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037368

자꾸만 크고 무거운 RF 렌즈들이 나오는 이유 ...

(타인도 자신 정도의 합리성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해서) 생각해보면 뻔한 이야기지만
1. 타 메이커도 마찬가지겠지만, 캐논 미러리스 시스템의 강점은 '성능'과 '경박단소'의 양대(兩大)로 볼 수 있습니다
2. 그러나 양자를 양립하기도 힘듭니다
3. 그렇다면 선택을 하고 집중을 하는 편이 낫습니다
4. 경박단소는 ef-m 에
5. 성능은 rf 에
6. 그래서 rf 렌즈는 성능을 극대히 표방할 수 있는 고급 렌즈에 우선순위를 두고 출시합니다.
7. 그러나 35.8 이나 24-240 같은 단렌즈와 줌렌즈를 초반 1/4 정도 비중으로 출시하여 후일을 기약합니다. 점차 늘 것으로 기대되지만 아직은 후순위. 이 부분에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8. 정리하자면, 경박단소 ef-m >>> 타협 rf 중급렌즈 >>> 성능 rf 고급렌즈 ... 크고 무거운 렌즈만 내어도 별 탈 없는 서드파티 업체와 달리 나름 이런 저런 선택권과 집중을 고민해야 하는게 네이티브 업체의 책무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댓글
  • pocoNroco 2019/05/11 11:05

    그런 것도 있고
    소니는 최상급 라인업 렌즈들이 다 나와 있는데
    L렌즈 빼고 경박단소 저가형 렌즈만 나와서는
    비교만 당하는 꼴이 됄 것 같네요

    (oOxhtZ)

  • 캐논총판 2019/05/11 11:11

    공감합니다. 비판론자분들이 말씀하시는 '바디가 떨어지니깐 렌즈로 어필한다'는 힐난과 일맥상통하는 이야기 같습니다. 어 다르고 아 다르지만, 그냥 같은 의미...

    (oOxhtZ)

  • 6dmarkll 2019/05/11 11:12

    그냥 배짱 장사 메이커..

    (oOxhtZ)

  • lumenite 2019/05/11 11:21

    기존 SLR 렌즈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EF 렌즈를 그냥 RF로 변환해서 내놓을 필요는 없고, 오히려 RF 마운트의 이점을 살려 보다 성능이 좋은 렌즈에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35 1.8 같은 것을 계속 하나씩 내놓겠죠.

    (oOxhtZ)

  • RECOVERY™ 2019/05/11 11:22

    Rf렌즈들이 무겁다는 생각을 안해봤는데요.
    생각보다 가벼워요

    (oOxhtZ)

  • 네오주니 2019/05/11 11:30

    그래도 소니는 광각쪽에서 미러리스 장점(짧은 플랭지백)을 살려서 작으면서도 성능이 좋은 렌즈들을 내 놓는데 캐논은 광각 쪽에서도 성능에 몰빵하는 느낌이에요 15mm 부터 시작하는거 보면 ..

    (oOxhtZ)

  • 연하일휘 2019/05/11 11:31

    무거우면 폰까쓰세요 카메라장비 20키로들고다니면서 무거워서 힘들단생각해본적이 없네요

    (oOxhtZ)

  • -아립- 2019/05/11 11:46

    님이 돈내고 저분한테 사주는거에요?
    자기돈주고 자기물건 살사람이 의견을 말도 못해요?

    (oOxhtZ)

  • 픽쳐그라피 2019/05/11 12:02

    저도 이 의견은 좀...
    연하일휘님이 20킬로그램도 무겁지 않다고
    남들도 안 무거워야 하는 법 없어요..
    전 70-200도 무겁네요.

    (oOxhtZ)

  • tangodown 2019/05/11 11:31

    렌즈만 잘만들어 ㅋㅋ

    (oOxhtZ)

  • PAPIYA 2019/05/11 11:31

    엔트리는 그냥 폰카나 쓸테니까
    장기적으로 플래그쉽 영역을 선점하는게
    결국 마지막까지 남는 시장이고, 마케팅까지 자동으로 겸해져서 고이익이다...
    라는 계산이겠지요.

    (oOxhtZ)

  • 0969 2019/05/11 11:39

    그런 생각이었으면 RP를 만들면 안됐쥬...

    (oOxhtZ)

  • 얜평범하네 2019/05/11 11:40

    캐논이 장사를 너무 잘해요

    (oOxhtZ)

  • 픽쳐그라피 2019/05/11 11:41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미러리스는 그냥 핀 잘 맞고, 미러 없는 카메라
    그 이상 그 이하의 의미가 없습니다.
    예전 정우성 김하늘 한가인이 광고하던 시절의
    가볍고 성능 좋은 미러리스 카메라 라는 캐치프라이즈는 끝났습니다.
    가볍다, 는 빼야죠.
    걍 미러만 없는 구조인데요.

    (oOxhtZ)

  • -아립- 2019/05/11 11:46

    거울이랑 펜타프리즘이 빠지면 그만큼 작고 가벼워지는건데요..

    (oOxhtZ)

  • 픽쳐그라피 2019/05/11 11:58

    그러니까.. 그것 빠지는 것 말고는 차이 없다고요.
    예전처럼 미러리스 엄청 가볍다 이런 공식이 아니라요.
    어차피 렌즈는 이미지서클 보고 설계하는거라
    플랜지백 영향 빼면 큰 차이 없고요.
    미러리스 자체가 풀프레임화 되면서
    렌즈는 일반 dslr 이랑 큰 차이 없을 수 밖에요.
    라는 의미로 말씀드린건데요..

    (oOxhtZ)

  • AKION 2019/05/11 12:45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미러리스의 장점이 가벼움이란건 이제 맞지않죠. 이전 광고프레임에 얽메일 필요가 없죠. DSLR보다 여러장점이 생겨서 옮겨가는 과정인거죠. 데세랄보다 가벼워야한단거 자체가 강박. 아립님 말씀처럼 그거 빠진만큼 가벼운건 가벼워진거지 가볍기위해뺀게 아니란거죠. 가벼움이 최종목표인게 아닌 그냥 필름시대의 미러가 더이상 필요하지 않아진 시대의 포맷이라 보심 될듯요.

    (oOxhtZ)

  • 재영Jy 2019/05/11 11:53

    일단 기술력을 보여줘야죠
    보급형이나 구형 저려미렌즈들은 데세랄에 충분하니깐,
    타사 및 기존 유저들의 지갑을 열려면 별 수 있나요
    특이하거나 고급렌즈로 어필하는 수 밖에
    그래서 저도 캐논믿고 넘어왔구요.

    (oOxhtZ)

  • 해피스냅퍼 2019/05/11 11:56

    1세대의 캐논 미러리스을 건너 뛰는 사람으로서 평가해보면
    바디는 보급기인데 렌즈는 프로페셔날..이라는 말이 잘 어울리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바디가 보급기라면 엔트리 유저나 라이투 유저를 위해 RP급의 보급기+35.8급의 경박단소렌즈에 집중했다면..
    혹은 자사의 기술력을 있는대로 쏟아부어 미러리스 시장의 터줏대감인 소니를 한방에 목전까지 추격헀다면..
    하는 아쉬움에 1세대 캐논 미러리스를 거르고 있네요.

    (oOxhtZ)

(oOxhtZ)