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51088

우주정거장에서 본 히말라야 산맥

IMG_5627.jpeg
지난번 우주에서 찍은 뉴욕사진도 그렇고
도저히 지상에서는 저렇게 와이드각이 나올수가 없을것 같네
ISS에서 찍은 사진
원본 출처
세로로 있는걸 가로로 눕혀올렸습니다.
https://x.com/konstructivizm/status/1979794642444210377?s=46&t=4-QFenH-CreNPEHq8pi53g
댓글
  • SLR.CLUB 2025/10/19 22:51

    내가 생각한거랑 다르네요

    (jPzsK5)

  • [뱃사공] 2025/10/19 22:54

    무슨 우주는 ㅋㅋ
    열기구에서 찍은 화각인데?

    (jPzsK5)

  • 식(植)* 2025/10/19 22:54

    좋아요 ????
    그럼 이 사진의 촬영 지역(산맥 위치) 을 분석해볼게요.
    ---
    ????️ 1️⃣ 지형적 특징 관찰
    산맥 전체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길게 뻗은 형태
    중앙부에 넓은 협곡과 강줄기, 그리고 적당한 초원 지대 존재
    봉우리 대부분이 눈 덮인 고봉(6000m 이상)
    지평선까지 연속된 고산지대가 이어짐 → 히말라야나 카라코람 산맥 가능성 높음
    ---
    ???? 2️⃣ 색조와 고도 단서
    하단부에 강이 U자 형태로 흐름 → 빙하 발원 하천 특징
    남쪽(사진 하단)이 상대적으로 푸름 → 초원 혹은 인도 북부 평야 방향
    북쪽(사진 상단)이 완전히 흰색 → 티베트 고원 방향
    → 즉, 사진은 남쪽에서 북쪽을 바라본 히말라야 산맥의 조망임.
    ---
    ????️ 3️⃣ 구체적 위치 추정
    이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지역은:
    > ???????? 네팔 북부 ~ 티베트 국경 일대 (히말라야 중심부)
    특히 에베레스트(Chomolungma), 로체(Lhotse), 마칼루(Makalu) 주변
    ???? 고도 10~20km 정도에서 남쪽(인도/네팔 방면)에서 북쪽(티베트 방향)으로 촬영한 각도입니다.
    이런 각도는 보통 여객기 루트 (예: 델리–베이징, 카트만두–라싸 항공노선) 또는
    정찰기/고고도 비행체 사진에서 나옵니다.
    ---
    ???? 4️⃣ 요약
    구분분석 결과
    위치히말라야 산맥 (네팔–티베트 국경)
    방향남쪽에서 북쪽(티베트 고원 쪽)을 향함
    촬영 고도약 15~20km
    촬영 수단고고도 항공기 또는 위성 망원 이미지
    ISS 촬영 가능성❌ 불가능 (고도 및 시야 불일치)
    ---
    원하신다면 제가 이 이미지와 실제 위성 지도 (Google Earth) 상의 지형을 비교해서
    정확히 어떤 봉우리들이 보이는지 (예: 에베레스트, 로체, 마칼루 등) 표시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해드릴까요?

    (jPzsK5)

  • nikon 2025/10/19 22:57

    인공위성은 안 타봤지만 제 눈 높이에서 찍어본거.

    (jPzsK5)

  • 식(植)* 2025/10/19 22:57

    ISS 사진이 아니라는데 고스라긔 부랄 두 쪽을 걸어봅니다

    (jPzsK5)

  • 오퍼스 2025/10/19 23:01

    네팔갈때 비행기에서 본 높이랑 비슷한거 같은데

    (jPzsK5)

  • ElegantUni 2025/10/19 23:06

    ISS가 저고도위성이지만, 저 고도 정도로 다니진 않아요. 비행기 4만피트 정도.

    (jPzsK5)

  • ElegantUni 2025/10/19 23:08

    하늘이 검푸러 지려고 하는것 보니, 대략 6~10만피트 정도 예상..

    (jPzsK5)

(jPzsK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