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수질 정화용으로도 굴을 키우니까 전해안이 기준이면 소비자용 식용굴하고 비교는 옳지 않다"
라는 뉘양스로 글을 썼는데
그 전역이라는게 말 그대로 전국에서 검사한거기는 하지만
그냥 전국 모든 해안가를 말하는게 아니라 당연히 전국에서 특정 지역을 검사했다는 말이고
해당 검사는 특정 39개 "생산지역"으로
"EU규정 854/2004에 의해 식용 생산 허가가 난 곳"들임.
즉 전부 다 식용 목적으로 생산하고 있는거임.
"유통 완료 후 소비자 단계의 제품" vs "원산지"
라는 차이는 있기는 하지만
"식용이 아닌 것도 포함했다"라는 지적은 잘못되었음
뭐 자료 결과가 왜 그렇게 차이나는지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어렵지만 말이지
실제로 업계 특성상 뭔가 잘못이 있는 자료일 수도 있지만
그건 생산,유통업계 전문가 영역이니 알못인 나는 빠지고
우리는 이미 코로나때 선진국의 실체를 알았다. 딱히 이상할것도 없는듯
미국 유럽은 예로부터 노로바이러스 천국이었음
그리고 해안에 서식하는 조개,생선류는 다 안전하진 않음
우럭이 왜 슈퍼박테리아에 내성을 가졌는지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지
반박의 반박이 나오는군
흥미로운걸
십미터로빈후드
2025/02/12 15:12
영국이 저런건 템즈강 똥물때문인가....?
근데 프랑스나 이탈리아도 유럽기준으로는 굴 상당히 많이 먹는편이라고 아는데 저정도로 관리안되는건 신기하네
루리웹-3096984951
2025/02/12 15:13
우리는 이미 코로나때 선진국의 실체를 알았다. 딱히 이상할것도 없는듯
루리웹-3096984951
2025/02/12 15:12
반박의 반박이 나오는군
흥미로운걸
루리웹-8661106510
2025/02/12 15:14
미국 유럽은 예로부터 노로바이러스 천국이었음
그리고 해안에 서식하는 조개,생선류는 다 안전하진 않음
우럭이 왜 슈퍼박테리아에 내성을 가졌는지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지
파이올렛
2025/02/12 15:17
오 영어원문까지 나왔어 정보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