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588594

진짜 한국 토종꿀

 

 

 

 

 

 

문정훈 교수 글 

 

11.jpg

 

 

 

 

11.jpg

 

 

 

11.jpg

 

 

 

11.jpg

 

 



전 세계 어디든 생명이 있는 곳엔 벌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오래전부터 자생하던 벌이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토종벌은 서양벌과는 상당히 큰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토종벌과 비슷한 계통의 벌은 중국 북부, 일본 등지에 주로 분포를 하는데, 서양벌과는 굉장히 달라서 서로 교배도 안됩니다. 

(한국 토종벌 자생지 - 한반도, 만주, 일본)

뭐랄까요. 염소와 양의 관계 정도라고 할까요? 

비슷해 보이지만 상당히 다릅니다. 

 

서양벌은 우리나라에 1917년에 들어왔고 지금까지 우리 토종벌과 잘 공존해 오고 있었습니다.

 

우리 토종벌은 서양벌에 비해 덩치도 작고 꿀을 따는데 쓰는 대롱의 길이도 짧습니다. 

그리고 현재 저희가 연구 중이긴 한데, 서양벌이 좋아하는 꽃과 토종벌이 좋아하는 꽃이 달라요. 

예컨대 서양벌은 아카시아, 클로버, 보리수, 엉겅퀴 등의 꽃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고, 

우리 토종벌은 산딸기, 찔레, 철쭉, 애기똥풀, 국수나무 등의 꽃을 좋아합니다. 

대체로 우리나라 들판과 산에 피어있는 들꽃 산꽃들을 선호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뭔가 식성(?)이 다른 것 같다는 추정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 2009년 국내에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벌의 애벌레에 걸리는 병이 돌기 시작했습니다. 

특이한 점은, 이 병에 우리나라 토종벌이 극히 취약하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서양벌은 이 병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음이 드러났습니다. 

그래서 이 낭충봉아부패병이 돌기 시작한 지 수년만에 서양벌들은 멀쩡한데, 우리 토종벌의 98%가 사멸해버렸습니다. 

끔찍한 일이 벌어진 겁니다.

 

만약 우리나라에 서양벌이 들어와 있지 않았다면 우리 농업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어마어마한 재앙이 벌어졌을 겁니다. 

그나마 서양벌들이 토종벌들을 대신해 일을 해줘서 우리 농업은 심각한 피해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한 토종벌 농가의 생산자가 아주 의미심장한 이야길 해주었습니다.

 

“토종벌의 개체가 줄어드니, 한 두해가 지나고 나서 이상하게 산과 들에 피던 이름모를 산꽃이랑 들꽃들이 같이 사라집디다.”

 

흥미로운 점은 우리나라 토종벌은 낭충봉아부패병에 취약하지만, 

반면에 꿀벌진드기, 부저병 같은 또다른 벌 관련 병에는 오히려 토종벌이 저항성이 있고 서양벌들이 치명적이라는 점입니다. 

 

자, 우리가 토종벌의 부활에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그 이유가 명확히 보이지 않습니까?

 

농촌진흥청에서는 이 치명적인 낭충봉아부패병에 살아남은 토종벌 개체들을 찾아 이들을 교배해서 낭충봉아부패병에 비교적 강한 성향을 가진 토종벌을 보급하기 시작했습니다. 

거의 멸종에 달했던 우리 토종벌이 이제 다시 부활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토종꿀'이라고 부르는 꿀은 이 토종벌이 딴 꿀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사먹는 '아카시아꿀' '밤꿀' '벚꿀'같은 꽃이름이 붙어 있는 꿀은 토종벌이 아닌 서양벌들이 딴 꿀입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상세히 말씀드리겠으나, 서양벌의 경우, 인간이 트럭에 벌통을 싣고 '이동식 양봉'을 하며 특정 꽃을 따라다니며 꿀을 땁니다.

 

그러나 우리 토종벌은 그런 식으로 살지 않습니다. 토종벌은 '고정 양봉'을 합니다. 

산속 아주 깊은 곳이나 인적이 드문 들판 구석에 봄부터 가을까지 한 자리에서 봄, 여름, 가을 동안 피고지는 그 지역의 꽃의 꿀을 모읍니다. 

그리고 11월에 딱 한번 수확하죠. 


서양벌이 딴 꽃꿀은 해당 꽃의 향을 즐기는 것이 멋이라면, 우리 토종벌이 딴 꿀은 그 지역의 시간과 공간, 사계절의 농축된 향을 즐기는 것이 그 멋입니다. 

이를 '잡꿀'이라 하기엔 그 매력이 너무나 대단합니다. 

모든 토종꿀은 그 지역의 시간과 공간을 담았기 때문에 절대 서로 같은 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와인의 '떼루아(Terroir)'와 같습니다. 

연천군 백학면의 떼루아가 사계절 동안 만들어낸 토종꿀과 의성군 사곡면의 떼루아가 만들어낸 토종꿀은 본질적으로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토종꿀은 떼루아를 즐기는 상품입니다.

 

거의 멸종에 달해서 구할 수도 없었던 토종꿀을, 토종벌의 부활과 함께 다시 생산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토종벌이 이 땅에 계속 존재해야만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소비자로서 이를 돕는 최선의 길은 더 많은 양봉농가가 토종벌을 기를 수 있도록 토종꿀을 구매하고 응원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각 청정지역의 서로 다른 달콤한 떼루아의 향을 즐겨 보시지 않겠습니까?

 


 

 

 

 

 

 

 

 

 

 

 

 

 

 

 

댓글
  • 철철대마왕 2022/09/06 17:13

    내가 예전에 들었던 이야기인데 이 젊은 청년이 아무튼 대단하다고 들었음. 꿀벌쪽에서는 이 사람없었으면 우리 꿀벌 다 사라졌을지도 모른다고 했던거 제가 꾸역 꾸역 찾아봤어요

    (6jdnJr)

  • 홍백80 2022/09/06 17:14

    으............엄청 달겠다..........;;;;;;;;;

    (6jdnJr)

  • 눌린돼지 2022/09/06 17:20

    참 좋은 글이네요.

    (6jdnJr)

  • 잠맨 2022/09/06 17:45

    좋은 내용이네요.

    (6jdnJr)

  • 얼그레이스콘 2022/09/06 18:00

    내년초에는 상품화되서 나오나보네요 기대가 됩니다~~

    (6jdnJr)

  • 드로이드 2022/09/06 18:13

    https://youtu.be/_uST3Ca2WFE
    대략 20분정도 시간을 내실 수 있으시다면 다들 보시면 좋을 '그것이 알고싶다' -꿀벌 연쇄 실종사건- 편입니다.
    풀버전의 본방을 찾아보실 수 있으시다면 보시면 더 좋을거같고요.

    (6jdnJr)

  • 친구야노올자 2022/09/06 18:50

    오 너무 좋은 글이네요. 덕분에 토종꿀이 뭔지 알았고 벌과 꿀에 대한 사랑이 더 깊어졌어요!

    (6jdnJr)

  • 이거좋아 2022/09/06 18:52

    토종벌의 개체가 줄어드니, 한 두해가 지나고 나서 이상하게 산과 들에 피던 이름모를 산꽃이랑 들꽃들이 같이 사라집디다.

    (6jdnJr)

  • 그때그때 2022/09/06 20:27

    이 땅에 살아오던 토종이 이 땅을 지켜왔죠
    서양께 크고 예쁜것들도 많지만 토종이 지켜온 것들이 있습니다
    서양께 뭐든 크군요

    (6jdnJr)

(6jdnJ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