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쓰촨성.
그러니까 사천성(파촉지역)에 남아 있는
유비의 묘 겸 제갈량을 모시는 사당.
유비 사후 세워지고 이후 왕조에 따라 제갈량과 합장이 이루어지는 등
이후
명나라 청나라 대에서도 황제들이 보존을 명할 정도로 중요한 유산으로 여겨짐.
단순히 소설빨로 보존된게 아닌 것이
삼국지연의는 원말명초에 쓰여짐.
즉 소설이 뜨기까지
1000년 이상 보존 되었다는 뜻.
연의가 있기 전의 1000년 세월 동안 촉한의 역사는
'패배' 의 역사였다.
단 2명의 군주 밖에 이어지지 않았고 존속기간 역시 40년이 조금 넘어 역사의 뒤안길에 사라진 군주의 묘가
1000년 넘게 현지인들에게 보존 되었다는 것만 봐도
유비와 제갈량이 촉한 지역에 얼마나 선정을 베풀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실제로 이후 중국사 왕조들이 유비, 제갈량을 신경 쓴 것도 사천성 지역의 민심을 잡기 위해서였다고
그래도 이게 얼마나 대단한지 감이 안 잡히는 분들께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보자면
여러분 생각해봅시다.
유비의 묘임과 동시에 제갈량을 모시는 저 사당은
'지금' 까지 보존 되고 있습니다.
예.
얘들한테서 살아남았다는 소리임.
문화대혁명 때 저 지역 주민들이 진짜 목숨걸고 사수했었다고 함
저게 대단한 이유는 제갈량이 촉한을 그냥 평화롭게만 통지하던것도 아니고 총력전으로 징집을 5번이나 했음 ㅋㅋ
아니 선생님들 연희는 하와와잖아요
문혁때는 연희빨을 받았을 수 있었는거 아니냐는 나쁜말
망국의 명재상 이거 맛도리거든요.
장량? 천하통일 한거는 인정해도, 중앙권력에서 헐뜯어지면서도 나라지킨 충신이냐 하면 그건 아리까리 하거든 ㅋㅋㅋ
문혁때는 연희빨을 받았을 수 있었는거 아니냐는 나쁜말
저게 대단한 이유는 제갈량이 촉한을 그냥 평화롭게만 통지하던것도 아니고 총력전으로 징집을 5번이나 했음 ㅋㅋ
국궁진췌 사이후이
이 말이 사실이든 아니든, 촉한의 마음과 결의를 상징함.
하지만 유선은 아니지, 넌 그냥 나가있어 ㅅㅂ
망국의 명재상 이거 맛도리거든요.
장량? 천하통일 한거는 인정해도, 중앙권력에서 헐뜯어지면서도 나라지킨 충신이냐 하면 그건 아리까리 하거든 ㅋㅋㅋ
연...뭐요?
파촉지역 현지민 입장에서 유비랑 제갈량은 굴러 들어온 돌일텐데 신기하네
아니 선생님들 연희는 하와와잖아요
연의도 아니고 연희는 뭐 연희무쌍이냐?
북벌이라는 표현이 아직도 있는것만 봐도
뭔가 덕분에 충의지사이자 선비이자 지략의 대가같은 이미지하면 우선에 윤건 학창의가 떠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