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주간 장노출 루틴입니다.
1. 필터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구도 확정 및 적정 노출을 확인하고
2. 필터 끼운 후 (10스탑 가량 어두워진 상황 감안하여) 셔속과 조리개 조정합니다.
이때 확정해 둔 구도 바뀌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3. 테스트샷 후에 히스토그램과 경험치 감안하여 (필요시) 노출 재조정합니다.
서은효은파파2017/08/07 13:41
크 감사합니다.스크랩!ㅋ
근데 메이커는 가성비어디가좋을까요?
michwon2017/08/07 13:46
가성비 보다는 좋은 필터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BW 사용합니다. 가변보다는 고정 추천드리고요.
초점은 필터 끼기 전에 af 모드상태에서 확정 후
필터 끼우기 전에 MF 모드로 전환하면 편리합니다.^^
서은효은파파2017/08/07 14:01
넵 감사합니다.ㅎ 할부로사야겠군요 ㅠ.ㅠ
해운대달빛2017/08/07 11:23
천쓰면 필터꽂고 파인더로 낮에 피사체보려면 힘들고요
오백쓰면 필터꽂고 피사체보기 좀 수월합니다.
근데 여름 대낮에 ISO 64 해도 30초가려면 천+ND4 나ND8은 돼야할듯요 ㅎ
서은효은파파2017/08/07 11:26
그정돈가요? 그럼 1000으로하는게 좋겠네요.
해운대달빛2017/08/07 11:36
내용 추가하면
16mm광각 엔 필터한장 밬에 못꽂고요 20mm도 두장겹치기하면 좀비네팅생겨요.
그래서 천이 유용할듯한데 전 실시로 오백을 많이 쓰게되네요.
BW ND1000 (약 10 스탑 차이)
주간 장노출용으로 사용합니다.^^
어디꺼가 좋으려나요? 67,77 두개를 사야되서요ㅠ
저의 주간 장노출 루틴입니다.
1. 필터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구도 확정 및 적정 노출을 확인하고
2. 필터 끼운 후 (10스탑 가량 어두워진 상황 감안하여) 셔속과 조리개 조정합니다.
이때 확정해 둔 구도 바뀌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3. 테스트샷 후에 히스토그램과 경험치 감안하여 (필요시) 노출 재조정합니다.
크 감사합니다.스크랩!ㅋ
근데 메이커는 가성비어디가좋을까요?
가성비 보다는 좋은 필터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BW 사용합니다. 가변보다는 고정 추천드리고요.
초점은 필터 끼기 전에 af 모드상태에서 확정 후
필터 끼우기 전에 MF 모드로 전환하면 편리합니다.^^
넵 감사합니다.ㅎ 할부로사야겠군요 ㅠ.ㅠ
천쓰면 필터꽂고 파인더로 낮에 피사체보려면 힘들고요
오백쓰면 필터꽂고 피사체보기 좀 수월합니다.
근데 여름 대낮에 ISO 64 해도 30초가려면 천+ND4 나ND8은 돼야할듯요 ㅎ
그정돈가요? 그럼 1000으로하는게 좋겠네요.
내용 추가하면
16mm광각 엔 필터한장 밬에 못꽂고요 20mm도 두장겹치기하면 좀비네팅생겨요.
그래서 천이 유용할듯한데 전 실시로 오백을 많이 쓰게되네요.
네 답변 감사드립니다.
화각이 몇미린지 모르겠지만 67-77업링 하나하고 77미리 md필터 하나사셔서 데스트를... 단렌즈면 nd천써도 피사체가 좀보이고...
비네팅생기면 트리밍 쫌하면될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