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901812

다들 어렴풋이 느끼고 있던 로튼토마토의 불편한 진실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1.png


한국인들도 해외 영화를 볼 때 가장 참고하는 곳 중 하나이면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1/3 도 영화를 볼 때 참고한다는

영화 전문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는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2.jpg


1998년 미국의 아시아인들에게 희망을 준

대 스타 성룡의 광팬이 주축이 되어


성룡영화에 대한 전문 사이트로 시작,


이후 모든 영화의 평론을 종합하는 영화 전문 사이트로 변하게 됨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3.png


로튼 토마토 사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영화를 점수로 분류하는게 아니라 썩은토마토 지수로 분류,


예를들어 어떤 영화를 평가한 10명의 평론가가 있고

그 중 7명이 영화를 신선하다고 평가하고

3명이 신선하지 않다고 평가하면

로튼토마토 지수가 70% 가 되는 것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4.png


그런데 최근 미국의 통계학자

다니엘 패리스가 최근의 로튼토마토에 대한

수상한 움직임을 연구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5.png


2015~16년을 기준으로

개봉한 영화들의 로튼토마토 지수들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다니엘은 이 경향성에 대해 두가지 가능성을 생각했는데


1. 놀랍게도 2015~16년을 기점으로 모든 영화의 질이 좋아졌고,

썩은 토마토 등급을 받을만한 영화들이 줄어들었다!


2. 배후에 무언가 있는게 아닐까?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6.png


실제로 로튼토마토는 2016년

미국 최대 영화 예매사인 판당고에 인수됨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7.png


그리고 로튼토마토의 평균 지수가 높아지기 시작한

2016년부터 평론가 지수와

관객 지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 증가함


이는 2016년부터 로튼토마토 지수에 포함되는

인디평론가의 숫자가 증가한 것이 가장 큰 이유라는데


로튼에서는 다양성을 근거로 들고 있지만

영화사나 배급사의 뒷거래 의혹을 배제할 순 없음



미국 통계학자가 혹시나 설마한 로튼토마토 근황_8.png


다니엘은 마지막으로 이러한 경향에 대해


"(가짜)평론가들에 의해 부풀려진 평점이

한두번은 영화관을 찾게 만들겠지만

장기적으로 (가짜)평론으로 영화관에서 불쾌한 경험을 한다면

결국 패배하는건 영화업계일 것" 이라고 경고함

댓글
  • 빵꾸난박 2025/08/24 19:27

    그치만 이 씹새들은 뭐가 ㅈ망하더라도 당장 지금 계좌에 500원 하나 꽂히는게 더 중요한 새끼들인걸요~

  • 빵꾸난박 2025/08/24 19:27

    그치만 이 씹새들은 뭐가 ㅈ망하더라도 당장 지금 계좌에 500원 하나 꽂히는게 더 중요한 새끼들인걸요~

    (dgjRb8)

  • ELEMENTALMASTER 2025/08/24 19:28

    관객지수가 평론가지수보다 낫긴해

    (dgjRb8)

  • 익명-TEzMzI3 2025/08/24 19:31

    애초에 뭐 평론가란 게 딱히 자격이니 그런 것도 없고, 그럴싸하다는 팬덤만 만들어내면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분야다보니...

    (dgjRb8)

  • 한나리 2025/08/24 20:28

    어쩐지 정도는 아닌데 싶은 영화도 죄다 신선마크 받더니

    (dgjRb8)

  • 포가튼 사가 2025/08/24 20:28

    아 이래서
    썩토지수는 볼필요없다는 거구나

    (dgjRb8)

  • 리얼카이 2025/08/24 20:29

    그 옆의 팝콘이 엎어지냐가 더 중요함 ㄹㅇ

    (dgjRb8)

(dgjRb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