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3746321

af 포인트 299 보다 많은거 같아요 ㅋ

z6lll 가 수동선택 279 자동영역에서 299 개 이자나요..
근테 눈 인식이나 핀포인트는 af포인트 크기가 더 작아지자나요?
그럼 포인트 수가 더 많은거 아닌가요? 타사 바디들도 그런거같은데?
예로 캐논 기종 포인트수가 1000개가 넘지만 임의 선택할수 있는 포인트가 1000개 인가요? 옮기는 시간
오래 걸릴듯 ㄷㄷ
그래서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선택 할수 있는 측거가 279개 싱글포인트보다 핀포인트크기는 절반정도 작으니까 포인트 수가
대략 두배 많을거 같아요 ㅎ
그냥 말을 어떻게 하냐의 차이이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어 포인트 갯수는 600개 이지만 선택할수 있는 측거점은
279다 이런식으로
오늘 좀 한가해서 아무런 의미없는 뻘글써봤습니다 ㅎㅎㅎㅎㅎㅎㅎ ..
반박. 태클시 의견 존중 합니다^^ ...
덮고 습하지만 재미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댓글
  • Shilen 2024/06/23 14:57

    실제 검출이 가능한 초점 갯수는 279개고, 눈인식에 보이는 박스는 그냥 애니메이션입니다.
    초점 포인트가 크기때문에 소니같이 세세한 추적은 안되나봐요 ㄷㄷ
    핀포인트는 컨트라스트 기반이기때문에 279개와 전혀 상관이 없구요..
    그냥 그렇다구요 ㅠㅠ

    (e7RMUo)

  • 으뜸파파Z™ 2024/06/23 15:17

    역시 결론은 소니인가효? 니콘은 소니에서 센서 안주면 카메라 제조도 불가능하다믄서요? ㄷㄷ

    (e7RMUo)

  • Shilen 2024/06/23 15:28

    소니 가즈아ㅏㅏㅏㅏㅏ!!
    예전에 어디선가 주어들은건데.. 원래 촬상면 위상차 기술을 니콘이 센서리스 카메라시리즈에 넣으려고 개발했는데, 그때 소니가 같이 도왔다나 뭐라나.. 정확히 도와준건지, 공유를한건지 모르겠네요.
    처음에 ㅋ6나왔을때 센서리스 시리즈보다 퇴보된 AF때문에 충격이었다는..

    (e7RMUo)

  • 주나파 2024/06/23 15:36

    나무위키 보니
    http://namu.wiki/w/%EC%9C%84%EC%83%81%EC%B0%A8%20%EA%B2%80%EC%B6%9C%20AF
    "카메라의 촬상 센서에 위상차 검출 센서를 통합하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촬상 센서에 일정한 간격으로 작은 위상차 검출 센서를 넣는 방식으로 니콘, 소니, 삼성 등의 미러리스 카메라에 적용되었다. 최초의 상용품은 2010년 발매된 후지필름의 컴팩트 카메라 F300EXR이며, 렌즈교환식에서는 2011년 발매된 미러리스 카메라인 니콘 J1이 최초이다."
    렌즈교환식 카메라 센서에 위상차 검출센서 제일 먼저 넣은건 니콘 J1이라고 하네요.
    그 시점에서 니콘이 눈AF 등...하이브리드 AF에 힘썼다면
    현재 미러리스 AF의 대세는 니콘이 되었읆텐데 말이죠 ㅠ.ㅠ

    (e7RMUo)

  • Shilen 2024/06/23 15:42

    맞아유.. 아쉽쥬 ㅠㅠ
    그래도 뭐.. 많이 따라온거같아서 좋습니더 ㄷㄷ
    zf 처음 받아서 써보고나서는.. '아 이제 좀 뭔가 되는구나' 싶더군요 ㄷㄷㄷㄷ

    (e7RMUo)

  • Woochany 2024/06/23 15:47

    그래서 피사체가 작을 때 못 잡는 경우가 있는 걸까요...?

    (e7RMUo)

  • Shilen 2024/06/23 15:52

    생각을 해보면, 피사체가 ㅋ6의 AF포인트보다 작을시에 잡을 방법이 없긴 하죠.. ㅎㅎ
    예전 데세랄들은 특정 모드에서 가까운 피사체에 무조건적으로 우선권을 주는 그룹모드같은게 있었는데.. 현재 z시리즈 미러리스는 그게 좀 덜한거같아요

    (e7RMUo)

  • 으뜸파파Z™ 2024/06/23 16:08

    니콘이 설계능력이 없는 회사도 아니고 ASML에 발리긴 했지만 반도체 관련 짬밥이 상당한 회사인데, 이런저런 협업이 있었겠쥬. 다만, 무슨 짱깨 회사도 아니고 다 만들어 놓은 센서 못사면 카메라 못만드는 회사로 여기는 사고를 하는 친구들은 이해가 안가유. 제대로 된 회사를 다니고 비즈니스 관계라는게 뭔지에 대한 개념만 있어도. ㅡㅡ

    (e7RMUo)

  • 주나파 2024/06/23 15:34

    최근 Z6iii 나오며서 궁금해서 찾아보는데...
    니콘 센서의 경우 AF포인트 개수와 위상차센서의 수가 일치하는지는 모르겠네요
    캐논의 경우에는 Dual Pixel CMOS AF를 사용하다보니
    R6m2의 경우에는 AF포인트 개수보다 위상차 센서 수가 더 많다는 게시글도 봤구요.
    (캐논쪽은 안써봐서리 자세히 모르겠네유)
    보통 미러리스의 하이브리드 AF의 경우에는
    위상차 센서로 대략적인 위치를 빠르게 잡고 정교한 초점은 콘트라스트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ttp://surplusperson.tistory.com/521
    눈추적 같은 경우에는 결국 초점을 잡은 뒤에 이미지의 영상처리를 통해서 눈윤곽을 찾고 거기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입니다.
    눈추적을 잘 하기 위해서는...
    센서에서 빠르게 이미지를 읽고 처리하고 예측해서 초점을 움직이는 등의 복잡한 과정일 듯 합니다.
    소니의 경우에는 눈추적에 대한 경험치가 많다보니 이에 대한 SW 알고리즘 및 HW(바디+렌즈) 최적화가 잘되어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네유
    삼성 미러리스 만들 때 개발자 분이 slrclub에 있다면 실제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듣고 싶네유 ㅎㅎ

    (e7RMUo)

(e7RM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