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인공 동애등에
파리목에 속하는 이친구는 파리이긴 하지만 인간에게 이로운 점만 주는 익충인데
이 친구가 어떤 역할을 하고있는지 알아보자
우리나라의 연간 음식물 쓰레기는 약 500만톤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들어가는 예산만 연 8000억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는 대부분 사료 및 퇴비로 재활용되지만
딱봐도 과정이 엄청 복잡하지?
동애등에가 있다면 어떨까?
약 20톤의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면 6톤의 음식쓰레기가 나오고
이 6톤의 음식쓰레기에 단 700g의 동애등에 알만 부화시켜주면 돼
동애등에 유충은 음식물쓰레기를 먹고 자라며, 상한음식도 전부 처리할 수 있어
700g의 알은 6톤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 뒤
800kg의 유충이 되고 1.5톤의 똥이 생기게 되는데
이 똥 역시 버릴 거 없이 천연비료로 사용 할 수 있다고 해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의 약 10%는 이미 동애등에가 처리하고 있고
경남과 제주에선 적극적으로 활용중이라고 해
그럼 음식물쓰레기를 먹고 남은 유충은 어떻게 처리할까?
90%가량은 조류, 가축, 애완동물등의 사료와 먹이로 탈바꿈 한다고 해
남은 10%의 유충들은 성체가 되서 알을 낳고 죽는데
이 성충은 또 입이 없어서 먹이도 필요가 없어
유충 때 저장해놓은 에너지로 약 1주일 정도 생활하다가 삶을 마감하는거야
이 성체들의 시체또한 사료와 비료로 활용된다고하니
음식물쓰레기 처리해주고 나오는 부산물 또한 전부 활용이 가능한거지
실제로 동애등에의 곤충산업 규모도 점점 성장하고 있다고하네
우리 모두 음식물 버릴 때 동애등에 한번씩 생각해주자!
따봉 등애야 고마워!!
생물의 진화특
뭔 병1시같은 구조로 오히려 퇴화하냐 싶을때가 있음.
퇴화도 진화의 일부긴 함 ㅋㅋ
입이.. 없다고!?
입이.. 없다고!?
생물의 진화특
뭔 병1시같은 구조로 오히려 퇴화하냐 싶을때가 있음.
성충이 되면 입이 없는놈들이 좀 있어
퇴화도 진화의 일부긴 함 ㅋㅋ
나방도 성충은 입 없지 않나
하루살이도 없음
하긴 우리도 그런 기관들 꽤 있으니
하루살이도 성충되면 입이 없음.
따봉 등애야 고마워!!
오 파리같다
진짜 무슨 생태가 써먹기 최적화된 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