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자르는거나 가지를 치거나 얼음이나 여러 자재들을 자르는 등 공업용으로 주로 쓰이는
전기 사슬톱은 원래 다른 용도로 만들어졌는데...
그 용도는 바로 본래 출산을 할 때 필요한 도구였음
????
아니 이 무슨 미친소리야! 싶겠지만... 여기에도 나름 이유가 다 있는데
이야기를 하기 위해선 머나먼 고대 로마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야함
서양에선 고대 로마 시절부터 아이가 크거나 문제가 있어서 나오지 못하고
산모와 아이 모두 위험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하는 수술이 있었으니...
바로 제왕 절개였음
TMI * 제왕절개의 뜻 자체가 카이사르가 이 방식으로 태어났거나 산모와 아이가 죽으면 산모의 배를 갈라
아이를 꺼내 따로 장례를 치루게 하라고 해서 했다는 등 카이사르와 관련된 썰이 있어서
시저( 카이사르 ) 절개술 Caesarean section 이라 붙었다고 함
그리고 동양에 와서는 카이사르 - 시저 - 황제 - 제왕 帝王 절개이라 이름이 붙음
( 물론 실제 카이사르와 절개술과의 진짜로 연관이 있었는지 불확실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도 있음 )
암튼 과거 서양의 제왕절개는 산모와 아이 모두가 위험할 때 쓰는 시술로
둘 중 한명은 살리고 보자는 의미지만 주로 산모들이 죽는 쪽이었음
왜냐하면..
제왕절개는 칼과 가위 톱으로 음부부터 배까지 쭉 째는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마취도 없는 시절에 깨 있는 상태에서 배를 가르니 과다 출혈과 쇼크로 사망하던가
살아서 평생 후유증을 안고 골골대면서 살던가 둘 중 하나였음
그렇기에 서양의 의학계에서는 산모와 아이를 살리기 위한
우악스러웠던 제왕절개을 개량한 시술법이 간절했지만...
안타깝게도 도구의 발전은 물론이고 마취제 개발도 거의 미미했기에
천년이 넘도록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됨
그리고 세월이 흘러 1780년 즈음
스코틀랜드의 의사인 존 에잇킨과 제임스 제프리가
죽은 산모들의 시체를 사들여서 해부하며 연구한 끝에 새로운 제왕절개술을 개발하게 되는데
복부가 아닌 산모의 치골을 잘라 강제로 벌리고 아이를 받은 뒤 다시 뼈를 붙이고
최소 4~6주간 산모가 침상에서 골골대며 겨우 회복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됨
( 물론 현재는 금지된 시술임 )
하지만 개발한 것 까지는 좋았는데 아무리 칼이 좋아도
단단한 뼈를 급하게 잘라내야 했는데 그게 쉽지 않았고
톱을 쓰자니 톱이 너무 크게 움직이면 오히려 상처가 더 커지기 쉬웠음
때문에 두 의사는 새로운 정형외과 도구를 만들기 시작했고
지금도 뇌수술 같은거 한다고 두개골 뚜따하면 전기톱 쓰죠
지금도 뇌수술 같은거 한다고 두개골 뚜따하면 전기톱 쓰죠
그래서 체인쏘가 제왕절개에 도움이 되었나요
죽은자는 말이없다
처음부터 인간을 써는걸 전제로 만들어진 도구였다니 ㄷㄷㄷ
요즘에는 개복 수술할때 과다출혈을 어떻게 막아? 피 엄청 나올꺼같은데... 궁금하다
대장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