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319249

조선초 버라이어티함은 상상을 초월했어요. 오가는 통수속에 싹튼 역사랄까.

조선 초기 성립할 때를 보면 엄청 대단하면서도 동시에 너무 안타까워요. 


조선이 일어설 수 있는 철학적 근본은 유교에 있었죠.  

유교 이론과 경전중에서도 유독 튀는 인물이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유교의 아이콘, 공자가 아니라 맹자. 

역성혁명론의 맹자. 

사실 맹자도 엄청나게 진보한 현실주의자에요. 

그 어지러운 시대를 살면서 왕도 하늘과 백성에 필요없으면 그냥 갈아치울 수 있는 수단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죠. 

그 해석을 정몽주는 메타포로 한거고, 정도전은 인디케이트로 했어요.  


근데 막상 구왕조를 갈아치운 정도전은 정몽주의 해석을 국가 통치의 기반으로 삼아요. 

더 원리주의에 입각해서 말이죠. 

극단적인 행동론자가 극단적인 원리주의자로 한순간에 변모하는 모습을 보는 건 어떤 의미에선 기이하기까지 합니다. 

심지어는 왕조를 목적이 아닌 통치의 수단으로 삼아버렸으니... 


웃긴건 이걸 받아들인 게 무골 이성계라는 점.

좋은 나라 만들 수 있다면 왕이던 무엇이건 이용하라는 지지였어요. 

유교적 철인으로 재상중심 합의체를 수호하는 왕권이 정도전의 이상이었으니까.

왕권으로 직접 지배하는 국가엔 지속가능한 통치 시스템 들어서기 어렵다 생각했었죠.  


근데 가만보니 이대로 두면 나라 통치 시스템은 만들어지겠는데 왕권이 아주 빚좋은 개살구 되게 생겼어요. 망했어요. 

그래서 무려 그 어려운 고려조정의 과거를 패스한 초엘리트 이론가 이방원이 극단적인 행동가로 변모합니다. 

그게 왕자의 난으로 나타난거였고. 


더 웃긴 건, 이방원은 피를 흘리는 왕은 자신의 대에서 끝나길 바래요. 

아니 이양반들이 지금 장난치나. 

강력한 왕권을 갖되 정도전의 유교적 이상국가 시스템을 갖추겠다는 의지. 

심지어 정도전이 남긴 거 털도 안뽑고 홀딱 다 집어삼켜. 

다 지꺼래. 

이래놓고 왕권을 넘기니, 세종대에는 시대는 힘들어도 이방원의 이상에 근접한 그런 왕권과 시스템이 갖춰진겁니다. 


이후 세조때부터 시스템이 크게 망가졌고, 국조로 삼은 유교의 물질세계에 대한 뚜렷한 한계와 형이상학이 나라를 망쳤다는게 안타깝습니다만....


여러모로 조선왕조 초반의 역사는 진짜 이론적인 측면이건, 현장의 측면이건 참 재미있어요. 대단하고. 




댓글
  • SiruTTuck! 2017/07/26 00:18

    모든게 정도전이 만든 계획대로... 아 삼봉선생.... 삼봉선새이!!!!

    (56FDd3)

  • 음양사 2017/07/30 06:52

    저는 조선 중기를 더 좋아 합니다.
    이유는 이런 초기의 버라이어티 한것들이 세련되게 바뀌었거든요 ㅋㅋㅋ

    (56FDd3)

  • 차근이 2017/07/30 08:09

    나라를 위해 왕도 갈아치운다라..
    서양에 비하면 엄청나게 진보적인데요 ㄷㄷㄷ

    (56FDd3)

  • 스파게티조아 2017/07/30 08:23

    세조 때 사실상 통치 시스템이 상당부분 망가진 거죠 어찌보면...
    자기 쿠데타의 공신들에게 원칙을 벗어난 논공이랑 권한을 쥐여주고, 기존 사림을 견제하기 위해 부러 편을 드니...
    권력의 사유화가 심각해지는 불씨가 됐죠. 후에 공적 논의나 정파적 노선에 따른 갈등이 아니라 이익에 따른 계파와 인사권 싸움(요새로 따지면 공천권의 사유화와 독점)을 둘러싼 '정치질'이 조선 정치의 주 컨텐츠가 되면서 사회발전이 유보되거나 때로 피폐해졌지요...
    사적 권력의 국정 농단을 견제할 수 있게 민중에게도 권력이 있었다면 나았을 텐데 그러질 못하니 비슷한 문제가 고쳐졌다 악화되었다 반복되고... 동학혁명이 마지막 기회였는데 성리학 교조주의에 조선왕실의 개 듕신같은 파병요청으로 날려버리고... 자국 민중 운동에 외국군대 파병요청이라니 별...
    민주주의가 참 중요한 거예요. 조선시대 역사 보면서 그걸 참 많이 느낍니다.

    (56FDd3)

  • 미르헌터 2017/07/30 09:07

    제 개인적으로는 이방원의 왕자의 난이 아니었으면
    전 이세상에 없었으니...
    가문은 망했으나 그로 인해 제가 지금 있는거네요

    (56FDd3)

  • 01017ccf 2017/07/30 09:20

    역사에 IF는 어리석지만, 그럼 세조가 집권하지 않았더라면 이상적일 것이란 전제도 다시 생각해야합니다.
    뒷배하나없이 연약한 단종조에 신권이 너무 강해져 유명무실한 꼭두각시 왕조로 조선이 더 빨리 망했을수도, 혹은 유교에 너무 심취한 문종의 영향으로 교조주의로 변질되어 또 말썽이 생겼을 겁니다.

    (56FDd3)

  • 노잼살인마 2017/07/30 09:21

    한국 역사가 보면 고난이 많아서 배울때 참 재밌는데, 그 중에서도 여말선초는 진짜 엄청나게 재밌어요
    이성계, 최영, 정도전, 정몽주, 이방원 이토록 걸출한 인물들이 저마다의 이상을 갖고  벌이는 권력의 암투...

    (56FDd3)

  • 바람처럼9 2017/07/30 09:30

    공자가 제나라를 방문 했을때 입니다.
    제나라 경공이 공자에게 물었죠.(경공도 강제가 망하는단초를 제공한 웃기는 인간이죠.)
    '정치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그러자 공자가 대답한 말이 이겁니다.
    군군 신신 부부 자자 (君君 臣臣 父父 子子)
    임금은 임금, 신하는 신하, 아비는 아비, 자식은 자식 다워야 한다, 는 의미죠.
    그러자 어떤 사람이 물었죠.(아마 도가쪽 사람 이겠죠)
    임금이 임금 답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 고 묻자 얌전하고 성실한 공자는 답변을 할수 없었죠.
    이에 대한 해답을 가지고 온 사람이 맹자 입니다.
    본글에서 말한대로 임금을 쫒아내면 된다고...
    그러자 이번에도 어떤 사람이 물었죠.
    아비가 아비답지 않으면 어떻게 함?
    이물음엔 어지간한 맹자도 답을 할수가 없었죠.
    군신간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윤리 지만, 부자간은 태어난 순간 하늘이 정해준 천륜 이기 때문인데,
    맹자도 아버지를 내치자고 할수는 없었기 때문이죠.

    (56FDd3)

  • 곰돌이복돌이 2017/07/30 11:06

    메타포하고 인디케이트로했다라는 표현이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가요;;;  추상적 외래어가 의미하는 바를 제가 배움이 부족하여 전혀 이해를 하지 못하겠어요... 물론, 정몽주와 정도전을 비교해보면 짚이는 바가 없는건 아닌데... 글쓰신 분이 말하신 것은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가요?

    (56FDd3)

  • Lynn 2017/07/30 11:37

    꽤 여러날 전에 쓴 글인데 일어나보니 베스트 올랐네요.
    모두 즐거운 주말 되시기 바랍니다.

    (56FDd3)

  • totemst 2017/07/30 11:58

    세종 시절엔 태종이 권력을 위협 할 만한 모든 인물들을 싹 다 죽여서
    세종 시절이 그렇게 태평성대가 아니었을까 합니다
    그리고 고려초기에 광종도 태종과 비슷한 길을 갔었고
    중국에선 유방이 한신을 죽인 것 처럼
    역성혁명 뒤에는 공신 vs 왕의 다툼이 안정적 통치를 위한 필수코스 같네용

    (56FDd3)

  • Lynn 2017/07/30 13:39

    성리학, 유학은 통치에 대한 학문적 이론이요 철학인데 종교로까지 받아들여지곤 합니다.
    근본적으로 종교적 성격을 가진 것도 부정할 수 없는 것이 바로 '왕'이라는 존재에 대한 규정에 있습니다.
    하늘을 대신해 백성(민)을 다스리고 이끌어 갈 수 있는 하늘이 낸 대리인으로 왕을 바라보기 때문에, 하늘을 바꿀 수 없는 것처럼 왕 또한 바꿀 수 없는 하늘의 뜻을 세상에 펼치는 왕도의 정수인 존재입니다.
    지금 보기엔 답답해 보이지만, 바로 그런 이유로 역성혁명이라는 명제가 동양을 수천년 이끌어온 유학의 근본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인가를 생각해 볼 수 있는거겠죠.
    맹자의 역성혁명이론은 결론적으로 민주주의의 근본에도 가 닿을 수 있는 과격하지만 또한 유학의 이론을 더욱 공고하게 해주는 유학이론의 정수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저 시대라고 왜 왕을 그렇게 종교처럼 여겼느냐 라는 질문에, 그 시대의 과학이지 종교가 한점에 모이는 곳에 왕과 왕도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답을 드리고 싶습니다.
    현대적 잣대로는 유학과 왕도에 대한 쉬운 재단을 할 수 있지만, 항상 있어온 외부의 위험에서 보호를 제공하고 삶의 터전을 지켜주는 내가 속한 국가라는 개념을 깨지 않는 이상 그 시대엔 왕이라는 개념을 그렇게 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도 충분히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56FDd3)

  • 곰돌이복돌이 2017/07/30 13:58

    간단하게 우리말료 표현하면 정몽주는 민본을  도구로 왕치를 강조하였고, 정도전은 왕치가 민본을 위한 도구로 보았다. 왕치가 민본에 어긋나면 역성혁명도 가능하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나요?
    해설 감사합니다.

    (56FDd3)

  • 신들의황혼 2017/07/30 19:54

    이런 글 좋음..

    (56FDd3)

(56FDd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