (E40QNW)

  • 일리아스 2017/07/11 08:46

    에어컨에 대한 이런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E40QNW)

  • 성모말이야 2017/07/11 08:56

    저는  너무 세게 틀면 춥고 머리 아파서
    약하게 틀고 선풍기 같이 틀면  딱 좋더라구요

    (E40QNW)

  • 쟈스민서울 2017/07/11 08:57

    10년 넘어가는 에어콘 안버터로 바꿔야 하나 싶네요...여름에 전기세만 30이 가까이....에콘 안트는 평달엔 10만대인데요..ㅜ ㅜ
    인버터 방식에 대해서 잘 알아 갑니다. 감사합니다..
    당신은 매직~~~~

    (E40QNW)

  • 아키와뾰 2017/07/11 08:58

    에어컨을 어떻게 틀어야 좋을지 고민했는데
    감사합니다.
    엘지 에어컨을 샀는데요. 에어컨을 끄고나서
    한 10여분간 혼자 팬만 돌아서 건조시켜주는 기능이 있더라구요.
    근데 꺼짐예약 같은 다른기능 섞어놓으면 작동을 안하던데....굳이 건조 안해줘도 청소만 잘 하면 괜찮은가요?

    (E40QNW)

  • 요이님 2017/07/11 09:03

    우리집꺼가 인버터 기능이 있는지 확인히는 방법은 뭘까요?

    (E40QNW)

  • 이집트 2017/07/11 09:03

    얼마전에 삼성 쿨프레소라는 이쁜 똥(?)을 샀어요.
    일명 개인용 에어콘이라는 제품.
    이거 자체로는 바람이 너무 좁게 나와 그냥 그런데,
    작은 방에서 틀어놓고 공기 순환기 하나 돌려놓으니
    그럭저럭 제습도 되고 온도도 살짝 내려가는 느낌적인 느낌.
    가로 세로 3/4미터 정도라 쓸만하긴 한데
    창문형 에어콘 위아래로 긴게 적당한 가격에 나오면 참 좋을텐데 싶어요.

    (E40QNW)

(E40QN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