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씹덕 업계에서 그림의 기교실력 이상으로 요구되는거
"사람들이 원하거나 원하게 만드는 패티쉬의 디테일"
씹덕업계는 한번 상품을 가챠로써 획득하는데
강한 사치성을 동반하면서 존재하지 않는
상품의 가치를 증명해야하는 브랜드성 업계임.
그림을 그리는 쪽이든, 상품을 기획하는 쪽이든
씹덕에게 저런 구매충동을 부추길 수 있는건
그만큼 고급인력임.
게임이든 상품이든 AI를 써서
위의 저 디테일을 담을 수 있는 재능의 인간이 존재해서
AI로 만들어낸 일러의 상품성을 증명한다해도.
입을 아무리 털어도 업계의 AI도입 이유는
저임금에 적은 노동력으로 상품을 뽑는거고
그런 인력에게 ai를 사용하게 하면서 높은 임금을 줄리가.
회사가 제시하는 저임금을 받고
회사가 요구하는 다량작업의 디테일 관리를 감당하려 할리가 없고
현재는 커리어로써 인정받기도 쉽지않음
소비자 소비심리를 저격해서
대량과금을 유도하는 업계에서 효율 높이자고
소비자도 거부감을 일으키는 방식은 생산자도 리스크를 짊어지게됨
애초에 그런 사람이면 AI를 안쓰고
그림그리는 사람에게 요구사항을 전달하면 됨.
겉으로는 똑같아보여도 장인이 만든 수제젓가락하고 공장제 나무젓가락이 가격 다른것처럼... 비싼 돈 과금하는데 공장제 캐릭터한테 하라고 하면 할맛이 나겠음
AI딸깍 예전에 가디언 테일즈 이슈도있지않았나?
시계같은거지...
완벽한 정확도의 전자시계 수천만원 내고 사라면 삼?
하지만 장인이 수작업으로 만든 오차가 있는 엔틱시계는 수억원에도 팔리지
야고 의견이랑 비슷하네
AI 버튜버에 대해 물었을때 아직은 사람들이 공감하거나 응원하고 싶게 만들기는 AI로는 무리다라고 했었는데
가챠비가 얼만데 사람들이 ai 딸깍에 지불하고 싶을까
퀄리티와는 별개로 결국 '사람이 만든것'에 돈을 내고싶은거지
명품브랜드 중국공장에서 만드는 걸 동네방네 밝히고 다니는 꼴인데
좋은 이미지가 나오겠냐고
AI딸깍 예전에 가디언 테일즈 이슈도있지않았나?
야고 의견이랑 비슷하네
AI 버튜버에 대해 물었을때 아직은 사람들이 공감하거나 응원하고 싶게 만들기는 AI로는 무리다라고 했었는데
식당중에 미원이 못에 안좋은게 아닌거 알아도 사용한거 티내면 발이 끊기니 안쓰거나 쓴거 티내지 않는 식당이 많았던거지.
하물며 진짜로 검증안된 수단을 사용하는건 진짜 리스크지
겉으로는 똑같아보여도 장인이 만든 수제젓가락하고 공장제 나무젓가락이 가격 다른것처럼... 비싼 돈 과금하는데 공장제 캐릭터한테 하라고 하면 할맛이 나겠음
퀄리티와는 별개로 결국 '사람이 만든것'에 돈을 내고싶은거지
소비자가 공산품이란걸 인지하고 있다면 그 상품은 공산품의 가치에서 벗어나기 힘든거임.
그래서 브랜드 업계가 이미지 관리에 엄청 열심인거고
가챠비가 얼만데 사람들이 ai 딸깍에 지불하고 싶을까
20만원짜리 정품피규어랑 80프로 정도 비슷한 짭피규어가 있어도 16만원 내고 그걸 사진 않지
명품브랜드 중국공장에서 만드는 걸 동네방네 밝히고 다니는 꼴인데
좋은 이미지가 나오겠냐고
그걸 실제로 해서 논란이 된 명품브랜드가 있었지?
공장제 보다는 수제가 의미 부여하기 좋기도 하고
시계같은거지...
완벽한 정확도의 전자시계 수천만원 내고 사라면 삼?
하지만 장인이 수작업으로 만든 오차가 있는 엔틱시계는 수억원에도 팔리지
공장제 vs 수제로 보면 감이 오는거지
ㅈ도 안달린 AI는 아직 꼴림의 미학을 이해하지 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