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249177

12월 첫째주 주식 장전시황

DSC01128t_32.jpg
위 사진은 2019년 1월 플로리다 디즈니월드를 방문하여 찍은 사진입니다. 얼마 안 된 것 같이 생각하였는데 이미 3년 가까이 되 갑니다. 여행을 자유스럽게 할 날이 오기를 바라는데 현실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출현으로 다시 답답해지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아직 11월이 이틀 남아 제목을 11월 마지막 주로 할 수도 있지만 지긋지긋한 11월을 잊고 12월을 새로 시작하다는 생각으로 제목을 12월 첫째주로 하였습니다.
7a9f4cb9_7c34_49d5_8ed5_204ef2f8dcfd.png
출처 야후

오마이크론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명칭이 된 새로운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남아공 등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함으로써 다시 전세계 주식시장이 긴장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도 11월 26일 금요일 올해 가장 큰 폭의 하락을 하였습니다. 특히 여행, 항공 관련주들은 10% 안팍 큰 폭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반면 백신 관련 모너나는 약 20% 화이저도 약 6% 반등을 보였습니다.
오마이크론 변종은 전염력이 델타보다도 더 강하여 단순 공기에 퍼져 다니는 것으로 홍콩 사례를 보면 옆 방 사람이 전염이 될 정도라 합니다. 다만 남아공 의사의 관찰에 따르면 증상은 더 강하지 않고 후각 마비 현상도 적었다고 합니다. 이미 유럽에서 코로나 감염자 수와 사망자 수가 느는 상황에서 추가 국경 봉쇄 및 방역조치는 불가피하여 보입니다. 그로 인해 연말 연시 여행 산업은 다시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습니다.

9d547304_29e2_41bc_9c75_a11a736fb202.png

출처 야후
지난주 유가는 국가 비축 유류 방출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보이다가 금요일에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로 여행 수요가 줄 수 있다는 우려로 하루 13% 하락하였습니다. 실제 지금 이스라엘이나 영국 같은 국가에서는 단순히 남아공 등 아프리카 국가 들 외에 모든 외국인의 입국 제한을 검토하는 곳도 있습니다.

2dc2e409_a971_4b23_ba4a_8c7118ada148.png

출처 야후
저번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임된 후 그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을 앞 당기는 매파로 변신할 가능성 때문에 목요일까지 미국 10년치 국채 금리가 상승세로 갔습니다. 실제 파월 의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대통령과 대립하면서 금리 인상을 한 전력이 있습니다. 그러다가 금요일 안전자산을 찾는 국채 수요가 늘면서 국채 금리는 하루 9% 하락하였습니다.
26일 금요일 미국 주식시장의 폭락이 좋은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인가 아니면 중기 조정의 시작이므로 관망을 해야 할 것인가 미국 현지에서도 논란이 많습니다.

53471aea_56bb_4862_9640_2c919f5b27d3.png

출처 블룸버그
https://www.marketwatch.com/story/heres-what-the-black-friday-carnag...
제퍼리 리서치라는 곳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연임이 확정된 후 테이퍼링의 가속을 예상하면서 투자 위험도 대비 대가를 보여주는 샤프 수치를 계산한 것이 있습니다. 위 도표에 나오는 자료입니다. 한국도 포함되었으면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빠져 있습니다.
그 쟈료에 의하면 2018년 3월 부터 2020년 3월까지 미국 시장은 투자 가치가 높았고 유럽은 그렇지 못 하였고 일본이나 중국은 중간 정도 였습니다. 반면 2021년 4월 부터 10월 사이 미국과 유럽은 투자 가치가 중간 정도 였고 다른 국가들은 별로 였지만 미국 주가는 그 보다 훨씬 상향세를 보인 것입니다. 그러나 내년을 보면 미국이 주춤하고 유럽이나 중국이 약간 나아질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위 결론으로 보면 내년 미국 주식 비중을 줄이는 것이 맞겠지만 시티그룹에서는 내년에도 미국 증시를 그렇게 비관적으로 보지 않고 대담한 투자자들은 주식이 조정을 받을 때 담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현재 누가 맞을지 알기 어렵습니다. 우선 다음주 초반인 11월말까지는 세계 증시가 바이오 백신관련 분야를 제외하고는 조정을 받을 것이 확실하여 보입니다. 그러나 이번주 후반이나 아니면 다음 주 반전이 일어나면 산타랠리가 일어나고 아직 풍부한 유동성으로 내년까지도 주식시장이 전체적으로 견조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어느 한쪽을 옳다고 판단하지 아니하겠습니다.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는 오마이크론 이후에도 계속 발생하고 다만 제약회사들이 그에 대처하여 새로운 백신 개발을 하여 결국은 다시 위드 코로나 시대로 가게 될 것입니다. 다만 문제가 백신 접종을 피하는 사람들입니다. 오스트리아의 경우에는 백신 접종을 맞지 아니한 사람은 외부 출입시 벌금을 물린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계속 봉쇄 상태를 유지할 수은 없지만 일부 백신 미 접종자들에 대한 제재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 출입을 완전히 금할 수 는 없어도 미접종자는 방송, 체육행사 배제는 물론 식당, 극장 등 공공 장소에 대한 출입을 금하는 조치도 필요하여 보입니다. 다만 10만명 중 한 명 정도 백신 접종 후 사망사고가 생긴 경우 인과관계를 너무 엄격하게 따지지 말고 남은 가족들의 생계를 위한 충분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코로나 사태가 생각보다 장기전으로 갈 것이고 머크의 경구 치료제 효능이 50%에서 30%로 줄여서 결정된 것과 관련하여 진단키트 및 백신 관련 주는 내년 피크아웃이라는 악재를 극복하고 연말까지 어느 정도 상승 흐름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반면 여행, 항공, 극장, 면세점 등 리오프닝 관련 주는 연말까지 다시 약세를 면하기 어렵겠지만 내년 상반기를 보면 분할 매수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한국 주식시장의 기초가 되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전망이 점점 밝아지고 있습니다. 내년 1분기가 바닥이고 2분기 부터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으로 외인들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식 및 일부 반도체 소부장 주식을 다시 사 들이고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도 반도체 부족 현상이 극복되면서 내년 미국 현지 전기차 자동차 공장 설립이 되면 본격적으로 다시 상승세로 갈 수 있습니다. 현대차는 수소 관련 기술을 많이 확보한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년 반도체, 자동차, 당분간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보이는 2차전지, 그리고 탄소 감축과 관련한 수소, 탄소배출권, 원전 관련 사업 등이 호조를 보이면 한국 증시는 내년 상반기 다시 큰 상승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 선물, 옵션 시장이 너무 비대하여 져서 지수 관련 대형주 흐름을 가로 막는 폐단이 있는 점이 개선될 수 있도록 선물, 옵션 시장 거래 규모를 줄이는 개혁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번주 CJ ENM의 물적 분할 이슈가 나오면서 다시 컨텐츠 전반의 주식도 조정을 같이 받았습니다.
올해 lg 화학 sk이노, 만도에 이어 개인주주들 피해가 큽니다. 그냥 유상 증자를 하자고 그러면 대주주들도 참여를 해야 지분 비율을 유지하는데 참여할 자금이 없으니 물적 분할을 합니다.
결국 소액주주들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서는 새로운 물적 분할 하는 회사의 공모 주식 반 정도를 기존 회사 소액주주들에게 우선 배당을 하여야 맞지만 증권사들이 흥행을 원하기 때문에 그런 조치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건 금융감독원이나 아니면 정치권의 입법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는 노동력 부족 현상으로 산업 자동화, 로봇 관련 주도 내년 주목해 보야야 할 것 같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관련주를 미리 선점하는 것을 고려해 볼만 합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주 초반 백신 및 진단키트 관련 주를 제외하고는 조정이 불가피하여 보입니다. 다만 그러한 조정기간동안 내년을 보고 미리 원하는 주식을 분할 매수하여 멀리 보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 thomaskong 2021/11/29 06:07

    내년 한국 주식시장을 비관적으로 보지 아니합니다.
    다만 그러한 예상이 100프로 맞는 다는 보장은 없으니 주식 투자는 항상 위험성이 따릅니다.
    매수, 매도는 각자의 선택입니다.

    (rDSRG7)

  • thomaskong 2021/11/29 06:08

    돈을 더 벌자고 그러면 주식시장에 남아 있어야 되고
    위험을 피하면 예금
    그러나 최근 미국에서 보는 자료로 볼 때 한국 주식 시장 내년 매력도는 미국 주식시장보다 더 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rDSRG7)

  • 후니아빠™ 2021/11/29 06:07

    디즈니월드 90년인가 가봐서 기억도 안나네유 ㄷㄷㄷ

    (rDSRG7)

  • thomaskong 2021/11/29 06:09

    언제 다시 가 보셔야지요.
    사실 좋은 기억이 있어 몇년 후 손주 손 잡고 다시 가고 싶습니다.

    (rDSRG7)

  • 후니아빠™ 2021/11/29 06:11

    저도 그래야겠네유 ㅠㅠ

    (rDSRG7)

  • 신고당미워ㅠ 2021/11/29 06:08

    감사합니다

    (rDSRG7)

  • thomaskong 2021/11/29 06:11

    좋은 한주 되시기 바랍니다.

    (rDSRG7)

(rDSRG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