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꼼치에 진짜 문제는 수압이 없는 바다 표면에 나오는 것이다. 린레이 박사는 “몸을 지탱하던 극단적인 수압과 찬 온도가 사라지자 꼼치들은 아주 취약해져 바다 위로 건져내자 곧바로 녹아버렸다”라고 말했다. 무섭...
댓글
라포르~2018/09/13 00:30
700압에서 1기압으로 나왔는데 왜 스르르 녹지? ㄷ ㄷ ㄷ
┗Supernova™┓★~2018/09/13 00:33
외부 700기압 누르는거 익숙해져서 몸안에서 밖으로 대항하고 있다가
1기압으로 누르는게 약해지니 밖으로 대항하는것도 작아져야 하는데 그러질 못하니
터지는거 아닐까요? 반대면 짜부되는거고요
柳林♥2018/09/13 00:35
피부가 젤리같은 느낌이레요...
나다시돌아갈래2018/09/13 02:01
너무 흐물흐물하고 퍼지는 형태라 수압이 오히려 몸을 모아주고 있어서 물밖으로 나오면 그냥 퍼져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폐와 같은 공기주머니가 수압에 많이 눌려 압축되고 수분은 수압에 압축이 잘 안된다고 하네요. 즉 그래서 사람이 물에 들어가면 다른곳보다 폐만 수압을 집중적으로 느끼는 거 같습니다
700압에서 1기압으로 나왔는데 왜 스르르 녹지? ㄷ ㄷ ㄷ
외부 700기압 누르는거 익숙해져서 몸안에서 밖으로 대항하고 있다가
1기압으로 누르는게 약해지니 밖으로 대항하는것도 작아져야 하는데 그러질 못하니
터지는거 아닐까요? 반대면 짜부되는거고요
피부가 젤리같은 느낌이레요...
너무 흐물흐물하고 퍼지는 형태라 수압이 오히려 몸을 모아주고 있어서 물밖으로 나오면 그냥 퍼져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폐와 같은 공기주머니가 수압에 많이 눌려 압축되고 수분은 수압에 압축이 잘 안된다고 하네요. 즉 그래서 사람이 물에 들어가면 다른곳보다 폐만 수압을 집중적으로 느끼는 거 같습니다
기압이 고기 구조를 잡아주는건가?
몸을 지탱하던 극단적인 수압과 찬 온도가 사라지자 꼼치들은 아주 취약해져 바다 위로 건져내자 곧바로 녹아버렸다”라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m.hani.co.kr/arti/animalpeople/wild_animal/861718.html#csidx...
http://blog.naver.com/blissking/221356403514
안티 A.T 필드 ..!
덜덜
저도 저럴껏이다 라고 생각하고 심해 관련 다큐 보면
심해생물들이 바다 외부로 나와도 전혀 신체 외형적인 변화는 안보이길래 ... 아 생각하곤 다르구나 라고 생각했거든요.
와 근데 진짜 그런 생물이 없진 않았네요 ㄷㄷ 신기하다.
혹시 온도차이 때문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