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523762

미러리스 시대에 와서 렌즈들이 확 좋아진 이유가 뭘까요?

미러리스 시대로 넘어오면서 렌즈들도 혁명적인 렌즈가 많이 나오네요.
곧 발표된다는 50-150 F2도 그렇고.
샵에 가서 만져본 28-70mm F2 GM은 진짜 저 화각에 F2 줌렌즈를 저 크기와 무게로 구현했다는 것에 감탄 밖에 안 나오더구만요.
캐논 28-70mm F2 쓸 때는 그냥 크기 무게 생각하면 그리 놀라울 것도 없었는데 소니는.. ㄷㄷㄷ
백년 넘게 큰 발전 없던 광학기술이 갑자기 확 발전했을 리는 없고..
미러리스 들어와서 올라간 렌즈 가격만큼 특수렌즈들을 아낌없이 때려 넣어서 그럴까요?
아니면 소프트웨어 보정의 힘일까요?
그런데 소프트웨어 보정의 힘이라고 하기에는 리뷰들 보면 보정 off해도 GM 시리즈 렌즈들은 대부분 결과물들이 상당해서 ㄷㄷㄷ
암튼.. 미러리스 시대에 발전된 AF나 기타 전자기술보다 다양하고 독특한 렌즈들 튀어나오는 거 구경하는 재미가 더 쏠쏠하네요.
조만간 28-70 F2 GM 렌즈는 지를 예정입니다. ㄷㄷㄷ
그런데 35mm F1.2 GM은 의외로 안 나오네요. ;;

댓글
  • eggry 2025/04/22 18:30

    소프트웨어 보정의 발달
    설계 단계에서 시뮬레이션의 발전
    제조에 쓰이는 기계의 정밀도 향상
    그리고 미러리스와는 연관이 없지만 DSLR 후기 오투스/시그마 아트부터 등장한 크고 무거운 렌즈에 익숙해짐
    등등이 있지만 사실 가장 큰 이유는 그냥 오랫동안 방치되던 렌즈들이 마운트 교체를 이유로 리뉴얼 된 게 제일 크다고 봐야죠.

    (WhnEsA)

  • 아름다름 2025/04/22 23:18

    근데 일반 DSLR렌즈들도 리뉴얼 꾸준히 되지 않았어요?
    캐논도 35.4 III까지 나왔던걸로 기억해서요..

    (WhnEsA)

  • Sailor 2025/04/22 20:09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지만, 결국 고화소 센서가 개발되고 그 해상도 대응이라는 필요성 인식이 마침 미러리스 시대와 맞아 떨어진 것뿐이라고 봅니다.

    (WhnEsA)

  • 아름다름 2025/04/22 23:22

    갑자기 발전한게 맞는거같긴해요..
    예전 DSLR렌즈들 성능표 보면 대체로 최대개방에서 약간 낮고..조리개 11에서 최상 찍고
    다시 쭈욱 내려오고..
    이런식이었는데 요샌 최대개방에서부터 성능이 나오는것도 ..그렇고..
    주변부 화질도 그렇고..
    마침 미러리스 렌즈가 나와서 몽땅 재설계한것도 있을거같고요.
    렌즈의 재료나 렌즈 깍는 기술도 늘어나지 않아서 그럴까 싶어요

    (WhnEsA)

  • 인생이그런거지뭐 2025/04/22 23:29

    엔지니어링 기술 발달이 가장 큽니다
    렌즈 품질의 상향평준화

    (WhnEsA)

(WhnE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