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826077

농식품 유통이 마진 그렇게 남긴다는데 사업 함 해봐야지 ㅋㅋㅋ

농식품 유통이 마진 그렇게 남긴다는데 사업 함 해봐야지 ㅋㅋㅋ_1.png

농식품 유통이 마진 그렇게 남긴다는데 사업 함 해봐야지 ㅋㅋㅋ_2.png

농식품 유통이 마진 그렇게 남긴다는데 사업 함 해봐야지 ㅋㅋㅋ_3.png





농식품 유통이 마진 그렇게 남긴다는데 사업 함 해봐야지 ㅋㅋㅋ_4.png



농식품 스타트업들 상당수가 수박 겉핥기로 시장을 이해한 상태에서 시드받고 업계에 뛰어듭니다.
유통이 문제다라고 대중적으로 알려져있으니 창업자들 생각이 대부분 거기서 노는데,

실제로 와보고는 많이 다르다는 거 느끼고 대부분 빨리 접고 나가죠.
유통단계가 복잡한 건 사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안되는게,

"각 단계에서 20%씩 마진이 붙는다면 한 업체가 단계를 통합해서 35%를 먹으면 경쟁업체를 압살하지 않나?"

라고 생각해서 많이 창업을 하던데 대부분 한두해를 못버팁니다.


단계가 여럿인 건 재고리스크 때문에 시장이

보이지않는 손에 의해 자연스럽게 그렇게 정착한거죠.


신선식품의 대부분은 수확/도축 직후부터 유통기한 만료까지

하루단위로 가격이 거의 쌍곡선 저리가라 수준으로 급락합니다.
공산품과 달리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업자

모두 재고를 하루라도 빨리 털지 않을수록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구조죠.
상추를 딴 날 바로 경매에서 낙찰받지 못하면

하루 뒤에는 숨 죽은 상태로 그날 딴 상추들과 경쟁해야합니다.


전날 최상품이던게 수요부족으로 다음날이 되면

전날가격의 30%를 까도 눈길조차 받기 힘들죠.
그러니 유통단계를 통합한다?
그건 신선식품 재고를 더 오래 들고있겠다는 뜻이고,

그만큼 재고리스크를 크게 떠앉는다는 뜻입니다.
만약 신생 유통도매업체가 1억을 전부 쏟아붇고 신선식품을 매입했는데,

재고를 유통기한까지 털지 못하면 그건 이제 상품이 아니죠.


비용들여 버려야 하는 쓰레기가 됩니다.
그래서 유명 청과업체, 대형 도매업체들 중에서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를 공개한 곳들 보면,

전부 부채비율을 극한으로 줄이고 현금의 10%만을 이용해서 물품을 매입하고, 유통합니다.
그래서 ROE나 자산 회전율이 굉장히 낮게 잡힙니다.
엄청 보수적으로.
쉽게 말해서 9번 시장예측이 틀려서 매입한 걸 전부 버려도 한 번 더 기회가 있게 사업을 합니다.
그럼 현금 20% 써서 사업하면?

저들보다 성장이 빠르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한 업체들 엄청 많'았'습니다.
5대 청과들이 공통적으로 10%를 공식처럼 따르는게 괜한 이유가 아닙니다.
그보다 더 많이 굴린 업체들은, 한 번에 떼돈을 벌더라도 대부분 오래 못갔습니다.

몇 번만 틀려도 깡통찼죠.
운 좋게 몇번 맞춰서 떼돈 번 도매상들?
포르쉐에 롤렉스 차고 다니다 3년 후면 안보이고 차는 경매 나와있죠.
마진율 20%를 온전히 다 받는 경우는 정말 드뭅니다.
그 해에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박살난 품목을 정말 잘 골라야

투입현금대비 20% 마진, 전체 순자산 or 현금대비로는 2~3% 겨우 법니다.
못맞췄다? 현금 10%에서 네트워크가 좋아야 떨이로 50~70% 건지죠.
총자산 5~7% 손실 나는겁니다.
그래서 도매업계 청/파산 비율 보면 살벌합니다.
이번에 유명 딸기 도매상이 파산한 것도 그런 경우중 하나죠.
그래서 차라리 대형마트처럼 정육-소매를 통합하거나,

농업회사법인들/하림처럼 생산/정육-도매를 통합해야 그나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생산-출하시기를 조절하거나 소매-소비자 수요를 할인/마케팅으로 예측/조절해야 살아남죠.
게스트분 말대로 업스트림 아니면 다운스트림을 잡아야하죠.
그런데 그런 건 생산기반이나 지점 판매망이 이미 깔려있어야해서 스타트업들이 안합니다.
대부분(그리고 정육각도 포함해서)은 웃기게도 도매/정육-소매에 진입하면서 단계 통합을 하겠다고 하죠.


쉽게 말해서 타임어택 사업인데, 타이머를 키거나 끄지 못하고

남이 키거나 끌 타이머에 맞춰서 재고리스크를 안고 사업을 해야합니다.
정육각은 출하시기도 못 정하는데 판매는 초신선이니 빨리빨리 판매 해야하고,

그래서 주문 즉시 발주를 넣으니 계약거래를 못해서 시가로 사오니까 대량구매로 가격을 할인받지도 못했습니다.
그렇게 비싸게 팔았으면서 원가율이 120%인게 그것 때문이죠.
그래서 듣기로는 막판에 깨달아서 AI 수요 예측시스템을 바탕으로 주문 들어올 시기를 예측해서

그걸 바탕으로 고정납품 계약을 수립해보려고 한걸로 아는데,
그러기에는 매출이 400억을 못넘겨서 물량 부족으로 고정계약 체결에 실패했고,
예측시스템이 각종 변수(날씨, 공휴일, 소비자 선호도등 변수가 너무 많아서) 를

전부 예측하거나 넣어야 해서 결국 실패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정육각 창업주분은 초기에 이 사업모델에 문제가 있다는 걸 알기 전에

돈을 너무 많이받고 판을 키운게 문제인 것 같네요.
또는 막판에 투자받고도 적자를 전혀 못 줄인 걸 보면,

잘못된 걸 인정 못해서 잘못된 매출을 축소하지 못한걸지도 모르겠네요.



--



했던 애들은 왜 다 뒤졌나요 ?

-> 사실 농식품 유통은 ㅈ도 안남기 때문이란다 ~




농식품 유통이 마진 그렇게 남긴다는데 사업 함 해봐야지 ㅋㅋㅋ_5.png


하림은 존나 크지 않나요 ?

-> 니가 하림처럼 규모 키울 수 있으면 유통 사업하렴 ~

댓글
  • onlyNEETthing 2025/07/30 01:42

    가장 큰 문제점 : 빨리 썩는 물건들이 놀랍게도 수요가 고정적이지도 않다

  • onlyNEETthing 2025/07/30 01:43

    뭐? 배추가 금값이야?
    사람들이 김장을 이번주부터 할지 다음주부터 할지, 올해 배추농사가 잘될지 안될지 이런거 맞출 줄 알면 그냥 로또 번호를 맞추고 말지

  • ump45의 샌드백 2025/07/30 01:44

    갑자기 비오니 다음주에 해야지 x 3만명

  • ump45의 샌드백 2025/07/30 01:45

    생각해보니 대형마트같은곳에서 배추 예약받던데 이래서구나

  • onlyNEETthing 2025/07/30 01:46

    씹덕들한테 굿즈 수요조사를 돌려서 수량을 맞춰도 사겠더 해놓고 안사는놈, 더사겠다는놈, 수요조사 참여 한번도 안하고 사려는 놈, 예구해놓고 취소하는 놈까지 나오는데
    당장 일주일 뒤면 폐기물 되는 물건들이 수요조사가 되겠냐구 ㅋㅋ

  • onlyNEETthing 2025/07/30 01:42

    가장 큰 문제점 : 빨리 썩는 물건들이 놀랍게도 수요가 고정적이지도 않다

    (YZLpC9)

  • onlyNEETthing 2025/07/30 01:43

    뭐? 배추가 금값이야?
    사람들이 김장을 이번주부터 할지 다음주부터 할지, 올해 배추농사가 잘될지 안될지 이런거 맞출 줄 알면 그냥 로또 번호를 맞추고 말지

    (YZLpC9)

  • ump45의 샌드백 2025/07/30 01:44

    갑자기 비오니 다음주에 해야지 x 3만명

    (YZLpC9)

  • 익명-TYxNzkx 2025/07/30 01:45

    농사가 도박이란 말은 농부랑 선물 계약 맺는 쪽도 같이 도박하고 있다는 말이다

    (YZLpC9)

  • ump45의 샌드백 2025/07/30 01:45

    생각해보니 대형마트같은곳에서 배추 예약받던데 이래서구나

    (YZLpC9)

  • onlyNEETthing 2025/07/30 01:46

    씹덕들한테 굿즈 수요조사를 돌려서 수량을 맞춰도 사겠더 해놓고 안사는놈, 더사겠다는놈, 수요조사 참여 한번도 안하고 사려는 놈, 예구해놓고 취소하는 놈까지 나오는데
    당장 일주일 뒤면 폐기물 되는 물건들이 수요조사가 되겠냐구 ㅋㅋ

    (YZLpC9)

  • 오블락 파는호갱 2025/07/30 01:46

    안그래도 HD사료 장기고객인데
    퓨x나 까지 영업 오더라...
    천하제일 팜스코 선진 우리동네 농장도 자주 사료 들어오는 브랜드임
    특히 규모 큰 농장(최소 10000두 규모)

    (YZLpC9)

  • 죄수번호1725377 2025/07/30 01:46

    흔히 뉴스에서 보이는 폭리 취하는 유통은 그쪽에서 한단계나 공판장 정도를 독과점한 놈들이라구~

    (YZLpC9)

  • FU☆FU 2025/07/30 01:46

    유통이 수수료와 차익을 떼가면서도
    계속 시장에서 유지되는 이유가 있겠지...?
    생산자가 직접 팔면서 배송하는게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니...

    (YZLpC9)

  • 쳇젠장할 2025/07/30 01:47

    나도 하림처럼 돈림이나 하나 만들어야겠다

    (YZLpC9)

(YZLpC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