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76844

경제현기차 무적의논리.JPG

 

댓글
  • 별사랑님 2017/06/25 08:00

    ㅋㅋ 인정

    (KNAyd1)

  • GOTOMAKI 2017/06/25 08:01

    ㅋㅋㅋ

    (KNAyd1)

  • 철갑상어 2017/06/25 08:04

    명불허전 흉기차

    (KNAyd1)

  • MVP우규민 2017/06/25 08:04

    부품->다른 게 있음
    강판->같음
    물론 A/S 기간 보면 차별이 있지만 그건 시장 특성에 가깝고, 본문은 말 만들기로 보이네요

    (KNAyd1)

  • Preheat 2017/06/25 08: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NAyd1)

  • 고르고13 2017/06/25 08:06

    ㅋㅋㅋㅋ 국산 과자나 치킨도 이와 비슷한 논리가 있죠. 밀가루 가격이 올라 가격 인상한다고 해서 나중에 확인해보니 밀가루 가격이 외려 떨어졌음. 해서 어떻게 된 거냐 따졌더니 과자(치킨)에 밀가루 가격만 포함된 게 아니라고. 그럴 거면 밀가루 가격은 첨에 왜 얘기한 건지.

    (KNAyd1)

  • 료마 2017/06/25 08:07

    ㅋㅋ 그냥 다르다고 하지
    대부분 자동차 회사들이 국가뱔로 다르게 만드는 게 사실인데 굳이 부정할 필요가 없을 텐데

    (KNAyd1)

  • 공장2교대 2017/06/25 08:09

    ㄷㄷㄷㄷㄷ인정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KNAyd1)

  • 하암 2017/06/25 10:17

    현기차 대처가 구린건 맞았는데
    이 문제는 부품이 다른게 아니라 타공을 하고 세척하는 공정상의 차이로 발생한 문제입니다.
    이런건 뭘좀 맥락을 알고나 쓰셨으면;;

    (KNAyd1)

  • 박민영 2017/06/25 10:36

    이래서 현다이차는 절대 안탐

    (KNAyd1)

  • [DBJ]2승1패 2017/06/25 11:02

    MVP우규민//강판도 미국산은 전착도장이 되서 나오고
    국산차량은 전착도장을 안해서 부식도 빨리 온다던데요?

    (KNAyd1)

  • bull 2017/06/25 11:47

    다른건 몰라도 엔진은 똑같은거 쓸거 아닌가

    (KNAyd1)

  • 너나잘핵 2017/06/25 12:16

    다른거 맞는데 리콜해야 될 원인이 된 부품이 다르지는 않죠

    (KNAyd1)

  • 조쉬라이먼 2017/06/25 12:2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NAyd1)

  • Demonseye 2017/06/25 13:07

    빨리빨리 부식돼야 새차사죠

    (KNAyd1)

  • 눈내린거리 2017/06/25 13:07

    [DBJ]2승1패//전착도장은 현기차도 80년대부터 하던건데요..까더라도 좀 알고 깝시다.

    (KNAyd1)

  • 복수야덕 2017/06/25 14:48

    세계5위 지동차회사 gdp 수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회사가 이렇게 까이는 이유가 있는건지 물어보거 싶습니다

    (KNAyd1)

  • Gearhead 2017/06/25 15:23

    [DBJ]2승1패// 부식은 도금문제지 도장문제가 아니잖아요. 전착도장이든 도금이든 뭐 별거에요? 도금강판사용비율과 품질이 문제라면 문제인거지요

    (KNAyd1)

  • 두려움없이 2017/06/25 16:16

    흉기차는 불매운동해야 합니다..

    (KNAyd1)

  • 공상가 2017/06/25 18:00

    그냥 일제 샀음. 횽기차 먹고사는 것보다 내 가족 목숨이 중요하니

    (KNAyd1)

  • Heineken 2017/06/25 18:37

    일제 알티마가 가성비 끝판왕

    (KNAyd1)

  • 기나긴침묵 2017/06/25 20:11

    얼마전만해도 아반테md 내수용 임팩트바 1개로 줄여버리고, gdi엔진 전수 100% 불량의 쾌거를 달성한
    흉기차인데 실드치는 사람들은 애잔하네요. 불량 안걸리길 기도하면서 싼맛에 타는게 요즘 흉기차인데
    옛날 왕회장 살아있을때 정신차리고 잘나가던 시절 얘기하면 뭐하나요.

    (KNAyd1)

  • 61번 2017/06/25 20:42

    여건만 된다면 두번다시 안살겁니다.
    부득이 화물차를 써야되서 2대를 현대차 소유중인데
    가격문제를 떠나서 너무 부식이 잘되요..이건 20년째 바뀌지않는 문제인데..
    현대도 알면서 저러는거보면 그냥 내수를 봉으로 보는거에요
    미국서 형님이 타다 가져온 2007년도 아제라(그랜져)는 바닥이 멀쩡한데
    국내에선 지네들 밖에 안만드는 화물차종은 특히나 부식이 말도안되게 심합니다
    앵간해선 기업 망하라고 바란적없는데 현대가 바뀌는거보다 망하는게 더빠를거같습니다.

    (KNAyd1)

  • 한수수 2017/06/25 21:09

    벤츠 사면 되잖아요? 현기차 보다 싼 브랜드 중에 현기차 보다 좋은 차 하나만 대주시죠. 설마 대우?삼성?쌍용?

    (KNAyd1)

  • 완소권쏘 2017/06/25 21:19

    그래서 벤츠 사자나요 제네시스 에쿠스 안사고. 고급차 시장 세계에서 손 꼽아주는 시장 한국ㅋㅋ 많이 남겨먹는 플래그쉽은 독3사 못 뛰어넘고 아래에서는 치고 올라오고 점유율 떨어지고

    (KNAyd1)

  • Bemybaby 2017/06/25 22:14

    정부 기준이 개똥같고 국회도 로비로 소비자권리가 거의 박탈된 상황인데
    소비자가 할수있는게 불매운동밖에 없고
    그나마 횽기차 알바들 니들 경제수준에 탈차는 흉기밖에 없으니 닥치고 타라 이논리

    (KNAyd1)

  • 문j인 2017/06/25 22:57

    [리플수정]사실 직원수준차이도 엄청남ㅋㅋ 생산성이 미국은 20시간에 1대인데 한국은 30시간에 1대생산 근데 임금 차이는 두배가넘고 한국은 뭔놈의 조립불량이 많은지 어이없죠 눈감고 볼트조립하는듯

    (KNAyd1)

  • 유물론자 2017/06/25 23:09

    문j인// 생산성이 왜 직원 차이죠?

    (KNAyd1)

  • 에휴라잉이 2017/06/26 00:06

    ↑ [조선일보]
    30일 본지가 입수한 현대기아차의 '판매지역별 방청(防靑녹 방지) 기준'(2010년까지 적용)에 따르면 북미유럽은 아연도금강판을 70% 이상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방청지역'으로 분류됐지만 한국은 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미방청지역'으로 분류됐다.
    차체 부식에 대한 무상 보증기간도 북미는 7년, 유럽은 12년이었지만 한국은 2년4만㎞(먼저 만료되는 쪽이 보증 종료 시점) 혹은 3년6만㎞인 일반 보증기간만 둬 구입 후 4~5년이 지나야 나타나는 차체 부식에 대한 보증 효과는 거의 없었다.

    (KNAyd1)

  • 에휴라잉이 2017/06/26 00:07

    현대 기아차 가 2006년까지 유럽북미수출용 차에는 부식(腐蝕)방지 기능이 뛰어난 아연도금강판을 70% 이상 사용한 반면, 내수용 차에는 일반 강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이후에도 현대기아차 내수용의 아연도금강판 사용 비율은 수출용에 턱없이 모자랐다. 아연도금강판은 일반 강판에 비해 15% 정도 비싸다.
    현대기아차는 지금까지 '수출용내수용 강판이 다른 것 아니냐'는 소비자 의혹에 대해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일축해 왔다. 그러나 수출용내수용에 두께는 같은 강판을 사용했지만 방청 기능은 다른 강판을

    (KNAyd1)

  • 에휴라잉이 2017/06/26 00:09

    사용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이전엔 부품뿐만 아니라 강판도금도 다르게 했다네요

    (KNAyd1)

  • 에휴라잉이 2017/06/26 00:12

    현대차 미국 광고 카피
    --
    4개의 에어백이 있는 차,
    6개의 에어백이 있는 차,
    어떤 자동차를 타시겠습니까?
    에어백 한개를 덜 장착하면 얼마의 비용이 절감될 지 현대는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4개의 에어백에 사이드커텐 에어백을 2개 더 장착한다면, 측면 충돌 시 45%의 생명을 더 구할 수 있다는 계산은 먼저 했습니다.
    그것이 현대의 대부분의 차량에는 6개의 에어백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이유입니다.
    6개의 에어백에 전자식 주행안전장치(ESC)까지 기본으로 장착한 쏘나타가 미 고속도로 안전협회(NHTSA) 충돌테스트에서

    (KNAyd1)

  • 에휴라잉이 2017/06/26 00:15

    최고등급을 획득한 건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더 좋은 차를 생각합니다.
    ----
    내수용과 수출용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에어백의 숫자 자체가 다릅니다.
    내수용은 정면 에어백만 2개가 기본 장착되고,
    수출용은 정면 에어백 2개, 측면 에어백 2개, 커텐 에어백 2개가 달려 있습니다.
    ---
    ㅋㅋㅋㅋ 미국에선 비용절감을 생각하지 않고 승객의 안전을 먼저 생각하지만 울나라에선 승객의 안전보다 비용절감을 우선함 ㅋㅋㅋㅋ

    (KNAyd1)

  • 김밥세븐 2017/06/26 00:23

    에휴라잉이// 미국 횬다이 에어백은 터지나요?

    (KNAyd1)

  • 수줍은 2017/06/26 01:02

    귀신같이 이런글에 흉기알바 달려들죠 ㅋㅋ

    (KNAyd1)

  • 팅팅곰곰 2017/06/26 01:18

    어차피 안 터지니까 2개든 6개든 똑같은걸지도 모름 ㅋㅋ

    (KNAyd1)

  • 힐리즘 2017/06/26 05:47

    이래서 문제...
    그냥 내외수 같게 해주면 안되나
    최소한 삼성은 이짓거리는 거의 안하죠

    (KNAyd1)

  • 갓빠차 2017/06/26 07:04

    현기ㅎㄷㄷ

    (KNAyd1)

  • 캬원준 2017/06/26 07:12

    추가) 국가 마다 자동차 안전등의 법이 달라서 굳이 법의 허용치 이상 만들 필요가 없다.

    (KNAyd1)

  • 계란빵 2017/06/26 07:18

    에어백숫자나 임팩트바 숫자는 현기가 아니라 다른회사도 다 마찬가지로 국내판이 다 줄어들어버립니다 쉐보래 이런회사는 물론이고 벤츠 bmw이런회사도 한국판 옵션이 다른데

    (KNAyd1)

  • 스프리웰 2017/06/26 07:26

    비엠 신형 7시리즈보면 뭐 ㅎㅎ

    (KNAyd1)

  • 니캉내캉 2017/06/26 07:57

    동일제품을 쓰지만 표준기준이 달라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ㅋㅋㅋㅋㅋㅋ

    (KNAyd1)

  • 회장 2017/06/26 15:41

    내가 외제차를 타는 이유

    (KNAyd1)

(KNAy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