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절, 식경, 다경...
시계가 없던 시대, 사람들은 시간 개념을 하루/낮/밤/오전/오후로 크게
구분해서 말했다.
이 개념은 시계가 등장하고 디지털 시대인 지금도 그대로이다.
여기에 더해 하루 낮의 절반 즉 6시간을 의미하는 단어 즉 나절을 사용했다.
낮의 절반을 줄인 말로도 추측한다.
한나절은 6시간, 반나절은 3시간...
식경은 밥을 먹는 시간 정도, 다경은 차를 마실 시간 정도를 의미한다.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8062983961
https://cohabe.com/sisa/4329917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쓰는 우리말 단어...
- 내가 젊었을 때는 한 인물 했지 허허 [2]
- 4734884627 | 2025/02/12 18:11 | 1084
- 지하 노역장에서 가끔 열리는 회의 [5]
- 5945564269 | 2025/02/12 16:31 | 901
- 버튜버)의외의외 엄청꼴리는 암컷 홀로맴 [7]
- 보팔토끼 | 2025/02/12 15:27 | 1726
- 블루아카) 결국엔 또 얘네들임 ㅋㅋ [7]
- 당황한 고양이 | 2025/02/12 13:34 | 668
- MCU) 스포) 대사 몇마디로 존재감 각인 시킨 신캐릭터 [7]
- Djrjeirj | 2025/02/12 12:38 | 1175
- 찐따가 긴머리 좋다길래 잘라버림 [11]
- 맘마통 | 2025/02/12 11:19 | 851
- 해병대 돚거 긴빠이 이미지는 미군도 똑같음 [22]
- 즉각취식형 | 2025/02/12 10:03 | 741
- 국세청 스드메,산후조리원,영어유치원 세무조사 [8]
- 카더라 | 2025/02/12 08:26 | 1347
- 소전)지휘관과 스릴러 영화를 보는 와쟝 [2]
- 이오치 마리. | 2025/02/12 02:23 | 233
??
모텔 반나절 빌렸는데 하는 시간은 1다경이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