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촨성.
그러니까 사천성(파촉지역)에 남아 있는
유비의 묘 겸 제갈량을 모시는 사당.
세워진 시기는 당연히 삼국지 시대이며.
이후 꾸준히 보존 되어 왔다.
명나라 청나라 대에서도 황제들이 보존을 명할 정도로 중요한 유산으로 여겨짐.
단순히 소설빨로 보존된게 아니라
삼국지연의는 원말명초에 쓰여짐.
즉 소설이 뜨기까지
1000년 이상 보존 되었다는 뜻.
연의가 있기 전의 1000년 세월 동안 촉한의 역사는
'패자' 의 역사였다.
단 2명의 군주 밖에 이어지지 않았고 존속기간 역시 40년이 조금 넘어 역사의 뒤안길에 사라진 군주의 묘가
1000년 넘게 현지인들에게 보존 되었다는 것만 봐도
유비와 제갈량이 촉한 지역에 얼마나 선정을 베풀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그래도 감이 안 잡히는 분들께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보자면
여러분 생각해봅시다.
유비의 묘임과 동시에 제갈량을 모시는 저 사당은
'지금' 까지 보존 되고 있습니다.
예.
얘들한테서 살아남았다는 소리임.
문화대혁명 때 저 지역 주민들이 진짜 목숨걸고 사수했었다고 함
마지막 위기를 잘 넘겼구나
홍위병 조차도 버텨낼 정도면
유비의 인품은 엄청났을 것이고
그것이 전해져 왔을 것이다
마지막 위기를 잘 넘겼구나
홍위병 조차도 버텨낼 정도면
유비의 인품은 엄청났을 것이고
그것이 전해져 왔을 것이다
이건 진짜다;
홍위병에게서 살아남기
-> 쉽지 않음
수천년 넘게 중국에서 살아남기
-> 쉽지 않음
덩치도 크고 고정된 문화재인데 파괴 안됨
-> 쉽지 않음
다 돌파함
원래 제갈량도 충신이자 선비의 표본으로 계속 똥꼬 빨렸고
연의 이전에도 민간에 삼국지 연극이나 소설은 판쳤음
연의로 전설이 된 건 맞지만 연의 원툴로 뜬 건 솔직히 아니지
나관중이 촉빠가 아니라 그 이전의 유구한 역사동안 전해 내려오는 민담들이 이미 촉빠였지
이게 얼마나 개쩌냐면
그 공자도 쟤들한텐 못당해서 무덤 조져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