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고 있으나 니콘용이 안나오고 있는 빌트록스 35.2 LAB.
다음주 금요일에 판매를 시작하는 시그마 35.2 DG II.
둘 다 소니용입죠 (슬프게도)
그래서 메가뎁을 살 예정입니다. 세기몰이 국내 대리점을 한다고 하네요. 21 프로 플러스 제품이 465,000(헐)
알리에서 쿠폰 먹이고 사면 318,000인데 관세 59,780내면 377,370원인데,
거의 9만원 더 쓰면 뭐가 많이 좋아지려는지? 3년간 AS... 때문에?
그와중에 이 두가지 Mark Bennet이 제대로 비교해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영어고, 번역은 없습니다. 비교 잘했네요.
요약하자면...
가격은 빌트록스 999$(국내에서 139만원입니다) / 시그마 1549$(국내 미정, 최소한 220만원은 갈듯)
그러면 80만원이 시그마가 비싸네요. 물론 A급 일본산이라는... 그외에도
1. 포커스 브리딩 시그마는 전혀 없음 (영상이 주 목적이신 분들은 빌트록스에서 이게 좀 걸릴듯)
2. 둘 다 색수차는 나타남
3. 의외로, 시그마 포커싱 소음이 좀 있네요?? 영상에서 괜찮을지 모르겠습니다. Mark Bennet도 놀란듯.
4. 시그마가 작고(72mm 구경, 빌트록스 77mm), 가볍고(700그램대, 빌트록스 900그램대)
5. 플레어 억제는 둘 다 거의 같은 수준의 수준급.
6. 빛 갈라짐은 시그마가 더 쨍 합니다.

리뷰어 이야기로 자기가 보기에 빌트록스는 98% 수준의 시그마... 라고 합니다.
제가 보기에, 피부톤은 빌트록스가 더 밝게 이쁘게 나오는것 같은데요...?
일단 기다리기 힘드네요. 메가뎁 지를겁니다.
그리고 80만원 더 주고 시그마로 간다? 생각좀 해봐야 할듯... 그돈이면 렌즈 하나 더 사는데...
코리아포토프로덕츠(KPP, 빌트록스 판매사) 에서도 니콘버전 나온다고 알고 있는데 언제가 될지 이야기가 없다네요.
빌트록스 본사에서도 문의해보면 내부적으로 날짜가 있는것 같은데 자기네도 모른다고 하니... 일단 나중에 손해보더라도 (중고 팔고, 니콘용 재구매?!?!) 질러보려 합니다. KPP에서도 니콘 사용자가 아답터 써서 구매한 분이 몇분 계신다는데, 왜 정보가 없는지 원....
질러보고 나서 써보고 올리겠슴다. ^^
80만원은 as 차이라고 봐야겠네요. Kpp는 as가 없는거나 마찬거지라..
80만원이 AS비용이라면 너무 심각한(?) 비용인데요!!
뭐, 렌즈의 메이커 그레이드가 있으니 당연히 시그마는
탑티어급이니 이해가 가는 금액이긴 합니다. 니콘 35.2와 비교하면 그래도 엄청 싼거죠 ㅎㅎ 취미사진가로 지불하기에는 그래도 주춤하게 되는 가격입니다...
고장 안나면 좋겠지만.. 고장나면 as가 답이 없습니다 kpp
음... 고민이 되긴 하네요 오늘 가서 이야기좀 해 봐야겠네요...
일반 시그마 탐론이나 니콘 캐논 소니 등등 as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간단한 수리조차 못해서 중국으로 보내야 하는 곳이라..
소니동의 한 댓글입니다.
헐...빌트 16.8 잘 쓰고 있는데...고장 안나게 조심해야겠네요 ㅠㅠ
아하하... 그렇긴 하죠. 어차피 빌트록스 AS문제는 바탕에 깔고 가야할듯 합니다. 의견 감사드립니다. 근데 일단 눈이 돌아가면 어찌되었든 지갑은 열려야만 합니다 ㅋㅋㅋㅋ
렌즈퀄자체는 무섭게 쫓아왔죠 빌트니 아티산 렌즈들요. 뭐 국내 as 가 거의 안된다고 보면되는곳들이라.. as 센터 운영 유지비가 빠진 가격이라고 보면 될거 같아요.
맞습니다. 쩜이가 저 부피에 무게니! 세상 참 좋아졌죠~ 지름신은 질러야 없어지는게 맞습니다 ㅎㅎ
제눈에는 빌트록스 AF가 더 빠르네요.
음...구형(?) 시그마 베리빅 유저로서는 둘다 부럽습니다.
지쳐서... 일단 질러 써보려고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