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체가 철이 좋지가 않아서 날 부분에선 늘 내구도 문제와 품질 문제가 고질적으로 잇따라왔음
날도 날대로 쳐주지만 일본도의 손잡이와 코등이는 예술품으로써 가치가 높았다고 함
애초에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분해가 가능하고 여차하면 날 자체를 바꿔 끼워버리게 만든 칼이었음
도공들의 편차가 있는지라 강철 날과 연철 심을 구현하는 것은
도공의 감과 철의 상태 등 많은 요소가 관여하기 때문에 기록 속 명검 같은 걸 만드는 건 힘들었음
게다가 철이 많이 나지 않는 나라라서 도신에 많은 순철을 쓸 수가 없었음
썼으면 철 낭비라며 뭐라 했겠지 뭐
하지만 이론대로 구현한 몇몇 칼을 명검이라 칭하면서 귀하게 다루는 경우도 있었음
사실 잘만들어지면 어느 나라건 이름이 붙여진 무기가 되기 마련이니
그 와중에 칼 마다 명검이 되는 철 배분 표까지 만드는 정성을 보이는데
저 이론대로 맹글어진게 1자루씩 있을지나 의문이다
좌측 상단의 칼을 보면 지들도 강철 때려부은 칼이 명검의 기준인 걸 삼은 거 보면
철이 궁해서 이런 저런 짓을 한 거 같음
대충 요약하면
가챠의 민족답게 일본도 SSR 뽑기가 힘들었다는 소리임 ㅇㅇ
내구도가 안좋으면
패기를 불어넣어서 흑도를 만들면 됨
아니 거기서 무장색이
저런 접쇠법이 좋은 철을 구하는 방법을 몰랐던 시기에 다른 나라에서도 쓰였다고 하지.
니벨룽의 노래라는 전설에 나오는 지그프리드의 검이 뱀의 똬리를 튼듯한 무늬가 있다고 하는데, 그게 접쇠법이었대.
그러다 질 좋은 철을 구하는 방법을 알게된 후로 노동력 무지하게 드는 방법은 사장되었는데
저긴 수입하지 않고는 구할 방법이 없으니 저런 노동을 하게 된거라나.
수율이 안좋았나보군
어후 손잡이보고 쌌다;
저런 접쇠법이 좋은 철을 구하는 방법을 몰랐던 시기에 다른 나라에서도 쓰였다고 하지.
니벨룽의 노래라는 전설에 나오는 지그프리드의 검이 뱀의 똬리를 튼듯한 무늬가 있다고 하는데, 그게 접쇠법이었대.
그러다 질 좋은 철을 구하는 방법을 알게된 후로 노동력 무지하게 드는 방법은 사장되었는데
저긴 수입하지 않고는 구할 방법이 없으니 저런 노동을 하게 된거라나.
수율이 안좋았나보군
내구도가 안좋으면
패기를 불어넣어서 흑도를 만들면 됨
아니 거기서 무장색이
예술품으로는 인정하는데 실용적 가치는 정말..
음 그러니까 보다 강력한 철이 강력한 칼을 만든다는것인가!
확밀아로 가차시장을 틀을 닦은 나라답게
옛날부터 가차의 틀을 다듬었구만
근데 일본도도 결국 호신 겸 장식품 같은거 아님?
얘들도 전쟁할땐 창이 주류였을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