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사업장입니다.
여직원이 임신을 했는데...어찌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우선 출산 전후로 출산 휴가를 낼지 그것도 의문이고
출산후로 계속 다닐 수 있는지도 걱정이고
출산 휴가를 써도 해야할 것들이 있어서 걱정인데
법적으로는 출산 휴가를 써도 되는게 맞기는 한데..
이럴 경우 자게님 경험상 어떻게 하는게 좋은지 고민 문의 합니다.
아직까지는 결정된것이 없으니...난감하네요!
https://cohabe.com/sisa/4524944
임신한 여직원...
- 롯데월드에서 교복을 대여한 외국인들... [8]
- 캐논의추억 | 2025/04/23 14:48 | 307
- 힘들다고 주식 접지마라 [3]
- Acek | 2025/04/23 14:47 | 212
- 아청) 어느 기관이 유튜브 채널 제한조치를 걸었는지 확인했습니다. [27]
- 갱생 젠틀곰 | 2025/04/23 14:47 | 681
- 요즘 흥하고 있는 영화 두편 소감 [4]
- 소년탐정피카츄 | 2025/04/23 14:46 | 673
- 블루아카) 신주쿠역 철도가키 광고 영상으로 찍어왔어 [12]
- BurnCrow | 2025/04/23 14:46 | 410
- 이 대사 진짜 멋진데? [3]
- 톱을노려라 | 2025/04/23 14:46 | 416
- 유재석 뒷얘기 하고 다니다 걸린 박명수 [1]
- 6608411548 | 2025/04/23 14:46 | 309
- 삼양 135.8 사용해 보신분들 이게 렌즈마다 해상력,선예도, 쨍함 이게 다른가요? [7]
- 그냥사진사 | 2025/04/23 14:46 | 1151
- 일본 여배우 "나가노 메이" 불륜.jpg 有 [15]
- strac | 2025/04/23 14:45 | 618
- 백종원이 정수기 물맛에 민감한 이유 [8]
- 4639467861 | 2025/04/23 14:45 | 429
- 버튜버)화장실 변기파괴자 샤이릴리.jpg [6]
- Dr 1O년차 | 2025/04/23 14:44 | 1204
- ??? : "내가 가르쳐야 하는 의사도 많더라..." [3]
- 리사토메이 | 2025/04/23 14:44 | 781
- 이쯤되면 ㅈㄴ 대단한 새끼 [2]
- 군즈게이야 | 2025/04/23 14:44 | 1052
- 블루아카)슈트를 벗는 리오 [17]
- 투검 | 2025/04/23 14:43 | 620
아니 직원 한테 물어보면 되는걸 왜 여기에 ㅎㅎㅎ
직원의 결정이 아니라
그 결정에 따라 본인이 어떻게 해야할지.부담되니..어떻게 좋을지 조언해달라는 말같은데요
소규모 사업장이면..대체인력 뽑고 인수인계 시킨 내보내는게 최선이긴 하죠..
맘댜로 못내보내니 이런 질문 하는거쟌아요
맘대로 못 내보낸다라는 말씀은 없는데요.
임신했다고 자르면 뭐 대단한 페널티 오는줄 아시는데
그것도 규모 있는 회사 이야기고
작은 회사는 그냥 경영상 어려움으로 내보내면 뭐 없습니다.
실제로 소규모 사업장 중 경영상 어려움이 없는 회사는 없을테구요.
여직원에게 물어바야죠
출산휴가만 할꺼면 어떻게 버텨보고 육아휴직까지 같이 할꺼면 대타 직원 구해야되니....
그만둘꺼라고 하면 언제 사직한다는 사직서 미리 받아놓고 직원 구하는거 준비하고요
직원이 계속 일한다 그러면
땜빵으로 계약직 구해야되고
그만둔다 그러면 정직원 새로 구해야것쥬 ㄷㄷ
출산휴가는 보장하는게 맞구요
출산휴가 기간동안 계악직을 뽑아서 업무 유지하다
출산휴가 끝나는 시점에 복직의사가 없으면
그 계약직을 정직원으로 전환시키는 방법도 있어요
규모가 있는 회사면 대체인력 쓰는것도 가능한데
소규모 사업장은 환장하는거죠
출산휴가 육아휴직 다 써버리면 대체인력 구하기도 어렵고
출산휴가 + 육아휴직 합계 1년 6개월 봅니다....
그간 영세업장들은 법을 칼 같이 지키지 않아와서
지금도 법을 지킬 대비가 안되어 있을 뿐이고요
그게 현실적이지 않다, 고민하는 것이 충분히 이해가 간다는 등의 이유로
어찌 피해갈 수 있는 것을 허용하면
앞으로도 영원히 똑같은 고민이 있겠죠
그러니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이 정상입니다.
여직원의 의사가 가장중요한듯합니다.
출산휴가 기간과 여직원의 향후 회사에대한 능력이 중요할듯합니다.
회사일을 엄청잘했다, 그럼 대채인력 단기 계약직뽑으시고 복귀할때까지 운용하면되는데,
확실한 약속, 즉 언제까지 복귀하겠다란 서면약속과, 불이행시에 대한 향후 패널티등 서면작성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출산후 복귀한다고하고 안오는경우, 혹은 출산후에 복귀후 바로 둘째 출산한다고해서 또 공백등..
회사에 엄청 곤란한경우가 많았었습니다....
직원 입장에서야 출산 기간 동안 급여 일부가 지원되고,퇴직금 적립되고,4대보험이 계속 적용되는데,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으니 할 겁니다.
계속 일한 건지는 직원과 대화해 봐야지요.
휴직 후 돌아온다 그러면
그동안 계약직 고용해서 자리 채우는게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