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041354

전자선막? 보케잘림?

나름 이공계고 왠만한 카메라는 다 사용해 보았는데
이 두가지는 언듯 빨리 이해가 되지가 않습니다
이번 펌업으로 자동으로 셔터방식을 카메라에서 지정하는 것이 생겨서 좋다고 하시니 좋구나 하는 맘이지만
요걸 조금 자세하게 설명해주실 분 없는지요...
이공게의 존심상 알고 넘어가고 싶습니다

댓글
  • 1970/01/01 09:00

    삭제된 댓글입니다

    (leKNoE)

  • #나비의꿈 2019/05/16 16:29

    그렇다고하니 그러려니 하는 현상이라서요
    저도 궁금하군요 ^^

    (leKNoE)

  • 느림보(Slowman) 2019/05/16 16:35

    찾아 보니,,정확히 이해는 못하겠지만,,,전자 선막이란건,,센서촬상면자체가 동작하는것이고
    후막셔터는 센서앞에 셔터가 동작하는것인대 이렇다 보니 선막셔터와 후막셔터간에 간격차가 생길수 박에 없고 그 간격차때문에 1/4000과 같은 고속셔터사용시 심도를 벗어난 착란원은 잘려서 기록된다 하내요

    (leKNoE)

  • 프로지름러 2019/05/16 16:46

    초창기 미러리스로 넘어오던 시절 꽤 큰 단점으로 지적되던 부분이 셔터랙 입니다.
    지금도 DLSR에 비해서 미러리스가 셔터랙이 더 길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 입니다.
    이게 셔터 작동방식이 다르기 때문인데..
    DSLR은 평소에 미러가 센서를 가리고 있다가..
    셔터 버튼을 누르면 미러가 올라가고 - 선막이 내려오고 - 후막이 내려오고 - 미러가 디사 내려오면 촬영이 끝이 납니다.
    하지만 미러리스의 경우 센서가 항상 노출이 되어 있어야 전자식 뷰파인더를 통해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도 센서가 노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촬영을 시작하면..
    셔터 누름 - 셔터막 내려옴 - 선막 올라감 - 후막 올라감 - 셔터막 정렬 - 셔터막 올라가면서 센서 노출 이라는..
    더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DLSR에 비해서 셔터랙이 더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서..
    셔터 누름 - (셔터막 내려옴 - 선막 올라감) - 후막 올라감 - 셔터막 정렬 - 셔터막 올라가면서 센서 노출 이라는 과정에서..
    괄호 친 두 단계를 전자적으로 처리해 버리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서..
    셔터랙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고..
    이 기능을 제조사마다 호칭하는 용어가 다르긴 하지만..
    국내에서는 통칭 전자선막이라고 부릅니다.
    또 이걸 이렇게 만들고 보니, 셔터 충격도 줄어드는 효과도 부수적으로 딸려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전자선막도 단점이 있는데..
    보통 1/2000초 이상의 고속 셔터스피드를 사용할 경우 보케가 잘리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셔터 스피드가 빨라질 수록 더 심해 집니다.
    첨부한 사진은 보케가 잘린 모습을 나타내는 샘플 이미지를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찾은 것 입니다.
    (아래 댓글에 계속)

    (leKNoE)

  • 프로지름러 2019/05/16 16:48

    또한 전자 선막 사용시 플래시 고속 동조를 할 경우..
    밴딩 노이즈 같은 줄무늬가 생기는 문제도 있습니다.
    이 역시 셔터 스피드가 빨라질수록 더 심해 집니다.
    첨부한 이미지는 마찬가지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찾은 것 입니다.
    그래서 그동안 사용자들이..
    그 동안은 그냥 무시하고 전자 선막만 사용하던지..
    아니면 그냥 기계식 셔터만 사용하던지..
    아니면 불편을 감수하고서라도 매번 셔터 스피드에 맞게 수동으로 선택을 해주던지 했어야 했는데..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서 바디가 알아서 자동으로 전자선막과 기계식 셔터를 변경해주는 기능이 생긴 것 입니다.

    (leKNoE)

  • #나비의꿈 2019/05/16 17:45

    글 쓴 님은 그니깐 왜 보케가 잘리는건지 원리가 궁금하신듯합니다. 저도 궁금합니당.

    (leKNoE)

  • liveforkjh 2019/05/16 17:11

    감사합니다...
    늦었지만 자연스럽게 인문계로 편입될거 같습니다

    (leKNoE)

  • 쥬나 2019/05/16 17:59

    1인 추가 해 봅니다~^^*

    (leKNoE)

  • 선샤인스파크 2019/05/16 18:59

    문과 만세!

    (leKNoE)

  • 리부티드 2019/05/16 18:22

    Thus cut-off bokeh “is due to that there actually is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EFCS (Electronic First Curtain Shutter) that tr에이브이els directly on the sensor plane and the mechanical rear shutter curtain that tr에이브이els some millimeters in front of the sensor,” writes photographerAnders LattermannintheDPReviewforums.
    미세한 물리적 거리 변화(차이) 때문이라네요.
    더 이상 물으시면 곤란합니다. ㄷ ㄷ ㄷ

    (leKNoE)

  • liveforkjh 2019/05/16 18:43

    더 이상 어떻게 물어보아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KNoE)

  • 블루지니™ 2019/05/16 19:00

    니콘미러리스도 전자선막 고정인가요?

    (leKNoE)

  • [준이파]구만이 2019/05/16 19:09

    아뇨.
    기존에는 전자선막과 기계식 손막을 수동 선택했어야 했는데, 이제 바디가 자동으로 전환시켜주는 옵션이 생긴 겁니다

    (leKNoE)

  • 덩달아 2019/05/16 19:13

    엄청 좋은 기능이군요. 전 지금껏 그냥 초기세팅 그대로만 찍어봐서 이런게 뭔지도 몰랐네요.
    한번 적용해봐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eKNoE)

(leKN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