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명 구입과정에서 여러모로 궁금한게 많이 생기네요.
대여장비가 없는 자연광 스튜디오나 개인집에서 촬영할 일이 좀 생기다보니
600w짜리를 하나 들일라했습니다.
무선은 비싸다보니 어쩔수없이 유선으로 가려던건데
고독스 ad200이 무선이더라고요.
그래서그런데 200w짜리는 실사용에 제약이 많을까 싶어서 여쭙니다.
https://cohabe.com/sisa/4306077
실내촬영 조명
- 리버스1999) 튜즈데이 진짜 차갑게 이쁘다 [5]
- 1033764480 | 2025/02/02 16:08 | 493
- EBS 극한직업 라면공장편 [9]
- Lee Yoomi | 2025/02/02 15:00 | 784
- 블리치]나는 이 남자가 싫다 [4]
- 국대생 | 2025/02/02 13:35 | 456
- 히로인이 ㅈ박아도 주인공의 서사가 완벽하면 명작이라는걸 증명한 여주 [9]
- 클라크 켄트 | 2025/02/01 21:52 | 537
- 메달보다 어린아이가 우선인 선수 [3]
- 코가네이 니코? | 2025/02/01 20:50 | 1048
- 고죠 사토루 너는 피싱 문자마저 최강이냐아앗!!!! [6]
- 소소한향신료 | 2025/02/01 19:58 | 565
- 말딸) 라이스 샤워는 '빌런' 입니다. [0]
- 리톨쿤 | 2025/02/01 17:50 | 856
- 방송작가가 본 방송국의 현실 [15]
- ?비오는날나가기싫다 | 2025/02/01 16:32 | 326
- 많은 한국인들이 모른다는 팩트.jpg [2]
- 살아있는성인 | 2025/02/01 15:20 | 483
- 디씨의 정신 나간 빽햄 리뷰 근황 [27]
- RussianFootball | 2025/02/01 14:19 | 359
- 개그계 원로의 위엄 [7]
- 무한돌격 | 2025/02/01 13:15 | 930
- 모성애가 가득한 몸매.jpg [12]
- 흑강진유 | 2025/02/01 12:06 | 1013
- 서울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화재 [13]
- 라미아에게착정당하고싶다 | 2025/02/01 10:43 | 599
- 미쓰비시는 전범기업이라 싫지만 이건맘에든다 [28]
- 몽골리안갱뱅크림파이 | 2025/02/01 09:22 | 368
- 베르사유의 장미 오프닝 [9]
- 데빌쿠우회장™ | 2025/02/01 06:36 | 951
말씀하시는걸 들어보니 실내촬영이 많으신듯한데
일반적인 상황에서 ad200 이면 충분합니다.^^
조명사용에 대해 너무나도 오해들이 많으셔서 일일이 다 설명드리기는 어렵겠지만
600W급 이상의 조명은 오히려 실외에서 더 효과가 있습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조명이라함은 부족한 빛을 보충하는것이 기본인데(물론 필라이트 등의 기법적인 촬영은 논외)
조도가 부족한 실내의 광원은 형광등 정도일텐데 그보다만 밝으면 효과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반면 조도가 매우 높은 밝은 낮 야외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광원이 있어야만 그림자진곳을 밝힐수 있습니다.(물론 조명의 이해도가 높고 운용방식을 잘 아는분은 약간의 제약이 있겠지만 스피드라이트 만으로도 야외 촬영이 가능합니다.)
자 그럼 실내촬영의 조명사용시 고려할점은~
1. 바운스 촬영시 크지않은 공간의 실내라면 셔터스피드 부족으로 조명을 사용하고자할때 일반적인 핫슈온 스피드라이트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2. 디퓨져 등의 악세사리를 사용한 조명셋팅 촬영이라고 하면 ad200이면 충분합니다.
그러면 스튜디오에서는 왜 대형 조명을 사용하는가?
사실 전체 출력을 다 쓰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극단적인 디테일촬영을 위한 셋팅상황과 연속촬영을 위한 리챠징의 여유 등의 이유가 있겠습니다.
현 시대의 카메라 성능이 무척이나 고감도에 유리해졌고 하여 조명촬영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만 의도적인 컨트라스트를 만들어내거나 필요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때가 많습니다.
결론
현 시대의 카메라가 iso400~800 정도까지 써도 큰 문제가 되지않기때문에 아주 큰 출력의 조명이 아니더라도 ad200이라면 일반적 촬영에서 부족함이 없습니다.(사실 스피드라이트로도 충분합니다.)
단지 야외 고속동조 상황에서 부족함이 매우 느껴질수 있습니다. 이 사항도 추가설명이 너무너무 길기 때문에 패쑤~~^^
한가지만 더 말씀드리자면 ^^
조명촬영에서 셔터스피드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기때문에(동조속도를 가정) 무시하고
필요한 조리개에 따른 광량만 충족하면 됩니다.
F8, F11 등으로 조여서 촬영이 필요할수록 고출력이 필요하고
개방조리개 또는 F2.8, F4 정도로 사용하신다면 더더욱 고출력이 필요 없습니다.
물론 쎌수록 좋기는 하겠지만 ^^ 합리적 소비를 위해 ad200이면 실내에서 충분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제가 조명을 많이 사용해본적도 없을뿐더러 이곳저곳에서 보통 600w를 사용하다보니 그것이 최소값일까 궁금하기도했고,
그렇다보니 질문 드리고 싶은건 많았으나,,,,이렇게 외적인 부분들도 상세히 답해주시니 정말 감사한 마음입니다.!
덕분에 부담감을 조금 덜어내고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심플하게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
나는 프로를 지향한다. 모든상황을 넉넉하게 커버하고싶다. 600W -> 무겁고 지갑이 탈탈
일상적 촬영이지만 수준높은 결과물을 보여주고 싶다. 200W -> 가지고 다닐만 하고 비교적 저렴
간헐적으로 쓴다. 60W(스피드라이트) -> 농담좀 섞어서 주머니에 담고다닐만함 가격도 쌈
좋은 결정하시고 좋은사진 많이 남겨주세요. 화이팅 ㅎㅎ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