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458816

최근 AI 성능에 충격먹은 현직 의사의 글..JPG


img/25/04/02/195f4cffd1255a56c.jpg



ㄷㄷㄷ

댓글
  • Project_Korea 2025/04/02 13:47

    하지만 태연하게 등신 소리를 진짜인 것처럼 말하기 때문에 맹신하면 위험하잖아

  • 무작위인생 2025/04/02 13:47

    크로스체크가 필요한거 같은데 논문에서도 못찾은건데 어디서 갖고 온거지??

  • 익명-zk2MTY4 2025/04/02 13:56

    20년동안 혼자 공부하던거가 몇만개가 쌓여있고 공유되기에 1분안에 대답할수있게 된것이지
    저 추론도 70년대 컨셉나온걸 현대와서 데이터가 축적되고 인공지능의 한계를 뚫어야되니 되살아났음
    결국 결과에 책임을 져야하기때문에 사람이 판단하고 결정을 내려야함

  • uspinme 2025/04/02 13:59

    기존의 지성은 개개인의 지성으로 교육으로도 불완전하게나마 축적 밖에 안됬고 책이나 저서로도 파편화되어서 그걸 개개인이 일일이 하나하나 찾아내고 익혀야되는 과정을 거쳐야됬으며 그 책이나 저서가 이곳저것에 흩어져있어서 그걸 하나하나 모으는것도 일이었는데
    ai는 그걸 말도 안되게 쉽게 해주어서 당장 질문이나 생각의 깊이는 몰라도 지식의 넓이는 여태 어떤 인류보다 ai가 강할걸

  • 그게필요하다 2025/04/02 13:47

    더욱 더 자기 밥그릇 지킬려고 난리나는 세상이 되겠네 ㄷㄷㄷ

  • uspinme 2025/04/02 13:58

    이게 맞는데 개개인의 지성이 개인의 지성으로 끝나고 소실되는데 ai를 이용하면 그게 축적되고 언제든지 불러올 수 있는 상태로 보존된다는게 강점인거같음

  • uspinme 2025/04/02 13:52

    나도 동의 그림 ai로만 난린데 그건 문제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생각 동시에 성능이 강하기에 공포스러운거라... 이게 잘되면 개개인의 지성을 끌어올리는 기존의 교육에서 나아가 인류의 지상을 끌어올리는 힘을 가진 도구라 마냥 부정할 수 없는것도 사실이라고 생각함

  • Project_Korea 2025/04/02 13:47

    하지만 태연하게 등신 소리를 진짜인 것처럼 말하기 때문에 맹신하면 위험하잖아

    (k2rfhv)

  • 익명-DA1MDc4 2025/04/02 14:23

    그런 환각 문제도 무섭도록 빠르게 해결해나가고 있음. ai는 그 발전속도가 진짜로 무서운 점인듯..

    (k2rfhv)

  • 그게필요하다 2025/04/02 13:47

    더욱 더 자기 밥그릇 지킬려고 난리나는 세상이 되겠네 ㄷㄷㄷ

    (k2rfhv)

  • 무작위인생 2025/04/02 13:47

    크로스체크가 필요한거 같은데 논문에서도 못찾은건데 어디서 갖고 온거지??

    (k2rfhv)

  • 헬멧냥 2025/04/02 13:49

    그림쟁이라서 위를 음음 글 잘쓰시니 하면서 납득하며 보다가 서로 질문하는거 이해못하고 바로 내림 ㅋㅋㅋㅋㅋㅋ

    (k2rfhv)

  • 익명-jc4MDk3 2025/04/02 13:50

    코드 짜달라면 확실히 느끼는 건데, 맹신하면 에러남ㅋㅋ

    (k2rfhv)

  • uspinme 2025/04/02 13:52

    나도 동의 그림 ai로만 난린데 그건 문제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생각 동시에 성능이 강하기에 공포스러운거라... 이게 잘되면 개개인의 지성을 끌어올리는 기존의 교육에서 나아가 인류의 지상을 끌어올리는 힘을 가진 도구라 마냥 부정할 수 없는것도 사실이라고 생각함

    (k2rfhv)

  • 오랑우탄맨 2025/04/02 13:55

    다 읽어봤는데 결국 의대증원 안된다 이말로 이어지는데?

    (k2rfhv)

  • Ruinos 2025/04/02 13:56

    사실 저 질문의 정교함 자체가 요구되는 것이라 항상 느끼지만 AI 는 사용자가 똘똘한 만큼의 똘똘한 답변을 준다. (물론 그 답변에 대한 검증과 이해를 할 정도의 똘똘함 그 이상이 요구된다.)

    (k2rfhv)

  • 익명-zk2MTY4 2025/04/02 13:56

    20년동안 혼자 공부하던거가 몇만개가 쌓여있고 공유되기에 1분안에 대답할수있게 된것이지
    저 추론도 70년대 컨셉나온걸 현대와서 데이터가 축적되고 인공지능의 한계를 뚫어야되니 되살아났음
    결국 결과에 책임을 져야하기때문에 사람이 판단하고 결정을 내려야함

    (k2rfhv)

  • uspinme 2025/04/02 13:58

    이게 맞는데 개개인의 지성이 개인의 지성으로 끝나고 소실되는데 ai를 이용하면 그게 축적되고 언제든지 불러올 수 있는 상태로 보존된다는게 강점인거같음

    (k2rfhv)

  • uspinme 2025/04/02 13:59

    기존의 지성은 개개인의 지성으로 교육으로도 불완전하게나마 축적 밖에 안됬고 책이나 저서로도 파편화되어서 그걸 개개인이 일일이 하나하나 찾아내고 익혀야되는 과정을 거쳐야됬으며 그 책이나 저서가 이곳저것에 흩어져있어서 그걸 하나하나 모으는것도 일이었는데
    ai는 그걸 말도 안되게 쉽게 해주어서 당장 질문이나 생각의 깊이는 몰라도 지식의 넓이는 여태 어떤 인류보다 ai가 강할걸

    (k2rfhv)

  • uspinme 2025/04/02 14:00

    그리고 그렇기에 지식의 넓이를 보조하는 용도로 쓰면 말도 안되게 강하고 빠른 도구로 작동한다고 생각함

    (k2rfhv)

(k2rfh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