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생각에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0. 실내 좌측 - 모두 F/2.8

중앙 초점은 잘 맞았는데 중앙에서 살짝 벗어난 좌하단부는 책의 글자가 무너져내려 분간이 잘 안됩니다.
그래서 아침에 다시 찍어봤습니다.
모든 사진은 좌측이 Z7+2470 2.8이고 우측은 A7R3+2470GM 입니다.
손떨방 OFF, 삼각대, AF-S로 중앙초점(아파트 벽면의 현수막), 잘나온 컷 하나씩 사용했습니다.
1. 중앙 초점부 상단 (F/2.8)

2. 실외 좌측 최외각 (F/2.8)

3. 실외 우측 최외각 (F/2.8)

아파트 담장까지의 거리는 약 12미터이며 DOF 계산해보면 5미터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다고 하네요.
맞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좌우측 최외곽에서 초점이 맞으니 가운데 부분도 맞아야 할텐데요.
4. 문제의 좌측 (F/2.8)

5. 문제의 하단 (F/2.8)

6. 문제의 우하단 (F/2.8)

중앙부를 약간 벗어난 부분의 해상력이 무너져 내립니다.
이정도라면 그냥 스마트폰 화질이 더 낫다 싶습니다.
2470GM을 조여봅니다. 아래 비교는 니콘은 F/2.8 그대로, 소니는 F/5.6 입니다.
7. 중앙

8. 좌측

9. 하단

조여도 문제가 있는 부분은 좋아질 생각도 안하네요.
그리고 70mm는 네컷 찍었는데 컴퓨터로 보니 초점이 안맞습니다.
밤에도 못잡더니 아침에도.. ㅠㅠ
한숨만 나옵니다.
실험 내용과 텍스트를 보건대 사진을 확대해서 보지 않더라도 센타에 가셔야 한다는걸 알것 같네요.
금계륵..그렇게 선예도 허접한 렌즈 아닙니다.
금계륵는 좋은 렌즈고 저것만 문제일거라 믿고 싶습니다
센터 가셔야할 것 같네요.. 3사 다합쳐서 니콘 신형 24-70 제외하고는 최고로 평가받는 렌즈인데.;; 광축이나 해상도에 문제 생긴듯 ㄷㄷ;
Z2470 f2.8이랑 비교하긴 했습니다. Z7 jpeg가 묘하게 굵고 진해서 마음에 안드네요.
금계륵 해상도의 좋고 나쁨을 떠나 위 사진을 보면 그냥 문제가 있는 렌즈 같습니다.
저도 금계륵 좋아라 하면서 쓰는데 저정도면 불량이라고 봐야할듯 하네요.. 선예도 좋은 렌즈입니다.
저도 문제라고 봅니다. 저것보다는 좋아야 하는데...
뭔가 이상하네요.. 저건 그냥 렌즈자체의 선예도나 해상력에서 나오는 문제처럼은 안보입니다.. 뭔가 잘못된거에요
금계륵이 돈값 못하는 렌즈죠. 대안이 없어서 사용중이긴 한데
뭔가 잘못된듯...
소니 24-70 GM렌즈가 가격값 못하기는 하지만 저렇게 확연하게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사용기 올리기 전에 점검부터 받는게 맞을듯...
점검 맡기러 왔습니다. 사용기는 아니지만 이런 글은 올리면 안되나요?
아우 이건..;; 잘해결되길 바랄게요!
저도 그러길 바라고 있습니다 ㅜㅠ
금계륵이가 개방에서 색수차 저렇게나 많이 생기나요???
바디 내 보정을 다 꺼서 더 보이는 겁니다
다시 니콘을 사야하나봅니다^^
렌즈가 불량이거나 상당한 충격을 받아 하자가 생긴겁니다. 2470gm으로 저런 류의 테스트 여러번 해봤지만, 저간 말도 안되는 상태입니다.
니콘이 콘트가 진해서 잘보이긴하는데.. 금계륵 저정도 수준은 아니었던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