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87731

코인코인에 대한 생각 2

첫 글에는 블록체인 기술과 코인 상용화, 거래소와 투기에 대해 논했습니다.
https://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1801140012782170&select=&query=&user=&site=&reply=&source=&sig=hgjLGY21ghRRKfX@hlj9GY-g6hlq
이번엔 현재  상황에서 예측 가능한 코인의 미래를 서술합니다.
1. 코인 상용화의 개념 : 실생활에서의 거래 지불 수단
먼저 코인의 상용화가 어떤 의미인지 말씀드립니다. 코인은 1) 실생활에서 사고 팔때 지불하는 수단과 2) 거래소에서 코인 자체를 사고 파는 대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1)은 가게에서 물건 살 때, 월급 주고 받을 때, 세금 기타 공과금 낼 때 코인으로 지불한다는 의미죠. 2)는 현재 거래소에서 매도호가와 매수호가가 맞아 떨어질 때 이루어지는 것이고 여기서 코인은 상품이 됩니다. 이 글에서 말하는 상용화는 1)의 의미입니다.
2. pow 코인의 상용화 : 가능하되 pow 코인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너무 크다.
한 국가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화폐는 국가가 그 가치를 보증합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말한다면 화폐수량방정식에 따라 결국 국가총생산에 의해 결정된 가치를 화폐 증서로 대리하여 표시합니다. 여기엔 사실상 현실에서 가장 우월한 조직체인 국가가 가치를 공증하며 동시에 보증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pow 코인은 블록체인의 근본 철학-탈중앙화-이 구현된 것이기 때문에 보안성에서 강력한 우위를 지니며 그로써 '공증'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본원적인 가치-국가총생산 등-에 의한 보증이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법정화폐에 기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pow 코인이 어떤 방식으로든 법정화폐와 연계된다면 파생된 것이라도 사실상 화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거래소에서 매매가 이뤄지는 것은 달리 말하면 법정화폐에 파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죠.
그러나 pow 코인은 발행과 결제 승인에 채굴을 요하고 구조적으로 1) 누적 채굴량이 많아질 수록 다음 채굴의 난이도가 상승한다(한계비용체증) 2) 더 많은 거래에 따라 시간 지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즉 pow 코인에 의하자면 거래비용이 매우 크다는 것이죠. 굳이 pow 코인이 아니더라도 거래 비용은 발생합니다. 우리는 물건을 살 때 부가가치세를 내고 카드를 쓴다면 회원비를 내고 상대방은 수수료를 물어야 하죠. 하지만 pow 코인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은 그에 비할 바가 아닙니다. 차라리 부가가치세는 세수가 되어 정부를 지탱하고 무언가 공공재로 환원될 것이며 수수료는 카드사의 수익이 되어 정상적인 경제 내에서 순환할겁니다. pow 코인 체제는 그저 채굴장의 전기료, 임대료, 설비비용 기타 제반 비용을 충당하는데 쓰이겠죠. 그것도 경제 내에서 순환하는 것 아니냐? 뒤에 그 맹점을 논해드립니다.
3. pos 기타 코인의 상용화 : 화폐 가치 없음
pow의 유지비용이 비현실적이 되어 대안으로 나온 것이 pos입니다. pos는 nothing at stake 문제로 인해 보안성에 취약함을 드러냅니다. 잠재적 문제이지만 이전 글에서 지적했듯이 보안 취약성에 의해 pos 코인을 보유한 한 개인이 피해를 입었을 때 그건 개인이 도둑질 당했다는 정도의 의미가 절대 아닙니다. 모든 pos 코인의 보유자의 문제가 됩니다. 보안성을 화폐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공증'의 기능입니다. 공증 기능 자체가 되지 않아서 화폐로 기능할 수 없습니다. 기능해봤자 그 공증안되는 위험만큼 디스카운트되는 것이 냉엄한 시장의 평가입니다. 일종의 부실 채권처럼 말이죠.
설령 보안 취약성 문제는 이론적으로 제기된 것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이론적인 문제여서 현실에서 난점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엔지니어들이 그렇게 평가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pos 방식은 역시 또한 구조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는데, 체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pos로 발행된 코인의 전량 중 한 개인이 보유한 지분율만큼 발권 및 데이터 갱신에 대한 사실상의 권리를 갖는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는 한 개인의 지분율이 높을 경우 그의 사실상의 허가하에서 거래 승인이 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는 거래 쌍방 중 강자의 이타심을 요구하는 것인데, 시장에서는 약자에게도 이타심이 없습니다. 보안성에 대한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어 공증의 기능을 갖추더라도 실제 시장에서 쓰이기엔 말 그대로 모순적인 체제라는 것이죠. 이외에 다른 방식의 코인들을 보아도 두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4. pow 코인은 현실에서 어떻게 기능할 것인가 : 지하경제
pow 외의 코인은 '공증'도 달성하지 못하므로 가능성은 pow에만 있습니다. 구세대라고 하지만 화폐 기능을 그나마 할 수 있는 것은 제가 보기엔 pow 외엔 없습니다. 체제 유지비를 감당한다는 전제 하에서 말이죠. 정상적인 현실 상거래에서 pow 코인이 기능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신용카드를 이길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관건은 그러한 거래비용을 지불하고도 거래를 성사시켜도 이익이 남고 그렇게라도 이익을 실현해야 하거나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익을 실현할 수 없는 그러한 거래만 남습니다. 가능한 상상 : 불법거래, 범죄수익, 비자금 등이죠.
5. 결론 : pow도 pos도 그만둬라, 특히 pow는 더더욱.
pos는 언제든 부실채권이 될 위험을 안고 있는 상태입니다. 가치가 평가하는 것이 무가치할 정도죠. pow는 살아남을 수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지속되는 이 거품은 일단 거시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공짜 점심은 없으니까요. 그리고 그 거품에 편승해 누군가는 돈을 벌기도 하겠지만 또 누군가는 불법거래, 범죄수익, 비자금의 세탁을 위한 시드머니로 쓰일겁니다. pow가 그러한 기능으로 살아남게 될 경우 무의미한 자원을 소모하는 채굴비용으로 귀중한, 정말로 희소한 전력과 토지 기타 등등이 소모됩니다. 특히 전력 문제는 가볍게 볼 상황이 아니죠. 현재도 국가 규모를 소모한다죠. 그 전력은 누군가에겐 온기를, 시원함을, 식료품을 저장할 냉기를, 생명보호장치의 유지를 위해 쓰일 수도 있었을 것인데 말이죠. 전력 역시 공짜가 아니라 환경비용도 드는데 그런 부분에 쏟아서 후손들에게 물려주는겁니다. 코인하는 당신은 스스로 합리적으로 판단해서 치고 빠져 차익을 남기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경제적 이익을 좇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여길런지 몰라도 상당한 윤리적 비난가능성이 있는겁니다. 투기적 거품 외에도 말이에요. 정부가 괜히 칼을 빼지 않습니다. 공동체의 안녕을 추구하는 정부라면 더더욱요.
6. 잡설
현 정부가 출범하고 이런 저런 시도들을 합니다. 최임 올리고 대기업에 대한 중소기업의 협상력 올리는 제도적 장치 만들고 의료 혜택 늘리고 그럽니다. 평가는 분분하나 최소한 국민 생활을 보다 나아지게 하겠다는 목표 하에 진행하는 일입니다. 작년에는 암군을 쫓아내기도 했죠. 그런 귀감이 될 국민과 그 기대를 받아 직무를 수행하는 권력이 있는 반면 한 쪽에서는 일확천금에 눈멀어 투기로 돈을 태웁니다. 한국 사회가 체득해버린 경로의존성이 있어 쉽게 바뀌진 않을테지만 그래도 서글픈 것은 감출 수 없군요.

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처음으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TX9D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