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59449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1.jpg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컨츄럴러(걍 패드라고 통칭)에는 알프스 센서라는 부품이 아날로그 스틱 쪽에 탑재 됨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2.jpg


아날로그 스틱 좌우 하나씩 이렇게 탑재가 되어 있음



이 알프스 라는 제조업체서 만든 아날로그 스틱 센서는 가변저항 방식 임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3.png


보면 이렇게 되어 있는데 이게 스틱의 움직임이 내부 탄소 필름 위를 접촉 하면서 지나가게 해서 


저항값을 변화 시키는 작동 방식 이거든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그냥 물리적으로 연결 되어서 움직이게 하는 방식이라고 보면 됨 


모든 조종기가 그런 방식이지 서로 마찰을 일으키면서 말이야


그래서 단점은 얘가 계속 마찰을 시키면서 움직이게 하는 방식이니 


언젠가는 마모가 될 거란 말이지 무슨 플라티나 소재로 만든 게 아닌 이상은 말이야


그러다 보니 오래 많이 쓰다 보면 스틱 쏠림 현상 같은 게 생기거나 해


많이 쓸수록 마모 될 거 아냐 그렇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좀 더 민감해질 수밖에 없어


아주 죶 같지 겪어 본 유게이들 많을 거임 


듀얼쇼크 듀얼센스 엑박패드 닌텐도 프로콘들 이런 것들이 알프스 센서를 써 


FPS나 TPS 같은 아날로그 정밀 조작을 하는 게임들도 이 알프스 센서 기반의 패드 감도를 기준으로 만든다구


그리고 가격이 싸 원가가 엄청 저렴하다구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4.png


그래서 그 죠까틈을 벗어나기 위해서 새롭게 등장한 녀석이 이 홀 이펙트 센서야 


색깔만 다른 게 아니고 얘의 특징은 자석을 쓴 자기장 센서 방식이라서 


그 자기장을 감지해서 게임내 움직임으로 전달을 하는 방식이라고


자석은 붙어 있을 필요가 없잖아 그러니 마모가 없어 


그렇기 때문에 얘는 이론적으로는 반 영구적으로 쓸 수가 있어야 하는 게 맞아


물론 얘도 작은 부품이니까 결과적으로 오래 쓰다보면 뭐 먼지라던가 기름이 낀다던가 해서 


조금 문제가 생길 수는 있겠지만 물리적은 마찰로 인한 고장은 안 생긴다구 이론상


그러니 아무래도 더 오래 쓸 수 있겠지 


단점은 가격이 더 비싸고 당연히 그만큼 전력도 많이 먹겠지 


패드 배터리가 알프스 때 보다 좀 더 빨리 다는 느낌을 받을 거임


그리고 감도가 알프스 센서 보다 좀 더 부드러운 느낌을 받아 


그래서 FPS 게임 같은 거 패드로 할 때 알프스 쓸 때 보다 감도를 약간 더 낮춰서 써야 할 거야


이거는 단점은 아니겠지만 게임들이 알프스 센서 기반으로 감도를 잡기 때문에 새롭게 익숙해 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거지


이거는 좀 불편 할 수밖에 없겠지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5.png


그리고 새롭게 TMR(마그네틱 터널 정션의 약자) 센서 라는 녀석이 있어


얘도 홀 이펙트 센서 처럼 자기장 방식 이면서 보다 전력 소모가 적으면서 더 정밀한 움직이 가능해


완전 패드 계의 미래를 제시하는 고품격 패드에 들어가는 소재야 


얘는 온도 안정성에 있어서도 영향을 덜 받는다고 함 


굉장히 튼튼한 고급 소재이지 


거기다 감도도 상당히 고감도 인데 물론 이런 거는 조정이 가능하니까 크게 고려할 사항은 아니긴 해


어차피 패드로 아무리 정밀도가 높은 플레이가 가능해 진다 하더라도 마우스 보다는 못 하니까 


근데 패드 치고 감도가 여타 센서에 비해서 좀 더 정밀감이 느껴지는 조작이 가능하다고는 해


그래서 가격도 더 비쌀 수밖에 없지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6.png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7.png


카제나로 시끌벅적한 유게에 게임 컨트롤러 센서에 대한 글_8.png


게임서 T4 사이클론 2 패드나 팔비또 얼티밋 블루투스2나 블리츠 2 TMR 패드 등이 TMR 센서를 탑재 했다고 알려져 있어


이런 프리미엄 패드들은 아직 그렇게 까지 널리 사용 되고 있지는 않거든


일반 사람들이 내구성을 인식해서 쓰기에는 홀 이펙트 정도가 가장 가격대가 현실적일 거야


물론 TMR 센서도 보편화 되면 단가가 어느정도 낮아지겠지만 현재로서는 홀 이펙트 센서가 더 저렴해지는 것이 현실성이 있지


이상 컨츄럴러에 대한 사소한 지식에 대해 혀를 놀려봤음


유게이들은 패드 좋아들 하니



댓글
  • .ㄱ.ㄴ 2025/10/23 17:01

    팔얼블사라고?

    (U6x2b7)

  • 치즈치킨 2025/10/23 17:01

    apex4 쓰는 중.

    (U6x2b7)

  • 구슬이 2025/10/23 17:01

    닌텐도 겜만해서 프로콘만 적당히 사쓰는데
    스위치에 프로콘보다 좋은 컨트롤러있어?

    (U6x2b7)

  • 촤아아앗 2025/10/23 17:06

    스위치 1에서는 서드파티 패드들이 어느정도 지원이 되었거든 근데 스위치 2에서는 모르겠어 스위치 2도 만약 지원이 된다고 하면 서드파티 패드들이 요즘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주더라구

    (U6x2b7)

  • 쌀마스터 2025/10/23 17:02

    플스 쓸땐 사실 아무 의미가 없지.
    듀센은 라이센스를 ㅈ같이 안줘서 듀센말고 대체할게 없거든 ㅋㅋㅋ
    이악물고 딴거쓰려면 30만원 베이스인데 개노답

    (U6x2b7)

  • 촤아아앗 2025/10/23 17:03

    이게 현실이지...팔비또 중에 usb를 파는데 그게 과연 쓸 수 있게 해주는 그걸 모르겠네

    (U6x2b7)

  • 잠이든다 2025/10/23 17:02

    저런 서드파티 컨트롤러는 ps5무선연결 되나
    최근 듀얼센스 수리실패로 새로사서 뼈아픔

    (U6x2b7)

  • 촤아아앗 2025/10/23 17:03

    그거를 모르곘어 ps5는 알다시피 굉장히 까다롭게 되어 있어서...

    (U6x2b7)

  • 리엇 2025/10/23 17:04

    그건 컨트롤러 사양 표시하는데서 직접 찾아야 할 듯?

    (U6x2b7)

  • 리엇 2025/10/23 17:04

    옛날엔 기본형 엑박패드를 추천했는데
    얘가 요즘 6만원 되니까 가격에서 메리트가 없어졌어...

    (U6x2b7)

  • LegenDUST 2025/10/23 17:11

    마그네틱 터널 정션의 줄임이면 MTJ여야 하지 않아...?
    정말로 몰라서 궁금해서 물어보는거

    (U6x2b7)

(U6x2b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